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조선 직업 총동맹
직총보다는 직맹이라 불려
직맹의 기원
직업동맹의 조직·회의·구조
운영체계 및 지역조직
직맹의 핵심단위
당과의 관계 - 자율성과 종속성
당이 통제
직맹의 조직적 목표와 기능
조선직업총동맹 조직표
농업근로자동맹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의 성격과 위상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의 기능
결론
출처
조선 직업 총동맹
직총보다는 직맹이라 불려
직맹의 기원
직업동맹의 조직·회의·구조
운영체계 및 지역조직
직맹의 핵심단위
당과의 관계 - 자율성과 종속성
당이 통제
직맹의 조직적 목표와 기능
조선직업총동맹 조직표
농업근로자동맹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의 성격과 위상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의 기능
결론
출처
본문내용
의 하나이기 때문에 모든 근로단체들이 공통적으로 수행해야하는 기능을 완수하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다른 근로단체들과는 달리 농촌경리의 개선을 위하여 수행해야 하는 기능도 동시에 존재한다.
모든 근로단체들이 공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기능은 『혁명과 건설에 관한 위대한 수령 김일성원수님의 교시』에 요약되어 있다. 총론적인 측면에서 모든 근로단체들은 당과 대중을 연결하는 ‘인전대’로서 당의 ‘방조자’이며 ‘후비대’이다. 구체적으로는 광범한 군중에 대한 사상교양단체이며 당의 외곽단체로서 “비당원군중을 잘 교양하여 당의 두리에 굳게 묶어세우고 그들을 당정책관철에로 힘차게 조직동원하는 것”이 근로단체의 첫째가는 과업이라 말하고 있다. 그리고 농업근로자동맹의 기본임무는 “농촌에서 사상혁명, 기술혁명, 문화혁명을 성과적으로 밀고나가기 위하여 농민대중들속에서 교양사업을 진행하며 그들의 혁명적열의를 적극 조직동원하는 것”이라 규정하고 있다. 또한 농촌사업을 담당하는 당의 외곽단체로서 “사회주의농촌문제에 관한 테제가 내놓은 과업을 실현하기 위하여 투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정일 또한 같은 내용으로 근로단체 일반의 임무와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의 임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의 세부 조직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최고 상급조직인 중앙위원회으로부터 기층조직인 초급동맹조직에 이르기까지 모두 당의 외곽단체로서 당과 대중을 연결하는 인전대 역할을 하며 정치사상교육을 주요 임무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중앙위원회의 임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대회와 대회 사이에 동맹 내에 당적 사상체계를 철저히 확립하고, 당에 무한히 충실하며 동맹원들과 농업부문근로자들을 당 주위에 결집시키며 동맹의 모든 문제를 당 정책과 김일성의 교시에 입각하여 집행하고 조직 지도한다. ② 동맹원들에게 주체사상을 확립하며 수정주의와 교조주의를 배격하고 맑스-레닌주의의 순결성을 고수하기 위하여 투쟁한다. ③ ‘우리 나라 사회주의 농촌 문제에 관한 테제’에 근거하여 사상혁명을 선행시키면서 기술혁명과 문화혁명을 병행하여 추진하고 농업부문에서 사회주의 경쟁과 천리마작업반 운동을 지도한다. 그리고 농업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며 이것들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동맹조직들과 동맹원들을 조직 동원한다. ④ 간부들을 선발배치하고 교양 육성하며 동맹조직을 매 시기 마다 혁명전략에 부합하도록 꾸려 나가며 사업방법을 부단히 개선하고 재정을 관리 운영한다. ⑤ 모든 활동에서 동맹을 대표한다.
초급동맹조직의 임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동맹원들에게 당적 사상체계를 확립하고 당에 충성하도록 교양하며 상급동맹의 결정 집행을 조직하고 관철한다. ② 동맹원들에게 공산주의 교양을 실시하고 그들로 하여금 제국주의와 지주, 자본가계급을 증오하고 사회주의 제도를 옹호하도록 교육하며 노동계급의 혁명정신을 갖도록 한다. ③ 동맹원들에게 개인이기주의와 ‘소소유자적’ 근성을 청산하고 집단과 조직을 사랑하며 보수주의를 극복하고 혁명적 낙관주의를 갖도록 한다. ④ 동맹원들로 하여금 농촌의 수리화, 기계화, 전기화 그리고 화학화를 촉진시키는데 적극 참가시키며 선진 과학기술을 도입하고 집약적 영농방법을 계속 발전시키며 농업부문 근로자들의 생활을 윤택하게 한다. ⑤ 농촌을 문화위생적으로 만들며, 낡은 생활양식과 인습을 청산하도록 하고 군중문화사업과 체육사업을 광범하게 조직 진행한다. ⑥ 동맹원들에게 사회주의 경쟁과 천리마 작업반 운동을 광범하게 조직 전개하여 집단적 혁신을 일으킨다. ⑦ 농업부문에서 사회주의적 분배원칙이 정확히 실시되도록 하며 노동보호 안전사업에 주인의식을 갖고 참여하여 농업부문 근로자들의 노동조건과 생활조건을 부단히 개선시킨다. ⑧ 동맹원들이 국토와 자원을 소중히 여기고 국가 및 협동재산을 애호 절약하며 나라와 협동농장의 살림살이를 알뜰히 꾸려나가도록 한다.
