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과 Southwest Airlines를 중심으로 저가항공사의 전략비교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항공과 Southwest Airlines를 중심으로 저가항공사의 전략비교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 주제 선정 이유


Ⅱ. 본론

- 저가항공사의 이해

- 저가항공사 Southwest 현황

- Southwest 성공전략

- 제주항공 현황

- 제주항공의 서비스 차별화 전략

- 인터뷰


Ⅲ. 결론

- 제주항공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층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진 에어의 경우는 대한항공의 자 회사이고 에어부산은 아시아나의 자본금을 등에 없고 있어서 이들 항공사의 국내노선의 경우 거의 이 저가항공사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2년여를 기다려서 현재 국제선 운행허가를 취득해서 일본 오사카와 기타큐슈 정기선을 시작했습니다. 이번에 항공규제가 낮아져서 다른 저가항공사들도 곧 국제선 취항을 시작할 것으로 보이지만 아무래도 저희가 선점하고 있기 때문에 많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Q. 그리고 비행기의 수도 늘릴 예정이라고 들었는데요.
A. 원래는 저희가 Q400이라는 프로펠러 비행기를 4대 보유하고 있었는데요. 지금 보잉737이라는 모델을 2대 리스하여 운행중이구요 2대를 더 추가할 계획입니다. 보잉 모델을 지속적으로 추가하여 Q400 모델을 매각하여 연말에는 보잉모델만을 운행할 예정입니다.
Q. 그런데 분명히 비용이 만만찮게 들텐데요?
A. 보잉737의 경우에는 대당 리스비용이 70억원을 호가 합니다. 하지만 저희가 모델을 교체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안전문제라기 보다도 수요의 문제입니다. 제주항공의 경우에는 주말의 경우에는 좌석이 없어서 못 판다고 할 정도거든요. Q400의 경우 대당 수용인원이 80명을 웃돌지만 보잉737은 180명이 넘게 수용이 가능 합니다. 저희는 이 비용을 수요로 충분히 채울 수 있다고 보고 모델을 교체 중입니다.
Q. 좀 전에 수요에 대해서 말이 나왔는데, 어느 정도입니까?
A. 주말에 제주도로 향하는 노선은 90%이상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구요. 주중은 그것보다는 못하지만 70% 정도는 됩니다. 특히 요즘은 수학여행객과 같은 단체가 많기 때문에 주중도 크게 문제 삼을 만큼 빈 좌석이 있지는 않습니다. 국제선의 경우에는 아직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 말하기가 힘드네요.
Q. 국제선 취항은 일본 외에 다른 곳도 준비 중이라고 들었는데요?
A. 동남아에 방콕을 준비 중이구요, 극비지만 중국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2시간 거리라면 충분히 할 만하기 때문이죠.
Q. 다른 저가항공사에서도 국제선 취항을 준비 중이라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A. 사실 거기에 대해서는 저희가 조금 손해 보는 입장인 것 같아요. 이번에 항공규제가 조금 완화되었는데 그게 뭐냐면 국내선에서 2년간 무사고 운행이 되어야지 국제선 취항을 할 수 있는데 이번에 1년으로 바뀌었어요. 저희는 2년동안 무사고로 이번에 취득했는데 다른 저가항공사는 1년만 하면 된다는 거죠. 그래서 생각보다는 조금 빠른 경쟁이 예상되기는 합니다.
Q. 그런데 저희가 여기에 들어오면서 코스타 항공에서 제주도행 좌석이 19,900원이라는 광고를 봤는데 많은 저가항공사가 생겨나면서 출혈경쟁이 예상되지는 않는지?
A. 그거 사실은 좀 과장된 거예요. 코스타 항공은 주중 당 선착순 3좌석에 한하여 19,900원이구요. 나머지는 저희 가격과 거의 엇비슷합니다.
Q. 그리고 저희가 제주항공과 Southwest 항공을 비교중인데요. 제가 보기에 제주항공의 비즈니스 모델은 Southwest와 거의 흡사하다고 보는데 어떠세요.
A. 네 맞아요. 초기에 Southwest 의 전략을 거의 모방했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시장 환경이 바뀌면서 완전히 똑같이 보다는 다름의 방향을 모색하는 중입니다.
Q. 그런데 다른 저가항공사들에 대항하여 제주 항공만의 차별화된 서비스가 있나요?
A. 사실 제가 재무 담당이라 그런 것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하지만... 기본적으로 재미있는 항공사라는 것에 컨셉을 두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주항공을 블로그에 들어가 보면 알겠지만 재밌는 것들이 굉장히 많아요. 그리고 여기 있는 펜이나 스티커와 같이 헬로 키티의 캐릭터를 사용해서 친근감을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차별화된 서비스라기보다는 다른 곳에서 했던 성공적인 케이스를 이것저것 저희식대로 사용하는 편 인 것 같습니다.
Q. 제주항공에 대한 다른 대형 항공사들의 대항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일단 각각 진 에어와 에어 부산으로 우리의 가격경쟁력을 저하시키는 것이 제일 큰 것입니다. 거기다가 이들은 모회사의 전체 노선이 저가항공사로 돌려져서 가격도 싸고 편수도 굉장히 많습니다. 특히나 에어부산의 경우 각 30분, 50분에 부산과 제주도로 가는 국내선이 뜨고 있습니다. 다른 것은 아무래도 여행사를 통한 것인데요. 현재 저희는 여행사를 통한 영업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이들 대형 항공사가 여행사와 연계해서 저희 제품을 팔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서울-제주 노선의 저희 항공운임이 싸더라도 만약 저희 것을 블록 구매 해버리면 대형항공사 측에서 같은 노선은 물론이고 저희가 제공하지 않는 노선도 판매를 하지 않겠다고 하는 것이죠. 그래서 하나, 모두 투어와 같은 대형 여행사에서는 저희 제품이 없구요. 실상 거의 인터넷 개별 예매를 통해서 판매가 이루어 진다고 봐야합니다. 하지만 대신에 여기서 나타나는 수수료가 없으니까 오히려 가격에서는 조금 더 싸진다고 봐야하죠. 그리고 이런 면에서 사실 국제선의 경우에는 거의 아웃바운드가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어요. 그래서 인바운드 여행객에 조금 더 주력하는 편입니다.
Q. 그런데 김포공항 내에서 티켓부스가 구석진 곳에 있는데 그런 것은 괜찮은가요?
A. 그 부스는 현재 좀 늘어난 상태구요. 그 자리가 오히려 다른 곳보다 좋은 자리에요. 거기서 바로 비행기로 들어가게 되어있거든요. 그래서 다른 항공사들 보다 수하물이 손상되거나 분실되는 것이 거의 없어요. 진 에어나 에어부산의 부스 위치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에서 각각 자신들의 부스를 떼어 준거라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구요.
Ⅲ. 결론
- 제주항공이 나아가야 할 방향
경기와 유가, 환율 변수는 국내 저가항공 시장의 구조조정을 앞당겼다. 몇몇 저가항공사의 근본적인 실패 이유는 항공 산업을 이해하지 못한 채 무리한 투자를 강행한데 있다. 여행수요 확대로 황금알을 낳을 것이란 기대에 뛰어들었지만 저비용-고효율 구조를 찾는 데는 실패했다. 유류비와 인건비, 항공기 리스료 등 막대한 고정비용이 들어가는데 반해 유가와 환율, 세계경기 침체 등으로 수요는 급격히 위축
  • 가격4,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09.20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3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