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본론
1. 행정구역
2. 자연지리
3. 인문지리
4. 산업지리
Ⅲ. 황해남도의 과거 현재 & 미래
Ⅳ. 결론
-참고문헌 및 사이트-
Ⅱ. 본론
1. 행정구역
2. 자연지리
3. 인문지리
4. 산업지리
Ⅲ. 황해남도의 과거 현재 & 미래
Ⅳ. 결론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고인돌, 봉천온천, 자모산성터,
신운호(작가) - 김일성상, 국기훈장 제1급
삼천군
삼천온천, 달천온천, 수교온천, 달마산
송화군
송화삼광향나무(제144호)
신원군
신원쌍둥이느티나무(제155호), 은행나무(제156호), 장수산성,
염탄천 계곡, 고인돌
신천군
신천온천, 리목온천, 자혜사, 대웅전, 승방, 5층석탑, 석등,
청산리토성, 신천팔경, 명사리유적, 차신행(조각가)- 공훈예술가
허능택 화가 공훈예술가 강승환(시인)
안악군
안악 제1호 고분(국보 제26호), 안악 제2호 고분(국보 제27호),
안악 제3호 고분(국보 제28호), 비천도, 구월산, 사왕봉, 정곡사터,
금란굴, 복사리 벽화고분, 월정사, 패엽사 / 김정운(영화배우) 인민배우
김승준(경제학자) - 국기훈장 제1급 / 리재준(영화연출가) - 인민예술가
오명수(로력영웅) 2중 로력영웅, 공훈광부, 국기훈장 제1급
연안군
은행나무(제165호), 연안산성터, 연안대첩비, 비봉산, 연안읍성,
연안온천, 주대식 화가 공훈예술가
옹진군
옹진참김(제134호) 아산온천(제136호), 재두루미 도래지(제133호)
옹진 이팝나무(제135호), 옹진온천, 화산산성터, 월성암, 망국단,
소강성터, 청련사, 본여읍성터
은률군
황목련(천연기념물), 구월산 애기개구리 살이터(천연기념물),
구월산 관산리 지석묘, 은률팔경, 은률 운성리유적,
운성리토성, 운성리9호분
리용겸(의학자) 국기훈장 제1급
은천군
백두루미, 재두루미, 개두루미, 선돌, 구절벽, 망우대, 화양대, 재량당,
오객봉, 은천온천 리률선(화가) 공훈예술가, 인민예술
장연군
학림사, 향적전, 금강문, 5층 석탑,
불타산, 황학대
신문규(공학자) - 로력영웅, 국기훈장 제1급
지재룡(작가) -국기훈장 제1급
재령군
장수산, 석동 12곡, 벽바위골, 천길바위, 관봉석문, 채진암석문, 금은굴, 광음굴, 장수산성, 묘음, 약수폭포, 수양폭포, 샘폭포, 토광묘, 판곽묘, 문루, 석대, 김제원(애국농민) - 애국미헌납운동
김시권(시인) 김일성상, 로력영웅, 국기훈장 제1급, 로력훈장
조경순(영화배우, 영화연출가) 인민배우, 김일성상, 로력영웅
최예선 연극, 영화배우 공훈배우
청단군
구암저수지, 영귀정, 말무덤, 진투골산성, 고인돌, 룡매도
김진명(성악가, 작곡가) 인민배
태탄군
속달산성, 수경대
곽명서(영화배우) 인민배우, 국기훈장 제1급
출처: [조선향토대백과 8: 황해남도] 평화문제연구소,
4. 산업지리
황해남도는 경제발전에 유리한 자연조건과 자연부원을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농업과 광업, 수공업이 발전하여 왔다. 광복 후 황해남도에서는 짧은 기간에 일제의 식민지적 락후성을 완전히 없애고 전면적인 경제발전의 길에 들어섰다. 현재 이 곳의 경제의 핵심을 이루는 분야는 채굴업과 농산업이다.
1) 농업
연백평야(550㎢)·재령평야(750㎢)를 중심으로 북한에서 농업이 가장 발달한 지역이다.
농경지는 도 전체면적의 41.4% 되는데, 그 가운데서 논이 47.9%, 밭이 36.8%, 과수밭이 11.2%, 뽕밭이 1.4%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면적은 북한 전체 경지면적의 13.3%로 그 가운데 논 50%, 밭 36%, 과수원 및 뽕밭 10% 정도이다. 주요농산물은 쌀·옥수수·보리·콩·고구마이며, 배추·무·시금치·오이·마늘·고추·파 등의 채소를 재배하고 온천수를 이용한 온실재배도 활발하다. 조선향토대백과 8: 황해남도 평화문제연구소, p.43
◇ 과수업
과수재배에 유리한 자연조건을 가지고 있다. 광복 후 야산과 언덕지대를 비롯한 빈땅들을 전군중적 운동으로 일구어 과수면적을 대대적으로 늘였다. 과수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군은 과일군,룡연군,은률군,장연군,삼천군,송화군,해주시 등 지역이다. 주로 사과, 배, 복숭아, 감, 귤과 산과일 등이 산출되고 있다. 과일군,안악군,삼천군,장연군,신천군,송화군,은천군,은률군에는 큰 과수농장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과일군은 과일을 전문을 생산하는 과수종합농장으로 되어 있다.
