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論
Ⅱ. 本論
1. 루터의 생애
(1) 어린시절의 마르틴 루터
(2) 청년 마르틴 루터
(3) 젊은 시절의 루터
1) 하르타만 그리자르.S.J
2) 어네스트 G.슈비베르트
3) 루시안 페브르
(4) 1521년 이후의 마르틴 루터
1) 루드비히 폰 파스토르
2) 칼 브란디
3) 프리저브드 스미스
Ⅲ. 結 論
Ⅳ.參考文獻
Ⅱ. 本論
1. 루터의 생애
(1) 어린시절의 마르틴 루터
(2) 청년 마르틴 루터
(3) 젊은 시절의 루터
1) 하르타만 그리자르.S.J
2) 어네스트 G.슈비베르트
3) 루시안 페브르
(4) 1521년 이후의 마르틴 루터
1) 루드비히 폰 파스토르
2) 칼 브란디
3) 프리저브드 스미스
Ⅲ. 結 論
Ⅳ.參考文獻
본문내용
루터와 교제하기 위해 저녁식사 후에도 루터의 서재로 모여드는 학생들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설교여행에서도 일반인들에 둘러싸여 여러 가지 이야기로 그들을 즐겁게 해 주고 그들과 유쾌하게 대화했다. 그의 대화에는 그의 부모가 속한 계층에 대한 따뜻한 이해와 호의가 서려 있었다.
그는 귀족과 하층민 모두와 더불어 평안을 누린 참으로 위대한 인물 중 한 사람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훗날 성경을 일반인들이 쓰는 어휘로 번역할 때 사용하게 될 독일어에 익숙해져 갔다.
루터의 개혁에 영향받은 세력가들도 루터에게 호의를 보냈다. 멜란히톤은 비텐베르그에 도착하자마자 “ 이 세상에 내가 사랑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마르틴 루터와 그의 경건한 글들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무엇보다도 루터를 사랑한다”고 썼다. 그는 다른 기회에도 “ 이 세상에 그보다 더 위대한 사람은 결코 없었다. 그와 나 자신을 분리시키느니 차라리 죽겠다”고 덧붙였다. 그것은 빈말이 아니었다. 재주가 있었던 멜란히톤은 더 유명한 기구에서 일할 기회가 많았지만 비텐베르그에 머물기 위해 모든 것을 거절했다. 대체로 루터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문하생들의 태도 또한 루터가 가진 매력에 대한 증거다.
호른베르크(Johannes Hornberg)는 스스로 비텐베르그에서 모든 것을 새로 배우기 시작했다고 말했으며, 블라우러【Thomas Blaurer(Blarer)】는 자신이 ‘ 성경을 진실로 이해하는 유일한 생존자’의 발 아래 앉아 있었다고 말했다. 울스체니우스(Felix Ulscenius)는 루터를 ‘ 신의 말씀의 강력한 해설자’로 보았으며, 그와 그의 동료들은 루터와 동시대인이 된 것을 크나큰 은총으로 생각하고 루터의 설교를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 한다고 말했다.
루터의 두드러진 정신적 특징 가운데 하나로 뛰어난 기억력을 들 수 있다. 독일 역사상 루터보다 더 자세하게 성경을 안 사람은 없었다. 그는 구약과 신약 모두를 한마디 한마디 그대로 인용할 수 있었다. 실수도 거의 없었다. 동시에 그는 고전과 교부들의 작품, 그리고 이전에 읽은 다른 자료들을 잘 기억했다.…루터는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는 그 거대한 정보창고에 의지해 믿을 수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글을 써내려갔는데, 어떤 사람이 그를 공격하면 수주일 내에 그 답변이 신문에 실렸다. 그는 절대로 고쳐 쓰지 않았으며 거의 퇴고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다산적 두뇌에서 나온 사상의 풍부함과 다양성은 실로 놀랄 정도이다.
