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
[2]. 대기오염
[3]. 서울의 대기오염의 심각성
[4]. 서울 대기오염의 특성과 원인
[5]. 서울의 대기환경을 위한 서울시의 방안
[6]. 서울시와 시민간의 상호간의 역할
[7]. 고찰
[8]. 참고자료*
[2]. 대기오염
[3]. 서울의 대기오염의 심각성
[4]. 서울 대기오염의 특성과 원인
[5]. 서울의 대기환경을 위한 서울시의 방안
[6]. 서울시와 시민간의 상호간의 역할
[7]. 고찰
[8]. 참고자료*
본문내용
47
56
60
75
86
에너지관리
67
73
74
75
79
82
86
90
BAU 배출량
3,827
3,870
3,900
3,965
3,952
3,983
4,034
4,084
삭감후 배출량
2,943
2,640
2,319
2,151
1,928
1,789
1,602
1,454
기본계획 목표삭감량
24
205
373
576
700
914
1,149
1,382
맑은서울2010목표삭감량
438
618
740
896
1,030
1,171
1,332
1,492
휘발성유기화합물
- 2014년 총배출량 108,899톤 중 81,832톤(75.1%)을 삭감하여, 기본계획에 의한 삭감목표량 51,625톤을 초과 달성 가능하다.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삭감량
합 계
22,816
32,811
41,874
50,844
58,846
66,844
74,477
81,832
자동차관리 대책
1,882
3,404
5,015
6,536
7,086
7,626
7,790
7,749
비도로이동오염원
0
537
563
589
616
642
669
695
사업장관리 대책
5
5
5
5
5
5
5
5
에너지관리
101
109
110
113
120
125
132
137
면오염원관리방안
20,828
28,756
36,181
43,601
51,019
58,446
65,881
73,246
BAU 배출량
92,242
94,193
96,433
99,159
101,254
103,563
106,144
108,899
삭감후 배출량
69,426
61,382
54,559
48,315
42,408
36,719
31,667
27,067
기본계획 목표삭감량
2,358
4,125
6,181
15,319
23,825
32,852
42,152
51,625
연차별 소요예산
- 총 2조 4,251억원 중 국비 6,122억원 소요 추정된다.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계
소요예산
4,111
4,737
4,218
2,720
2,193
2,145
2,142
1,985
24,251
국 비
879
867
798
790
736
711
710
631
6,122
시 비
3,231
3,871
3,420
1,930
1,458
1,433
1,432
1,353
18,128
[6]. 서울시와 시민간의 상호간의 역할
- 서울의 대기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발상전환을 바탕으로, 향후 대기환경 개선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선진 외군의 대기환경 개선 정책사례와 같이, 몇 가지 원칙이 명확하게 정립되어야 한다.
먼저, 오늘날 대도시 대기오염문제는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되며 그 양상 또한 복잡하기 때문에 환경문제의 핵심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통합 및 특화관리의 지혜가 필요하다. 통합관리의 범주는 중앙-지방정부, 정부-민간, 교통-환경부문 등과 같이 대기 환경관리 주체별 · 정책대상별 유기적 협력이 환경문제 해결의 기본전제가 된다. 특히 서울의 자동차 대기오염 비중이 절대적임에 비추어, 서울시 교통계획은 저공해자동차 보급사업과 함께 환경계획과의 연계 추진이 시급하다.
또한 시민의 직접적인 체감오염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대기환경 특성에 맞는 특화관리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서울의 경우, 미세먼지 오염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로변 먼지청소 시스템과 같은 특화사업 추진이 이에 해당한다. 중앙선에서 물을 분사해 도로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클린 도로’시설이 시내 전역으로 확대될 방침이다. 이는 서울의 앞서가는 특화 환경개선 사업추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역주민과 지방자치단체가 상호 협력자로서 지역복리의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지방자치제라고 하면, 환경자치제는 지역의 환경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자치단체와 주민 상호간 협력과정이다. 이에 서울의 환경자치제는 종래의 중앙정부 주도의 자소 정형화된 환경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특성을 고려한 배출규제 및 유도와 같은 서울시 중심의 주민 밀착형 환경관리 방식을 의마한다. 다만 환경자치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결정은 서울시 · 기업 · 시민의 수평적 의견 교환 및 참여과정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서울시에서는 자동차 배출가스 절감 및 친환경에너지 보급, 경유자동차 저공해사업, 실내공기질 관리, 승용차요일제 정착, 매연 과다배출 경유자동차 도심운행 제한 등 교통수요 관리 등을 담당하게 하여야 한다.