<그림 1-1 과일군과수종합농장>
출처: [조선향토대백과 8: 황해남도]
북한에서 사과를 많이 생산하는 지방은 평양을 비롯해 「100리 청춘과원」으로 불리는 황해남도 과일과 은율, 함남 북청·덕성, 황북 황주·사리원, 평남 숙천·평원, 강원도 고산·안변 등지이다. 특히 이 가운데 과일군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경지면적의 70% 이상이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을 재배하는 과수원으로 이뤄져 있는 최대 과일 생산지이며 북한 전체 사과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http://www.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2011570409 2008. 5.6
또한 과일군은 과일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과수종합농장으로 되어 있다.
2) 수산업
해안선이 길고 만입과 섬이 많은 것으로 하여 해안어로작업과 함께 연해지역서 갖가지 조개류 바다나물 등을 양식하는데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수산업체로는 해주수산사업소, 몽금포수산사업소, 구미포바다가양식사업소, 옹진바다가양식사업소, 부포바다가양식사업소, 평화바다가양식사업소와 해주룡당수산협동조합 등이 있다. 앞바다는 더운물과 찬물 흐름의 영향을 다 받은 수역으로서 여러 가지 물고기들이 서식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어 정착어족 회유어족이 많다. 주로 칼치, 조기, 민어, 까나리, 전복, 해삼 등을 어획 및 채취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물고기류 40종, 조개류 15종, 바다나물류 10여 종, 갑각류 15종을 비롯하여 120여 종의 수산자원이 있다.
3) 공업
현대적인 대규모의 중앙공업과 지방공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업의 부문구조가 균형적으로 배치되여 있다. 공업에서 채굴업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후에 기계공업, 화학공업 등 새로운 중공업부문들이 발족되였고 이미 있던 건재공업부문이 현대적으로 개건확장되었다. 특히 농촌경리부문에 종사하는 공업과 지방의 원료원천에 의거하는 종합적인 지방공업기지들이 튼튼히 마련되였다.
① 채취공업
광복 후 특히 전후에 광물매장량을 확보하였으며 광산들을 개건 확장하고 설비의 대형화, 고
신운호(작가) - 김일성상, 국기훈장 제1급
삼천군
삼천온천, 달천온천, 수교온천, 달마산
송화군
송화삼광향나무(제144호)
신원군
신원쌍둥이느티나무(제155호), 은행나무(제156호), 장수산성,
염탄천 계곡, 고인돌
신천군
신천온천, 리목온천, 자혜사, 대웅전, 승방, 5층석탑, 석등,
청산리토성, 신천팔경, 명사리유적, 차신행(조각가)- 공훈예술가
허능택 화가 공훈예술가 강승환(시인)
안악군
안악 제1호 고분(국보 제26호), 안악 제2호 고분(국보 제27호),
안악 제3호 고분(국보 제28호), 비천도, 구월산, 사왕봉, 정곡사터,
금란굴, 복사리 벽화고분, 월정사, 패엽사 / 김정운(영화배우) 인민배우
김승준(경제학자) - 국기훈장 제1급 / 리재준(영화연출가) - 인민예술가
오명수(로력영웅) 2중 로력영웅, 공훈광부, 국기훈장 제1급
연안군
은행나무(제165호), 연안산성터, 연안대첩비, 비봉산, 연안읍성,
연안온천, 주대식 화가 공훈예술가
옹진군
옹진참김(제134호) 아산온천(제136호), 재두루미 도래지(제133호)
옹진 이팝나무(제135호), 옹진온천, 화산산성터, 월성암, 망국단,
소강성터, 청련사, 본여읍성터
은률군
황목련(천연기념물), 구월산 애기개구리 살이터(천연기념물),
구월산 관산리 지석묘, 은률팔경, 은률 운성리유적,
운성리토성, 운성리9호분
리용겸(의학자) 국기훈장 제1급
은천군
백두루미, 재두루미, 개두루미, 선돌, 구절벽, 망우대, 화양대, 재량당,
오객봉, 은천온천 리률선(화가) 공훈예술가, 인민예술
장연군
학림사, 향적전, 금강문, 5층 석탑,
불타산, 황학대
신문규(공학자) - 로력영웅, 국기훈장 제1급
지재룡(작가) -국기훈장 제1급
재령군
장수산, 석동 12곡, 벽바위골, 천길바위, 관봉석문, 채진암석문, 금은굴, 광음굴, 장수산성, 묘음, 약수폭포, 수양폭포, 샘폭포, 토광묘, 판곽묘, 문루, 석대, 김제원(애국농민) - 애국미헌납운동
김시권(시인) 김일성상, 로력영웅, 국기훈장 제1급, 로력훈장
조경순(영화배우, 영화연출가) 인민배우, 김일성상, 로력영웅
최예선 연극, 영화배우 공훈배우
청단군
구암저수지, 영귀정, 말무덤, 진투골산성, 고인돌, 룡매도
김진명(성악가, 작곡가) 인민배
태탄군
속달산성, 수경대
곽명서(영화배우) 인민배우, 국기훈장 제1급
출처: [조선향토대백과 8: 황해남도] 평화문제연구소,
4. 산업지리
황해남도는 경제발전에 유리한 자연조건과 자연부원을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농업과 광업, 수공업이 발전하여 왔다. 광복 후 황해남도에서는 짧은 기간에 일제의 식민지적 락후성을 완전히 없애고 전면적인 경제발전의 길에 들어섰다. 현재 이 곳의 경제의 핵심을 이루는 분야는 채굴업과 농산업이다.
