조선의 소설문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의 소설문학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고소설의 흐름
II.󰡔금오신화󰡕
III. 연암의 한문소설
IV. ‘雲英傳’에 나타난 사랑과 죽음의 의미
V. 최척전
V. 박씨전
IV. 구운몽
VII. 배비장전

본문내용

넣은 내용인즉 상민들에게서 물건과 노역을 탈취하고 무단을 행하는 전횡적인 양반의 모습임을 발견하고, 고개를 좌우로 흔드는 장면이다. 結은 천부가 양반을 사는 것을 포기하고, 길을 떠나 다시는 양반의 일을 입에 담지 않았다는 짧은 대목이다.
양반전의 줄거리의 핵심모티프만을 추출하면 다음과 같다.
1)양반이 관곡을 빌려 먹음(가난때문)
2)양반의 위기(관찰사 순행시 발견)
3)천부가 위기에서 구해줌(양반 매매조건으로 관곡을 대신 갚아줌)
4)조정자 출현(군수가 개입, 증명서 작성)
5)제 1문권 작성
6)제 2문권 작성
7)천부의 깨달음 - 길 떠남
1)은 무능하고 생활능력이 없이 무위도식하는 양반을 비판한 것이다. 그리고 2)에서는 무위도식하는 양반이 관곡만 축내는 현실에 대한 고발을 담고 있다. 3)에서는 賤富의 말을 통해 당대의 사회현실을 풍자하고 있다. 4)에서는 군수가 조정자를 자처함으로써 새로운 양상을 보이게 된다. 군수가 천부의 행위를 “재물이 넉넉하면서 인색하지 않은 것이 義요, 사람이 어려운 것을 도와주는 것은 仁이요, 비천한 것을 싫어 하고, 존귀한 것을 사모하는 것은 智이니, 이것은 참 양반이니라”라고 선언하는 것은 당대 현실을 상징하는 풍자적인 발언이라고 할 수 있다. 5)에서 증명서를 작성하기 위해 관청의 뜰에 고을의 선비와 농업하는 사람, 공업하는 사람, 장사하는 사람들까지 불러 모은다. 이것은 농업과 상공업에 대한 작가의 관심을 엄 것이자, 작가 연암의 이용후생에 바탕을 둔 실학사상을 반영하는 표현인 것이다.
IV. ‘雲英傳’에 나타난 사랑과 죽음의 의미
1. 긴장과 풀림의 반복구조
<雲英傳>은 宮女인 운영과 宮外野人인 金進士가 조선의 봉건적 사회제도의 모순된 현실을 뛰어넘어 인간본능의 자유스러운 표출을 모색하여 에로스를 추구하다가 결국 한계에 부딪쳐 자살한 내용을 담은 일종의 비극소설이다.
여기에서는 李在秀 교수 소장본인 한글 필사본을 텍스트로 하여 작품구를 분석하고, 작품의 미적 가치를 규명해 보기로 한다.
이러한 전체 줄거리를 통해 작품의 내적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다.
㉠ 柳泳이 壽聖宮에 가서 술에 취하여 잠을 잠-깨어남.
㉡ 金進士와 雲英이 자초지종을 이야기함.
③ 柳泳이 술에 취하여 잠을 잠-깨어남.
이와 같이 이 소설은 ㉠㉢의 외부구조 속에 ㉡의 내부구조를 품고 있는 형태를 지니고 있다. 간단히 말하면 柳泳의 이야기 안에 金進士, 雲英의 로맨스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소설을 우리는 흔히 額子小說이라고 한다. 액자소설이란 “이야기 속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비교적 짧은 내부 이야기를 내포하는 소설의 구성형식” 을 말하며, ‘나’와 ‘그’ 또는 ‘그’와 ‘나’라는 이중의 인물시점의 서술방법을 택하는 소설을 의미한다.
작품의 의미파악에 앞서 작품의 구조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핵심모티프를 중심으로 기본 줄거리를 좀더 요약, 압축하기로 한다.
(1) 선비 柳泳이 壽聖宮에 놀러 간다.
(2) 유영이 술에 취해 잠이 들었다가 깬다.(夢--覺)
