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테니스의 역사
2. 테니스의 발달과정
(1) 로운 테니스
(2) 윔블던 대회
(3) 데이비스컵 대회
(4) 세계의 4대 토너먼트
(5) 기타의 테니스 대회
3. 우리나라 테니스의 발전사
4. 테니스의 매너
5. 테니스 단식 경기
6. 복식 경기
7. 테니스의 혼합복식
(1) 혼합복식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
(2) 혼합복식에 있어서의 남성의 역할
8. 테니스 용구
(1) 라켓
(2) 거트와 Ball
(3) 테니스화
(4) 테니스 복장
9. 테니스의 기본 기술
(1) 그립
(2) 스트로크
(3) 서브
(4) 발리
(5) 백핸드 슬라이스
(6) 로브와 스매쉬
10. 경기방법
(1) 경기의 종류
(2) Set수
(3) 득점
(4) Tie Break system
(5) 간단한 경기 규칙
11. 경기 용어 해설
12. 주심의 주의 사항과 역할
13. 효과적인 테니스 운동법
(1) 기본 프로그램
(2) 전신지구력 강화 프로그램
14. 테니스 지도방법
(1) 지도 단계
(2) 타구법에 따른 지도 단계
15. 맺음말
16. 참고자료
2. 테니스의 발달과정
(1) 로운 테니스
(2) 윔블던 대회
(3) 데이비스컵 대회
(4) 세계의 4대 토너먼트
(5) 기타의 테니스 대회
3. 우리나라 테니스의 발전사
4. 테니스의 매너
5. 테니스 단식 경기
6. 복식 경기
7. 테니스의 혼합복식
(1) 혼합복식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
(2) 혼합복식에 있어서의 남성의 역할
8. 테니스 용구
(1) 라켓
(2) 거트와 Ball
(3) 테니스화
(4) 테니스 복장
9. 테니스의 기본 기술
(1) 그립
(2) 스트로크
(3) 서브
(4) 발리
(5) 백핸드 슬라이스
(6) 로브와 스매쉬
10. 경기방법
(1) 경기의 종류
(2) Set수
(3) 득점
(4) Tie Break system
(5) 간단한 경기 규칙
11. 경기 용어 해설
12. 주심의 주의 사항과 역할
13. 효과적인 테니스 운동법
(1) 기본 프로그램
(2) 전신지구력 강화 프로그램
14. 테니스 지도방법
(1) 지도 단계
(2) 타구법에 따른 지도 단계
15. 맺음말
16. 참고자료
본문내용
로 정하지 않는 한 4분이므로 이를 사전에 주지시킬 것. (1분 전에 알려준다)
◇ 여자는 Miss, 또는 Mrs의 호칭을 붙이지만 남자의 경우는 Mr.라고 붙이지 않아도 된다.
◇ 최초의 2 게임(복식에서는 4게임)은 반드시 서버의 이름을 불러주어 관중이 선수의 이름 을 알게 한다.
◇ 복식 또는 혼합 복식에서 듀스 후의 어드벤티지의 콜은 서브 측일 때는 서버의 이름을, 리시브 측일 때는 리시버의 이름을 부르고 두 사람의 이름을 다 부르거나 and his partner란 말은 쓰지 않는다.
◇ 혼합 복식일 때는 남자의 이름을 먼저 부를 것
◇ 서브시 let일 때에는 let, first service라고 부르며 one more, two more 라고 하지는 말 것.
◇ net man이 있을 때에는 net man이 “let\"이라고 콜하고 주심이 이를 ”let, first service“라고 콜 한다.
◇ 네트에 걸린 서브는 fault라고 콜 하지 않는다.
◇ 듀스가 반복되어도 “deuce again\" 또는 ”again deuce\"라고 하지 않고 항상 “deuce”라고 만 부른다.
◇ 듀스 후 첫 포인트를 “advantage sever(또는 receiver)” 라고 부르지 말고 반드시 선수 의 이름을 부를 것
◇ 주심이 “set point\" 또는 ”match point\"라고 콜 해서는 안 된다.
◇ 포인트 스코어는 서버부터 콜 하지만 게임 스코어는 많은 쪽부터 콜한다.
◇ 포인트, 게임, 세트 등 모든 스코어의 0 은 러브(love)라고 부르며 “nothing\"이라고 부 르면 안 된다.
◇ 스코어를 잘못 콜 했을 때에는 반드시 “correction\" 이라 하고 올바른 스코어를 다시 콜 하도록 한다.
◇두 번 바운드 된 볼을 쳤다면 그 즉시 “not up\" 이라고 빨리 콜을 해야 한다.
◇ 타이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해서 잘 알아두고 이 때의 스코어는 one, two, four,...등으로 콜을 해야 한다.
13. 효과적인 테니스 운동법
테니스는 손에서 연장되어 라켓을 이용하여 운동하기 때문에 기술의 습득이 쉽지 않으며 경기 자체의 특성에 따라서 강인한 체력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단순하게 기술습득을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일주일에 3일은 달리기, 수영, 서킷웨이트 트레이닝, 싸이클링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20~30분씩 강화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아래의 프로그램은 중급자를 위한 일주일 단위의 프로그램으로서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절충하여 이용한다.
