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줄기를 채집하며 응달에 건조하여 사용한다.
《本經》主五臟邪氣,心腹寒熱,羸瘦如狀,發作有時,諸關節風濕痛。
신농본초경은 인우는 오장사기, 심복부의 한열, 발작함에 시기가 있는 학질형상으로 마름을 주치하며, 여러 관절의 풍습비통을 주치하였다.
發明
발명
茵芋大毒,世亦罕用。
인우는 매우 독이 있으나 세상에 또한 드물게 사용된다.
《本經》雖有治羸瘦如狀一語,皆是五臟有邪氣,心腹寒熱所致,非能療虛羸寒熱也。
신농본초경에 인우는 비록 학질과 같이 마름을 치료한다는 한 말이 있으나 모두 오장에 사기가 있고 심복부에 한열이 이르러 허하고 파리한 한열을 치료함은 아니었다.
其治關節風濕痛,是其正治。
인우가 관절의 풍습비통을 치료한다고 함은 바른 치료이다.
時珍曰,《千金》《外臺》諸方治風有茵芋丸,治風有茵芋酒,治婦人後中風有茵芋膏,風濕諸方多用之。
이시진이 말하길 천금방, 외대비요의 여러 처방에 풍간을 치료함에 인우환이 있음은 풍습에는 인우주로 치료하며 부인의 산후의 중풍에는 인우고로 치료하며 풍습사의 여러 처방에 많이 인우를 사용하였다.
茵芋、石南、莽草皆古人治風妙品,近世罕知。
인우, 석남, 망초는 모두 고대 사람이 풍을 치료하는데 오묘한 약품이나 근세에는 드물게 안다.
鉤吻 吻(입술, 말투, 어기 문; -총7획; wen)
구문
《本經》名野葛,紅花者名火把草,黃花者名黃藤,《千金》名黃野葛.
구문은 신농본초경에 야갈이라고 이름하며 홍색 꽃은 화파초라고 이름하며 황색 꽃은 황등이라고 이름하며 천금방에는 황야갈이라고 이름한다.
辛溫,大毒。
구문은 신미와 온기로 매우 독이 있다.
《本經》主金瘡乳中惡風,咳逆上氣,水腫,殺鬼蠱毒。
신농본초경은 구문은 금창유치, 악성 풍에 적중됨, 해역상기, 부종을 주치하며 귀주와 고의 독을 없앤다고 했다.
發明
발명
野葛之毒甚於戈戟,故有鉤吻之名。
야갈의 독은 창이나 두갈래 창보다 심하므로 구문의 이름이 있다.
而風毒蠱用之以毒攻毒,苟非大劇。
풍독, 고의 주에 사용하면 구문의 독으로 독을 공격함이니 큰 심함이 아니다.
亦難輕用。
또한 구문은 가벼이 사용하기 어렵다.
紫者破血結,者破痰積。
자색 구문은 혈의 결체를 깨며 청색 구문은 담적을 깬다.
其葉與黃精葉相似,但鉤吻葉有毛鉤二個,黃精葉似竹葉而無毛鉤,可以明辨。
구문의 잎은 황정의 잎과 서로 유사하며 단지 구문의 잎은 털과 갈고리가 2개가 있고, 황정의 잎은 죽엽과 유사하여 털과 갈고리가 없음으로 분명히 변별할 수 있다.
誤食鉤吻葉,冷水死,以死屍懸樹上汁滴在地生菌子,收之名菌藥。
잘못 구문잎을 먹으면 냉수를 마시면 죽고 죽은 시체를 나무 위에 매달아 즙을 땅에 떨어뜨리면 버섯이 생기니 그것을 수집하면 균약이라고 한다.
毒於野葛, (모을, 옹채 옹; -총17획; yong)
菜搗汁解之,取菜汁滴野葛苗萎死。
구문은 야갈보다 독하며 옹채를 찧은 즙으로 푸니 옹채즙을 취하여 야갈싹에 점적하면 시들어 죽는다.
中野葛毒,急不可得菜,多甘草汁、人屎汁,或白鴨血、白鵝血、羊血灌之亦解。
야갈독에 적중하면 급하게 옹채를 얻지 못하면 만이 감초즙, 인뇨즙, 혹은 백색 오리피, 백색 거위피, 양피를 마셔서 들이 부으면 풀린다.