(3) 유영이 金進士와 雲英을 만나 사랑의 이야기를 듣는다.
(4) 安平大君이 私宮에 운영 등 10명의 궁녀를 둔다. (雲英은 특수한 신분의 여성임)
(5) 文士인 김진사가 안평대군과 詩를 화답하다가 雲英을 만난다.
(6) 안평대군이 궁 밖 출입을 금하는 엄명을 내린다. (장애 요소 등장)
(7) 김진사와 운영이 로맨스에 빠져 戀書를 주고 받는다.
(8) 김진사가 西宮 담을 넘어들어 운영과 密愛를 나눈다. (1차 모험)
(9) 雲英이 탈출을 위해 의복과 중보를 궁 밖으로 옮긴다. (2차 모험)
(10) 김진사의 奴僕인 特이 흉심을 품는다.
(11) 特의 발설로 인해 宮中 財寶의 반출이 大君에게 알려진다.
(12) 안평대군이 西宮의 궁녀들을 문초하여 운영을 別堂에 가둔다.
(13) 운영이 자신의 결백을 입증하기 위해 자결한다. (모험의 실패-죽음)
(14) 김진사가 운영의 齋를 지낸 후 죽는다. (남성이 뒤따라 죽음)
(15) 유영이 두 사람에게 天上의 사람이 되었느냐고 묻는다.
(16) 두 사람이 자신들의 기록을 후세에 전할 것을 부탁한다.
(17) 유영이 술에 취해 잠이 들었다가 깨어보니, 책자만 놓여 있었다.
위의 핵심모티프를 살펴보면, <운영전>은 ‘평범한 남자와 특수한 신분의 여자와의 로맨스-장애 요소 등장-모험시도-죽음-사랑의 성취’의 패턴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운영전>의 기본구조는 <螺中美婦說話> 또는 그 변이설화의 구조와 유사한 것이다. 또 콩쥐팥쥐형이나 신데렐라형 그리고 로망스 문학의 모험을 통한 사랑 성취형 이야기와도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다. 단지 이야기마다 모험이 실패로 끝나느냐, 성공하느냐에 따라 죽음이 등장하느냐, 사랑의 성취가 이루어지느냐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螺中美婦說話>를 핵심모티프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범한 총각이 늦도록 장가를 못간다.
(2) 농사를 지으며, “이 농사를 지어 누구랑 목을꼬”라고 혼자 탄식한다.
(3) 논고동속의 美女를 발견하고 같이 산다. (로맨스결혼)
(4) 하루는 몸이 아파 美女가 대신 일하러 나가는데, 그 고을 縣官이 그녀를 보고 흑심을 품는다. ---그녀를 官家에 데려감.
(5) 총각이 官家에 찾아가 美女(아내)를 돌려 달라고 하나 縣官은 듣지 않는다.
(6) 총각은 靑鳥가 된다. (죽음)
(7) 美女도 음식을 전폐한지 수일만에 죽어 참빗이 된다.

<운영전>의 내부구조에 나오는 운영과 김진사의 로맨스는 이와 같은 ‘童話的 모티프’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흥미도를 더하기 위해 극적 긴장으로 치닫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운영전>에서 장애요소의 등장과 그것을 극복초월하기 위한 모험의 시도는 치열할 수밖에 없고, 그것의 실패에 따른 죽음으로의 급전직하는 긴장된 구조를 형성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운영전>에는 이러한 긴장의 구조만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세밀한 스토리 전개에 있어서는 주로 詩의 和答을 통한 풀림의 완화된 구조가 등장하게 된다.
포의혁 뵈옷닙고 가죽온 션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9.08.13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