(1) 기본 프로그램
제1일 기술연습
제2일 테니스 경기
제3일 장거리 달리기, 싸이클링, 수영, 웨이트 트레이닝 중 택일
제4일 기술 연습
제5일 테니스 경기
제6일 기술연습
제7일 장거리달리기, 싸이클링, 수영, 웨이트 트레이닝 중 택일
(2) 전신지구력 강화 프로그램
제1일 테니스 경기, 그리고 수영이나 달리기
제2일 기술연습과, 상체강화 근력트레이닝
제3일 테니스 경기와 수영이나 달리기
제4일 기술연습과 상체강화 근력트레이닝
제5일 테니스 경기
제6일 휴식
제7일 휴식
14. 테니스 지도방법
(1) 지도 단계
① 테니스의 역사, 용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포핸드 드라이브와 백핸드 슬라이스를 자세 연습시킨다. ( 제자리 연습 )
② 풋트 워크에 중심을 두고 자세 연습.
③ 포와 백핸드 연습을 하면서 서브 연습에 들어간다.
④ 이상의 계속적인 연습과 함께 시합을 시킨다.
⑤ 발리 연습에 들어간다.
⑥ 스매쉬 연습을 한다.
(2) 타구법에 따른 지도 단계
① 포핸드 드라이브 ( 자세연습은 전 단계에 걸쳐서 행한다. )
(1) 1에서 2주일 동안에는 라켓만으로 자세 연습. 기한은 임의적 .
(2) 베이스라인에서 백스윙 상태로 있다가 왼발 앞에 떨어지는 공치기
잘 안되면 라켓을 짧게 잡고 하거나 손으로 공을 잡아보는 연습을 해본다. 이것 공을 끝까지 보기 위한 연습이며 공이 덩덤에 이르렀을 때 라켓면 중앙에 맞추는 연습이다. 이때는 어깨에 힙이 들어가선 안된다.
(3) 서비스라인에서 던지는 공치기
(4) 네트 바로 뒤에서 던지는 공치기
(5) 네트 뒤 서비스 라인에서 던지는 공치기
(6) 스트로크 ( 베이스라인 )
② 백핸드 슬라이스 : 단계는 포핸드와 동일, 포핸드와 달리 라켓면에 공이 맞는 감각을 익히기가 매우 어렵다. 타점은 포핸드보다 앞에서 집는다.
③ 서브
(1) 상태 ~ 백스윙까지 자세 연습
(2) 토스 연습 (_ 백스윙과 포워드 스윙 동시에 )
1. 공 없이 포옴만
2. 공을 스핀이 먹지 않은 상태로 왼발 위로 던지기
(3) . (1)과 (2)를 연결하여 연습.
(4) 서비스라인에서 오른쪽 무릎을 대고 왼쪽 무릎은 세워 서브 연습. 임팩트 순간 스냅주는 연습.
(5) 베이스 라인에 서서 듀스 코트, 애드 코트에 따라 서브 연습.
④ 발리
(1) 자세 연습
(2) 네트 바로 뒤에서 라켓을 잡고 던져주는 공을 친다. 이 때는 라켓면을 공에 갖다대는 기분으로 한다. 잘 안되면 손으로 공을 잡는 연습을 한다.
(3) 라켓을 길게 잡고 서비스 라인에서 던져주는 공치기
(4) 베이스 라인에서 던지는 공치기
⑤ 스매쉬
(1) 자세 연습
(2) 긴 포핸드, 긴 백핸드, 짧은 포핸드, 포.백 발리, 스매쉬 순으로 연습 .
※ 체력 훈련 및 스트레칭 ( 관절 및 근육의 유연성을 높여준다. 준비운동 )
15. 맺음말
우리들이 행하는 모든 활동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고 유용한 방법이 있기 마련이다. 체육활동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체육을 단지 재미로만 생각하고 경험에만 바탕을 둔 마구잡이식의 방법으로 행하다 보면 기술을 익히는데 있어서 매우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올바른 자세를 익히지 못하고 때로는 몸에 무리를 일으켜 병을 얻을 수도 있다.
테니스를 하는데 있어서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방법으로 기술을 익히고 연습을 한다면 매우 효과적이고 재미있게 테니스를 즐기며 운동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16. 참고자료
체육 진흥회, 사회체육프로그램, 한국사회
이학래 외, 체육 스포츠개론, 한양대학교출판부
신광균(서울시립대) 외, 과학적 훈련지도, 체육부
◇ 여자는 Miss, 또는 Mrs의 호칭을 붙이지만 남자의 경우는 Mr.라고 붙이지 않아도 된다.
◇ 최초의 2 게임(복식에서는 4게임)은 반드시 서버의 이름을 불러주어 관중이 선수의 이름 을 알게 한다.
◇ 복식 또는 혼합 복식에서 듀스 후의 어드벤티지의 콜은 서브 측일 때는 서버의 이름을, 리시브 측일 때는 리시버의 이름을 부르고 두 사람의 이름을 다 부르거나 and his partner란 말은 쓰지 않는다.
