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ED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LED의 원리

2. LED의 종류

3. 응용분야

4. 향후개발방향

5. 느낀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급함.
5. 느낀점
LED에 대해 Report를 제출하기 위해서 많은 논문을 읽어 봤습니다. LED가 이렇게 우리 생활 속에 깊이 들어와 있는지 몰랐는데 이번 조사를 통해서 많은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요즘의 동향을 생각해 볼 때 LED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교수님께서 수업시간에도 말씀하셨지만 일단 환경 친화적인 부분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저는 인류가 어떤 신기술을 개발을 하든지 그 것을 개발하는 것에는 반드시 환경에 대한 대책이 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쓰고 있는 어떤 물건이든지 간에 그것은 자연에서 갖고 와서 우리가 가공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가공을 한 것이 그것을 준 자연에 해가 된다면 그 기술은 개발하지 않는것만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런 측면에 있어서 LED는 좋은 신기술입니다. 개발 초기단계는 아니지만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엄청나다는 부분 또한 기대를 더 걸게하는 부분입니다. 걱정이 됐었던 부분이 있었다면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얼마나 될까하는 것이였습니다. 일본을 비롯한 다른 나라들을 신기술이 쏟아지고 있을 뿐 아니라 백색 LED에 대한 기술개발도 우리나라보다 한참 앞서 있는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쟁력에 대한 것을 생각하다가 LED를 이용한 조명 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 조명업체와의 어떤식으로 협력을 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현재 쓰고 있는 조명을 LED로 대체 할 경우 기존의 조명회사들은 회사가 없어질 수도 있는 위기에 봉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해외의 경우를 살펴보면서 조명회사와 반도체 회사들의 공동투자를 통해 반도체 조명회사들을 설립하였으며, 이들 회사들이 현재 LED기술과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부분을 읽었을 때 우리나라의 반도체 기업이 생각났습니다. 세계최고의 기술과 매출을 달리고 있는 우리나라 반도체 회사들이 조명업체와 유기적인 협력을 이룰 수 있다면 우리나라의 LED 기술력은 반도체가 그랬듯이 세계 최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LED에 대해 조사하면서 특히 특허 분쟁이 매우 심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특히 수출의 경우 특허와 관련하여 전혀 문제가 없다는 별도의 계약서가 첨부될 정도로 특허분쟁이 심하다라는 부분은 저를 놀라게 하였습니다. 조서한 바에 따르면 특허전략은 그 목적에 따라 특허취득전략, 특허활용전략, 특허비공개전략의 세가지로 대응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허활용전략은 다시 독점화전략, 공격전략, 방어전략, 공개전략의 네가지로 구분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각 기업의 특성에 알맞은 전략을 선택하고 추진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또한 LED 에 범국가적인 추진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미 일본에서는 국가적인 프로젝트인 “21세기 빛 프로젝트”라는 명칭 아래 산·학·연이 연계되어 1998년 후반부터 LED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많은 기술력이 축적되었고, 미국에서는 최근 에너지부(DOE)를 중심으로 “Vision 2020” 라는 next generation lighting initiative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회사를 중심으로 한 next generation lighting industry alliance를 맺고 이에 대한 추진을 계속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국가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기술개발 단계에서 표준화를 고려하여 진행하여 기술력을 축적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입니다.
저도 이번 조사를 하면서 LED가 개발되는 한 부분에 제가 있다면 어떨까하는 생각도 해 보았습니다. 왠지 기대되고 뿌듯한 기분 이였습니다. 우리나라는 반도체 기술에서 신화를 이룬 것 같이 이 부분에서도 다른나라에 결코 뒤지지 않을 실력을 갖출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신화를 이루는 한 분야에 제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6. 참고문헌
[1] 주대영, 반도체조명(LED)의 중요성과 육성전략, KIET 산업경제, 2006. 1
[2] 백종협, LED 기술과 산업동향, 조명·전기설비 화학지, 2003. 10. 제 17권 5호
[3] 홍창희, 고출력 LED의 신기술 동향 및 응용, 조명·전기설비 화학지, 2004. 6. 제 18권 3호 p3~10
[4] 전자부품연구원, 유망전자기기 부품 현황
[5] 정봉만, 반도체 LED조명기술의 특성과 응용, 조명·전기설비 화학지, 2006. 6. 제 20권 3호 p29~33
[6] 발광다이오드(LED) 시장동향 및 향후 전망, 2006. 1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0.05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51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