루터의 독창적인 창조정신과 예리한 개성도 놀랄 만한 것이었다. 그는 전통적인 로마 카톨릭교의 테두리 안에서 훈련받았고, 그 교리에 철저히 젖어 있었다. “신앙에 의해서만 의로워진다”는 그의 교리는 성경의 가르침을 새롭게 종합한 것이었다. 그는 처음에는 오컴, 아우구스티누스, 기타 사람들의 가르침을 따랐지만, 얼마 안 되어 그들 또한 신뢰할 수 없는 안내자라는 사실을 알았다. 한동안 자신을 매료시킨 타울러(Johann Tauler)의 작품들을 읽었지만, 그는 언제나 모든 것을 절대적 기준인 신의 계시에 입각해 사고하였다.
이러한 휴머니시트적인 접근의 결과 그는 原 자료로 되돌아갈 수 있었다. 그는 신학의 경우 독창적인 사상가는 진리의 샘, 즉 성경으로부터 진리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약성경에 토대하고 천년 간 잊혀져 온 공기를 호흡하는 新 바울주의가 때맞추어 그의 사상으로부터 나왔다.…
루터에게는 상당한 연극적 재능도 있었다. 그는 강의와 설교에서 그것을 아주 효과적으로 이용했다. 또한 이 연극적 재능을 써서 사사로운 대화에서도 세련된 위트와 묘한 매력을 발휘하였다. 그것은 그의 시적·음악적 재능과 결합되어 그를 모든 계층의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도록 만들어 주었다.…
반면 좋지 못한 건강은 루터에게는 핸디캡이었다. 그가 수도원의 엄격한 규율과 금식 때문에 육체적으로 고통받았다는 사실은 중년에 이르기까지의 쇠약했던 그의 모습에서 입증된다. 견뎌내야 했던 거대한 압력, 교수와 주임사제에게 요구된 여러 사항들, 언제나 대중의 시중을 받는 사람이 감수해야 할 과도한 긴장감, 이 모든 것이 그의 체력을 약화시켰다. 이것들은 또한 점점 심해져 간 그의 조급증에 악영향을 미쳐 나이가 들수록 루터는 성미가 더 급해졌다.…
조급증이 심해지면서 루터는 자신과는 다른 신념 혹은 관점을 가진 사람들을 점점 더 용납하지 못하였다. 그의 만년의 글을 보면, 자기 주장의 정당성을 입증하려고는 하지 않고 자신의 논점이 옳다고만 주장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아마도 루터는 자신을 끈질기게 따라다니던 투쟁과 대립에 지쳐 더 손쉬운 길을 택한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복음서의 대의를 밝힐 때는 가장 좋지 못한 거이었다. 과거 그의 ‘ 향기로운 합리성 ’에 매료도었던 많은 지지자들을 떨어져 나가게 했기 때문이다.
Ⅲ. 結論
종교개혁의 발단은 루터의 독자적 행동에 의거한 것임에는 틀림없지만 루터의 행위만을 추적할 때 당시의 주변현상으로서의 인문주의 운동을 과소 평가하는 위험에 빠질 우려가 있다. 인문주의자들이야말로 루터의 신앙과 사상을 이해했던 안했던 그의 개혁운동을 일차적으로 지지했던 정신적 압력단체였다. 그러므로 「인문주의 없이 종교개혁 없다」라는 구호는 그런 의미에서 타당하다. 그러나 그들이 일단 루터의 신앙사상의 핵심을 파악했을 때 태도가 돌변하여 루터를 반대하는 집단으로 둔갑하고 말았다. 이와 같이 된 결정적 원인은 그들이 루터가 겪은 영혼의 투쟁과 성서의 원리를 체험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종교개혁은 루터의 신앙의 결단에 의해서 성취된 것으로 돌릴 수 밖에 없다. 우리는 루터의 개혁운동을 보다 넓고 깊이 이해하려고 할 때 그와 인문주의자들과의 역학적 긴장 관계에서만이 보다 구체적이고 바른 역사의 진실을 인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Ⅳ. 參考文獻
홍치모, 『종교개혁사』,성광문화사, 1997
토마스 M.린제이, 『 종교개혁사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출판국,1994
오언 채드윅, 『 종교개혁사 』,크리스챤다이제스트,1999
루이스 W. 스피츠,『 종교개혁사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노먼 M. 켄토, 사무엘 버너,『 서양근대사 』,三知院, 2000
그는 귀족과 하층민 모두와 더불어 평안을 누린 참으로 위대한 인물 중 한 사람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훗날 성경을 일반인들이 쓰는 어휘로 번역할 때 사용하게 될 독일어에 익숙해져 갔다.