시기별로 북조선농민동맹의 기능과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의 기능을 비교할 경우에도 우선 두 조직 모두 당의 외곽단체로서 농민대중을 당의 지지 세력으로 만드는 역할을 수행해야 했고, 또 농촌경리의 발전과 식량증산을 위하여 노력해야 했던 점에서 공통된 모습을 보여준다. 즉 기능적인 측면에서 지속성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북조선농민동맹의 경우는 빈농을 중심으로 하되 지주와 부농을 반대로 투쟁하는 역할을 하면서 북조선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에 속한 하나의 단체로서 인민민주주의혁명에 기여하기 위하여 그 당시 시대상황적 분위기에
모든 근로단체들이 공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기능은 『혁명과 건설에 관한 위대한 수령 김일성원수님의 교시』에 요약되어 있다. 총론적인 측면에서 모든 근로단체들은 당과 대중을 연결하는 ‘인전대’로서 당의 ‘방조자’이며 ‘후비대’이다. 구체적으로는 광범한 군중에 대한 사상교양단체이며 당의 외곽단체로서 “비당원군중을 잘 교양하여 당의 두리에 굳게 묶어세우고 그들을 당정책관철에로 힘차게 조직동원하는 것”이 근로단체의 첫째가는 과업이라 말하고 있다. 그리고 농업근로자동맹의 기본임무는 “농촌에서 사상혁명, 기술혁명, 문화혁명을 성과적으로 밀고나가기 위하여 농민대중들속에서 교양사업을 진행하며 그들의 혁명적열의를 적극 조직동원하는 것”이라 규정하고 있다. 또한 농촌사업을 담당하는 당의 외곽단체로서 “사회주의농촌문제에 관한 테제가 내놓은 과업을 실현하기 위하여 투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정일 또한 같은 내용으로 근로단체 일반의 임무와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의 임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의 세부 조직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최고 상급조직인 중앙위원회으로부터 기층조직인 초급동맹조직에 이르기까지 모두 당의 외곽단체로서 당과 대중을 연결하는 인전대 역할을 하며 정치사상교육을 주요 임무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중앙위원회의 임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대회와 대회 사이에 동맹 내에 당적 사상체계를 철저히 확립하고, 당에 무한히 충실하며 동맹원들과 농업부문근로자들을 당 주위에 결집시키며 동맹의 모든 문제를 당 정책과 김일성의 교시에 입각하여 집행하고 조직 지도한다. ② 동맹원들에게 주체사상을 확립하며 수정주의와 교조주의를 배격하고 맑스-레닌주의의 순결성을 고수하기 위하여 투쟁한다. ③ ‘우리 나라 사회주의 농촌 문제에 관한 테제’에 근거하여 사상혁명을 선행시키면서 기술혁명과 문화혁명을 병행하여 추진하고 농업부문에서 사회주의 경쟁과 천리마작업반 운동을 지도한다. 그리고 농업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며 이것들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동맹조직들과 동맹원들을 조직 동원한다. ④ 간부들을 선발배치하고 교양 육성하며 동맹조직을 매 시기 마다 혁명전략에 부합하도록 꾸려 나가며 사업방법을 부단히 개선하고 재정을 관리 운영한다. ⑤ 모든 활동에서 동맹을 대표한다.
초급동맹조직의 임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동맹원들에게 당적 사상체계를 확립하고 당에 충성하도록 교양하며 상급동맹의 결정 집행을 조직하고 관철한다. ② 동맹원들에게 공산주의 교양을 실시하고 그들로 하여금 제국주의와 지주, 자본가계급을 증오하고 사회주의 제도를 옹호하도록 교육하며 노동계급의 혁명정신을 갖도록 한다. ③ 동맹원들에게 개인이기주의와 ‘소소유자적’ 근성을 청산하고 집단과 조직을 사랑하며 보수주의를 극복하고 혁명적 낙관주의를 갖도록 한다. ④ 동맹원들로 하여금 농촌의 수리화, 기계화, 전기화 그리고 화학화를 촉진시키는데 적극 참가시키며 선진 과학기술을 도입하고 집약적 영농방법을 계속 발전시키며 농업부문 근로자들의 생활을 윤택하게 한다. ⑤ 농촌을 문화위생적으로 만들며, 낡은 생활양식과 인습을 청산하도록 하고 군중문화사업과 체육사업을 광범하게 조직 진행한다. ⑥ 동맹원들에게 사회주의 경쟁과 천리마 작업반 운동을 광범하게 조직 전개하여 집단적 혁신을 일으킨다. ⑦ 농업부문에서 사회주의적 분배원칙이 정확히 실시되도록 하며 노동보호 안전사업에 주인의식을 갖고 참여하여 농업부문 근로자들의 노동조건과 생활조건을 부단히 개선시킨다. ⑧ 동맹원들이 국토와 자원을 소중히 여기고 국가 및 협동재산을 애호 절약하며 나라와 협동농장의 살림살이를 알뜰히 꾸려나가도록 한다.
시기별로 북조선농민동맹의 기능과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의 기능을 비교할 경우에도 우선 두 조직 모두 당의 외곽단체로서 농민대중을 당의 지지 세력으로 만드는 역할을 수행해야 했고, 또 농촌경리의 발전과 식량증산을 위하여 노력해야 했던 점에서 공통된 모습을 보여준다. 즉 기능적인 측면에서 지속성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북조선농민동맹의 경우는 빈농을 중심으로 하되 지주와 부농을 반대로 투쟁하는 역할을 하면서 북조선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에 속한 하나의 단체로서 인민민주주의혁명에 기여하기 위하여 그 당시 시대상황적 분위기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