[7]. 고찰
이번 과제를 준비하면서 서울시에서 시민들을 더욱 좋은 환경에서 살기위해 대기 환경 개선을 위해서 이렇게 많은 제도를 진행하고 계획을 추진하는지 몰랐었는데 알게 되어서 좋았고 대기오염의 피해와 원인,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서울시민인 나부터 관심을 가져야 겠다는 반성을 했다. 자료에서 해마다 대기 환경이 좋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내가 나이가 들어 자식들이 생겼을 때는 더욱 좋은 환경에서 살 수 있겠구나 하는 희망 찬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내가 사는 곳인 서울의 대기환경에 무관심했었는데 이번 기회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환경을 공부하는 공학도로서도 많은 도움이 된 참 좋은 시간이어서 과제를 내주신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8]. 참고자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147554 서울의 대기환경 심각성 기사
http://www.seoul.go.kr 서울시 홈페이지
http://www.sdi.re.kr/nfile/zcom_nwfocus/pol_focus0102.pdf 대기 환경을 위한 개선안 보고서
http://www.fnnews.com/view?ra=Sent1201m_View&corp=fnnews&arcid=00000921673986&cDateYear=2009&cDateMonth=06&cDateDay=04 서울의 대기환경 개선 기사
http://www.seoul.go.kr/info/organ/subhomepage/clean/airpollution/airpollution0601.html 서울특별시 맑은 서울 추진본부 홈페이지
56
60
75
86
에너지관리
67
73
74
75
79
82
86
90
BAU 배출량
3,827
3,870
3,900
3,965
3,952
3,983
4,034
4,084
삭감후 배출량
2,943
2,640
2,319
2,151
1,928
1,789
1,602
1,454
기본계획 목표삭감량
24
205
373
576
700
914
1,149
1,382
맑은서울2010목표삭감량
438
618
740
896
1,030
1,171
1,332
1,492
휘발성유기화합물
- 2014년 총배출량 108,899톤 중 81,832톤(75.1%)을 삭감하여, 기본계획에 의한 삭감목표량 51,625톤을 초과 달성 가능하다.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삭감량
합 계
22,816
32,811
41,874
50,844
58,846
66,844
74,477
81,832
자동차관리 대책
1,882
3,404
5,015
6,536
7,086
7,626
7,790
7,749
비도로이동오염원
0
537
563
589
616
642
669
695
사업장관리 대책
5
5
5
5
5
5
5
5
에너지관리
101
109
110
113
120
125
132
137
면오염원관리방안
20,828
28,756
36,181
43,601
51,019
58,446
65,881
73,246
BAU 배출량
92,242
94,193
96,433
99,159
101,254
103,563
106,144
108,899
삭감후 배출량
69,426
61,382
54,559
48,315
42,408
36,719
31,667
27,067
기본계획 목표삭감량
2,358
4,125
6,181
15,319
23,825
32,852
42,152
51,625
연차별 소요예산
- 총 2조 4,251억원 중 국비 6,122억원 소요 추정된다.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계
소요예산
4,111
4,737
4,218
2,720
2,193
2,145
2,142
1,985
24,251
국 비
879
867
798
790
736
711
710
631
6,122
시 비
3,231
3,871
3,420
1,930
1,458
1,433
1,432
1,353
18,128
[6]. 서울시와 시민간의 상호간의 역할
- 서울의 대기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발상전환을 바탕으로, 향후 대기환경 개선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선진 외군의 대기환경 개선 정책사례와 같이, 몇 가지 원칙이 명확하게 정립되어야 한다.