루터의 개혁에 영향받은 세력가들도 루터에게 호의를 보냈다. 멜란히톤은 비텐베르그에 도착하자마자 “ 이 세상에 내가 사랑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마르틴 루터와 그의 경건한 글들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무엇보다도 루터를 사랑한다”고 썼다. 그는 다른 기회에도 “ 이 세상에 그보다 더 위대한 사람은 결코 없었다. 그와 나 자신을 분리시키느니 차라리 죽겠다”고 덧붙였다. 그것은 빈말이 아니었다. 재주가 있었던 멜란히톤은 더 유명한 기구에서 일할 기회가 많았지만 비텐베르그에 머물기 위해 모든 것을 거절했다. 대체로 루터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문하생들의 태도 또한 루터가 가진 매력에 대한 증거다.
호른베르크(Johannes Hornberg)는 스스로 비텐베르그에서 모든 것을 새로 배우기 시작했다고 말했으며, 블라우러【Thomas Blaurer(Blarer)】는 자신이 ‘ 성경을 진실로 이해하는 유일한 생존자’의 발 아래 앉아 있었다고 말했다. 울스체니우스(Felix Ulscenius)는 루터를 ‘ 신의 말씀의 강력한 해설자’로 보았으며, 그와 그의 동료들은 루터와 동시대인이 된 것을 크나큰 은총으로 생각하고 루터의 설교를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 한다고 말했다.
루터의 두드러진 정신적 특징 가운데 하나로 뛰어난 기억력을 들 수 있다. 독일 역사상 루터보다 더 자세하게 성경을 안 사람은 없었다. 그는 구약과 신약 모두를 한마디 한마디 그대로 인용할 수 있었다. 실수도 거의 없었다. 동시에 그는 고전과 교부들의 작품, 그리고 이전에 읽은 다른 자료들을 잘 기억했다.…루터는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는 그 거대한 정보창고에 의지해 믿을 수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글을 써내려갔는데, 어떤 사람이 그를 공격하면 수주일 내에 그 답변이 신문에 실렸다. 그는 절대로 고쳐 쓰지 않았으며 거의 퇴고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다산적 두뇌에서 나온 사상의 풍부함과 다양성은 실로 놀랄 정도이다.
루터의 독창적인 창조정신과 예리한 개성도 놀랄 만한 것이었다. 그는 전통적인 로마 카톨릭교의 테두리 안에서 훈련받았고, 그 교리에 철저히 젖어 있었다. “신앙에 의해서만 의로워진다”는 그의 교리는 성경의 가르침을 새롭게 종합한 것이었다. 그는 처음에는 오컴, 아우구스티누스, 기타 사람들의 가르침을 따랐지만, 얼마 안 되어 그들 또한 신뢰할 수 없는 안내자라는 사실을 알았다. 한동안 자신을 매료시킨 타울러(Johann Tauler)의 작품들을 읽었지만, 그는 언제나 모든 것을 절대적 기준인 신의 계시에 입각해 사고하였다.