1) 농업
연백평야(550㎢)·재령평야(750㎢)를 중심으로 북한에서 농업이 가장 발달한 지역이다.
농경지는 도 전체면적의 41.4% 되는데, 그 가운데서 논이 47.9%, 밭이 36.8%, 과수밭이 11.2%, 뽕밭이 1.4%를 차지하고 있다. 경지면적은 북한 전체 경지면적의 13.3%로 그 가운데 논 50%, 밭 36%, 과수원 및 뽕밭 10% 정도이다. 주요농산물은 쌀·옥수수·보리·콩·고구마이며, 배추·무·시금치·오이·마늘·고추·파 등의 채소를 재배하고 온천수를 이용한 온실재배도 활발하다. 조선향토대백과 8: 황해남도 평화문제연구소, p.43
◇ 과수업
과수재배에 유리한 자연조건을 가지고 있다. 광복 후 야산과 언덕지대를 비롯한 빈땅들을 전군중적 운동으로 일구어 과수면적을 대대적으로 늘였다. 과수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군은 과일군,룡연군,은률군,장연군,삼천군,송화군,해주시 등 지역이다. 주로 사과, 배, 복숭아, 감, 귤과 산과일 등이 산출되고 있다. 과일군,안악군,삼천군,장연군,신천군,송화군,은천군,은률군에는 큰 과수농장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과일군은 과일을 전문을 생산하는 과수종합농장으로 되어 있다.
<그림 1-1 과일군과수종합농장>
출처: [조선향토대백과 8: 황해남도]
북한에서 사과를 많이 생산하는 지방은 평양을 비롯해 「100리 청춘과원」으로 불리는 황해남도 과일과 은율, 함남 북청·덕성, 황북 황주·사리원, 평남 숙천·평원, 강원도 고산·안변 등지이다. 특히 이 가운데 과일군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경지면적의 70% 이상이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을 재배하는 과수원으로 이뤄져 있는 최대 과일 생산지이며 북한 전체 사과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http://www.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2011570409 2008. 5.6
또한 과일군은 과일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과수종합농장으로 되어 있다.
2) 수산업
해안선이 길고 만입과 섬이 많은 것으로 하여 해안어로작업과 함께 연해지역서 갖가지 조개류 바다나물 등을 양식하는데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수산업체로는 해주수산사업소, 몽금포수산사업소, 구미포바다가양식사업소, 옹진바다가양식사업소, 부포바다가양식사업소, 평화바다가양식사업소와 해주룡당수산협동조합 등이 있다. 앞바다는 더운물과 찬물 흐름의 영향을 다 받은 수역으로서 여러 가지 물고기들이 서식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어 정착어족 회유어족이 많다. 주로 칼치, 조기, 민어, 까나리, 전복, 해삼 등을 어획 및 채취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물고기류 40종, 조개류 15종, 바다나물류 10여 종, 갑각류 15종을 비롯하여 120여 종의 수산자원이 있다.
3) 공업
현대적인 대규모의 중앙공업과 지방공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업의 부문구조가 균형적으로 배치되여 있다. 공업에서 채굴업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후에 기계공업, 화학공업 등 새로운 중공업부문들이 발족되였고 이미 있던 건재공업부문이 현대적으로 개건확장되었다. 특히 농촌경리부문에 종사하는 공업과 지방의 원료원천에 의거하는 종합적인 지방공업기지들이 튼튼히 마련되였다.
① 채취공업
광복 후 특히 전후에 광물매장량을 확보하였으며 광산들을 개건 확장하고 설비의 대형화, 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