먼저, 오늘날 대도시 대기오염문제는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되며 그 양상 또한 복잡하기 때문에 환경문제의 핵심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통합 및 특화관리의 지혜가 필요하다. 통합관리의 범주는 중앙-지방정부, 정부-민간, 교통-환경부문 등과 같이 대기 환경관리 주체별 · 정책대상별 유기적 협력이 환경문제 해결의 기본전제가 된다. 특히 서울의 자동차 대기오염 비중이 절대적임에 비추어, 서울시 교통계획은 저공해자동차 보급사업과 함께 환경계획과의 연계 추진이 시급하다.
또한 시민의 직접적인 체감오염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대기환경 특성에 맞는 특화관리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서울의 경우, 미세먼지 오염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로변 먼지청소 시스템과 같은 특화사업 추진이 이에 해당한다. 중앙선에서 물을 분사해 도로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클린 도로’시설이 시내 전역으로 확대될 방침이다. 이는 서울의 앞서가는 특화 환경개선 사업추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역주민과 지방자치단체가 상호 협력자로서 지역복리의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지방자치제라고 하면, 환경자치제는 지역의 환경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자치단체와 주민 상호간 협력과정이다. 이에 서울의 환경자치제는 종래의 중앙정부 주도의 자소 정형화된 환경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특성을 고려한 배출규제 및 유도와 같은 서울시 중심의 주민 밀착형 환경관리 방식을 의마한다. 다만 환경자치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결정은 서울시 · 기업 · 시민의 수평적 의견 교환 및 참여과정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서울시에서는 자동차 배출가스 절감 및 친환경에너지 보급, 경유자동차 저공해사업, 실내공기질 관리, 승용차요일제 정착, 매연 과다배출 경유자동차 도심운행 제한 등 교통수요 관리 등을 담당하게 하여야 한다.
[7]. 고찰
이번 과제를 준비하면서 서울시에서 시민들을 더욱 좋은 환경에서 살기위해 대기 환경 개선을 위해서 이렇게 많은 제도를 진행하고 계획을 추진하는지 몰랐었는데 알게 되어서 좋았고 대기오염의 피해와 원인,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서울시민인 나부터 관심을 가져야 겠다는 반성을 했다. 자료에서 해마다 대기 환경이 좋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내가 나이가 들어 자식들이 생겼을 때는 더욱 좋은 환경에서 살 수 있겠구나 하는 희망 찬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내가 사는 곳인 서울의 대기환경에 무관심했었는데 이번 기회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환경을 공부하는 공학도로서도 많은 도움이 된 참 좋은 시간이어서 과제를 내주신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8]. 참고자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147554 서울의 대기환경 심각성 기사
http://www.seoul.go.kr 서울시 홈페이지
http://www.sdi.re.kr/nfile/zcom_nwfocus/pol_focus0102.pdf 대기 환경을 위한 개선안 보고서
http://www.fnnews.com/view?ra=Sent1201m_View&corp=fnnews&arcid=00000921673986&cDateYear=2009&cDateMonth=06&cDateDay=04 서울의 대기환경 개선 기사
http://www.seoul.go.kr/info/organ/subhomepage/clean/airpollution/airpollution0601.html 서울특별시 맑은 서울 추진본부 홈페이지
추천자료
대기 오염
대기오염의 실태와 억제방안
황사 문제와 동북아 환경협력방안
대기오염의 원인과 대책 - 대기오염의 정의, 대기의 구성, 오염물질, 가스상 오염물질, 대기...
대기오염에대해
대기질 개선대책 (연료분야)
대기오염의 실태와 원인 및 대책방안
[대기오염]대기오염의 원인과 심각성, 대기오염 문제와 해결을 위한 대책, 대기오염 물질의 ...
대기오염의 현황과 원인 및 대책
[대기오염][대기오염물질][열섬현상][열섬현상의 원인][열섬현상의 대책]대기오염의 개념, 대...
대기오염의 원인과 영향 및 해결방안
개발이냐 보전이냐 (환경학자와 경제학자의 논쟁)
대기화학 및 실험 - 실내외 이산화탄소(CO2), 온도, 상대습도, 기압 측정을 통한 CO2의 농도보정
[도심지역의 오염발생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 평형이론을 활용한 도심의 대기 안정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