《本經》主五臟邪氣,心腹寒熱,羸瘦如狀,發作有時,諸關節風濕痛。
신농본초경은 인우는 오장사기, 심복부의 한열, 발작함에 시기가 있는 학질형상으로 마름을 주치하며, 여러 관절의 풍습비통을 주치하였다.
發明
발명
茵芋大毒,世亦罕用。
인우는 매우 독이 있으나 세상에 또한 드물게 사용된다.
《本經》雖有治羸瘦如狀一語,皆是五臟有邪氣,心腹寒熱所致,非能療虛羸寒熱也。
신농본초경에 인우는 비록 학질과 같이 마름을 치료한다는 한 말이 있으나 모두 오장에 사기가 있고 심복부에 한열이 이르러 허하고 파리한 한열을 치료함은 아니었다.
其治關節風濕痛,是其正治。
인우가 관절의 풍습비통을 치료한다고 함은 바른 치료이다.
時珍曰,《千金》《外臺》諸方治風有茵芋丸,治風有茵芋酒,治婦人後中風有茵芋膏,風濕諸方多用之。
이시진이 말하길 천금방, 외대비요의 여러 처방에 풍간을 치료함에 인우환이 있음은 풍습에는 인우주로 치료하며 부인의 산후의 중풍에는 인우고로 치료하며 풍습사의 여러 처방에 많이 인우를 사용하였다.
茵芋、石南、莽草皆古人治風妙品,近世罕知。
인우, 석남, 망초는 모두 고대 사람이 풍을 치료하는데 오묘한 약품이나 근세에는 드물게 안다.
鉤吻 吻(입술, 말투, 어기 문; -총7획; wen)
구문
《本經》名野葛,紅花者名火把草,黃花者名黃藤,《千金》名黃野葛.
구문은 신농본초경에 야갈이라고 이름하며 홍색 꽃은 화파초라고 이름하며 황색 꽃은 황등이라고 이름하며 천금방에는 황야갈이라고 이름한다.
辛溫,大毒。
구문은 신미와 온기로 매우 독이 있다.
《本經》主金瘡乳中惡風,咳逆上氣,水腫,殺鬼蠱毒。
신농본초경은 구문은 금창유치, 악성 풍에 적중됨, 해역상기, 부종을 주치하며 귀주와 고의 독을 없앤다고 했다.
發明
발명
野葛之毒甚於戈戟,故有鉤吻之名。
야갈의 독은 창이나 두갈래 창보다 심하므로 구문의 이름이 있다.
而風毒蠱用之以毒攻毒,苟非大劇。
풍독, 고의 주에 사용하면 구문의 독으로 독을 공격함이니 큰 심함이 아니다.
亦難輕用。
또한 구문은 가벼이 사용하기 어렵다.
紫者破血結,者破痰積。
자색 구문은 혈의 결체를 깨며 청색 구문은 담적을 깬다.
其葉與黃精葉相似,但鉤吻葉有毛鉤二個,黃精葉似竹葉而無毛鉤,可以明辨。
구문의 잎은 황정의 잎과 서로 유사하며 단지 구문의 잎은 털과 갈고리가 2개가 있고, 황정의 잎은 죽엽과 유사하여 털과 갈고리가 없음으로 분명히 변별할 수 있다.
誤食鉤吻葉,冷水死,以死屍懸樹上汁滴在地生菌子,收之名菌藥。
잘못 구문잎을 먹으면 냉수를 마시면 죽고 죽은 시체를 나무 위에 매달아 즙을 땅에 떨어뜨리면 버섯이 생기니 그것을 수집하면 균약이라고 한다.
毒於野葛, (모을, 옹채 옹; -총17획; yong)
菜搗汁解之,取菜汁滴野葛苗萎死。
구문은 야갈보다 독하며 옹채를 찧은 즙으로 푸니 옹채즙을 취하여 야갈싹에 점적하면 시들어 죽는다.
中野葛毒,急不可得菜,多甘草汁、人屎汁,或白鴨血、白鵝血、羊血灌之亦解。
야갈독에 적중하면 급하게 옹채를 얻지 못하면 만이 감초즙, 인뇨즙, 혹은 백색 오리피, 백색 거위피, 양피를 마셔서 들이 부으면 풀린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