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의 개념과 정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풍수지리의 개념과 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론적 배경
2) 풍수의 정의
3) 풍수의 본질과 목적
4) 풍수지리의 구성요소와 산세도
5) 풍수의 용어와 종류

본문내용

형세의 길흉을 살피는 방법을 말한다.
(28)개장(開帳): 장막을 연다는 의미가 있는 말로 혈 뒤의 산이 마치 새가 날개를 펴고 있는 듯한 모양 혹은 병풍이 펼쳐진 듯 형세로 있는 경우를 가리킨다.
(29)천심(穿心): 개장의 중심부를 뚫고 흐르는 산줄기를 가리킨다.
(30)규봉(竅峰): 사(砂)의 바깥쪽에서 혈을 향하여 언뜻언뜻 넘겨다보는 작은 산봉오리.
(31)간룡(幹龍): 사람으로 치면 등줄기와 같은 산맥으로 주산에서 혈을 향해 내려오는 용 중에서 기둥이 되는 굵은 살줄기를 가리킨다.
(32)지룡(枝龍): 위의 간룡과 반대로 곁가지와 같이 작은 산맥으로 내려온 용들을 가리킨다.
(33)인작(人作): 치산명당과 같은 뜻으로써 인위적으로 명당을 만드는 것을 뜻한다.
(34)용의 박환(剝換): 산맥이 깎이거나 풍화작용 등으로 부드러워져서 강력하고 험한 용맥이 약하고 부드러운 용맥으로 변화된 것을 말한다. 산세의 기가 부드러워졌으므로 용의 흉살(凶殺)도 없어졌다고 본다.
(35)나경(羅經): 풍수지리에서 각 방위를 측정하는 나침반이다. 일명 패철이라고도 하는데 풍수지리에서는 패철로 생기를 측정할 때 무덤은 24방위로, 집터는 8개의 방위로 세분하여 판별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8.18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6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