이러한 휴머니시트적인 접근의 결과 그는 原 자료로 되돌아갈 수 있었다. 그는 신학의 경우 독창적인 사상가는 진리의 샘, 즉 성경으로부터 진리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약성경에 토대하고 천년 간 잊혀져 온 공기를 호흡하는 新 바울주의가 때맞추어 그의 사상으로부터 나왔다.…
루터에게는 상당한 연극적 재능도 있었다. 그는 강의와 설교에서 그것을 아주 효과적으로 이용했다. 또한 이 연극적 재능을 써서 사사로운 대화에서도 세련된 위트와 묘한 매력을 발휘하였다. 그것은 그의 시적·음악적 재능과 결합되어 그를 모든 계층의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도록 만들어 주었다.…
반면 좋지 못한 건강은 루터에게는 핸디캡이었다. 그가 수도원의 엄격한 규율과 금식 때문에 육체적으로 고통받았다는 사실은 중년에 이르기까지의 쇠약했던 그의 모습에서 입증된다. 견뎌내야 했던 거대한 압력, 교수와 주임사제에게 요구된 여러 사항들, 언제나 대중의 시중을 받는 사람이 감수해야 할 과도한 긴장감, 이 모든 것이 그의 체력을 약화시켰다. 이것들은 또한 점점 심해져 간 그의 조급증에 악영향을 미쳐 나이가 들수록 루터는 성미가 더 급해졌다.…
조급증이 심해지면서 루터는 자신과는 다른 신념 혹은 관점을 가진 사람들을 점점 더 용납하지 못하였다. 그의 만년의 글을 보면, 자기 주장의 정당성을 입증하려고는 하지 않고 자신의 논점이 옳다고만 주장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아마도 루터는 자신을 끈질기게 따라다니던 투쟁과 대립에 지쳐 더 손쉬운 길을 택한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복음서의 대의를 밝힐 때는 가장 좋지 못한 거이었다. 과거 그의 ‘ 향기로운 합리성 ’에 매료도었던 많은 지지자들을 떨어져 나가게 했기 때문이다.
Ⅲ. 結論
종교개혁의 발단은 루터의 독자적 행동에 의거한 것임에는 틀림없지만 루터의 행위만을 추적할 때 당시의 주변현상으로서의 인문주의 운동을 과소 평가하는 위험에 빠질 우려가 있다. 인문주의자들이야말로 루터의 신앙과 사상을 이해했던 안했던 그의 개혁운동을 일차적으로 지지했던 정신적 압력단체였다. 그러므로 「인문주의 없이 종교개혁 없다」라는 구호는 그런 의미에서 타당하다. 그러나 그들이 일단 루터의 신앙사상의 핵심을 파악했을 때 태도가 돌변하여 루터를 반대하는 집단으로 둔갑하고 말았다. 이와 같이 된 결정적 원인은 그들이 루터가 겪은 영혼의 투쟁과 성서의 원리를 체험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종교개혁은 루터의 신앙의 결단에 의해서 성취된 것으로 돌릴 수 밖에 없다. 우리는 루터의 개혁운동을 보다 넓고 깊이 이해하려고 할 때 그와 인문주의자들과의 역학적 긴장 관계에서만이 보다 구체적이고 바른 역사의 진실을 인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Ⅳ. 參考文獻
홍치모, 『종교개혁사』,성광문화사, 1997
토마스 M.린제이, 『 종교개혁사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출판국,1994
오언 채드윅, 『 종교개혁사 』,크리스챤다이제스트,1999
루이스 W. 스피츠,『 종교개혁사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노먼 M. 켄토, 사무엘 버너,『 서양근대사 』,三知院, 2000
추천자료
루터와 쯔빙글리의 성만찬 논쟁이 지니는 교회 정치적 의미
마틴 루터의 생애를 읽고서
[기독교 사회봉사론] 마틴 루터의 사회봉사 신학과 실천
마틴 루터 킹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마틴 루터 킹 목사 이야기....
마틴루터
종교개혁의 배경, 성격, 특징, 종교개혁기의 사상가들, 종교개혁의 교육사적 의의 (루터, 칼...
마틴루터킹의 비폭력 저항운동
루터와 에라스무스(생애, 교육사상, 교육철학, 교육방법)
마틴루터의 교육 목적, 내용, 방법
마틴 루터 독서보고서: 내용 요약 및 감상문
[영어 번역,해석] 마틴루터와 종교개혁 Martin Luther and the Reformation
[프로테스탄티즘의 형성과 성장] 마틴루터와 존 칼빈의 생애, 사상, 신앙관의 분석 및 미친 ...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 Jr.)의 화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