◇ 혼합 복식일 때는 남자의 이름을 먼저 부를 것
◇ 서브시 let일 때에는 let, first service라고 부르며 one more, two more 라고 하지는 말 것.
◇ net man이 있을 때에는 net man이 “let\"이라고 콜하고 주심이 이를 ”let, first service“라고 콜 한다.
◇ 네트에 걸린 서브는 fault라고 콜 하지 않는다.
◇ 듀스가 반복되어도 “deuce again\" 또는 ”again deuce\"라고 하지 않고 항상 “deuce”라고 만 부른다.
◇ 듀스 후 첫 포인트를 “advantage sever(또는 receiver)” 라고 부르지 말고 반드시 선수 의 이름을 부를 것
◇ 주심이 “set point\" 또는 ”match point\"라고 콜 해서는 안 된다.
◇ 포인트 스코어는 서버부터 콜 하지만 게임 스코어는 많은 쪽부터 콜한다.
◇ 포인트, 게임, 세트 등 모든 스코어의 0 은 러브(love)라고 부르며 “nothing\"이라고 부 르면 안 된다.
◇ 스코어를 잘못 콜 했을 때에는 반드시 “correction\" 이라 하고 올바른 스코어를 다시 콜 하도록 한다.
◇두 번 바운드 된 볼을 쳤다면 그 즉시 “not up\" 이라고 빨리 콜을 해야 한다.
◇ 타이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해서 잘 알아두고 이 때의 스코어는 one, two, four,...등으로 콜을 해야 한다.
13. 효과적인 테니스 운동법
테니스는 손에서 연장되어 라켓을 이용하여 운동하기 때문에 기술의 습득이 쉽지 않으며 경기 자체의 특성에 따라서 강인한 체력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단순하게 기술습득을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일주일에 3일은 달리기, 수영, 서킷웨이트 트레이닝, 싸이클링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20~30분씩 강화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아래의 프로그램은 중급자를 위한 일주일 단위의 프로그램으로서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절충하여 이용한다.
(1) 기본 프로그램
제1일 기술연습
제2일 테니스 경기
제3일 장거리 달리기, 싸이클링, 수영, 웨이트 트레이닝 중 택일
제4일 기술 연습
제5일 테니스 경기
제6일 기술연습
제7일 장거리달리기, 싸이클링, 수영, 웨이트 트레이닝 중 택일
(2) 전신지구력 강화 프로그램
제1일 테니스 경기, 그리고 수영이나 달리기
제2일 기술연습과, 상체강화 근력트레이닝
제3일 테니스 경기와 수영이나 달리기
제4일 기술연습과 상체강화 근력트레이닝
제5일 테니스 경기
제6일 휴식
제7일 휴식
14. 테니스 지도방법
(1) 지도 단계
① 테니스의 역사, 용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포핸드 드라이브와 백핸드 슬라이스를 자세 연습시킨다. ( 제자리 연습 )
② 풋트 워크에 중심을 두고 자세 연습.
③ 포와 백핸드 연습을 하면서 서브 연습에 들어간다.
④ 이상의 계속적인 연습과 함께 시합을 시킨다.
⑤ 발리 연습에 들어간다.
⑥ 스매쉬 연습을 한다.
(2) 타구법에 따른 지도 단계
① 포핸드 드라이브 ( 자세연습은 전 단계에 걸쳐서 행한다. )
(1) 1에서 2주일 동안에는 라켓만으로 자세 연습. 기한은 임의적 .
(2) 베이스라인에서 백스윙 상태로 있다가 왼발 앞에 떨어지는 공치기
잘 안되면 라켓을 짧게 잡고 하거나 손으로 공을 잡아보는 연습을 해본다. 이것 공을 끝까지 보기 위한 연습이며 공이 덩덤에 이르렀을 때 라켓면 중앙에 맞추는 연습이다. 이때는 어깨에 힙이 들어가선 안된다.
(3) 서비스라인에서 던지는 공치기
(4) 네트 바로 뒤에서 던지는 공치기
(5) 네트 뒤 서비스 라인에서 던지는 공치기
(6) 스트로크 ( 베이스라인 )
② 백핸드 슬라이스 : 단계는 포핸드와 동일, 포핸드와 달리 라켓면에 공이 맞는 감각을 익히기가 매우 어렵다. 타점은 포핸드보다 앞에서 집는다.
③ 서브
(1) 상태 ~ 백스윙까지 자세 연습
(2) 토스 연습 (_ 백스윙과 포워드 스윙 동시에 )
1. 공 없이 포옴만
2. 공을 스핀이 먹지 않은 상태로 왼발 위로 던지기
(3) . (1)과 (2)를 연결하여 연습.
(4) 서비스라인에서 오른쪽 무릎을 대고 왼쪽 무릎은 세워 서브 연습. 임팩트 순간 스냅주는 연습.
(5) 베이스 라인에 서서 듀스 코트, 애드 코트에 따라 서브 연습.
④ 발리
(1) 자세 연습
(2) 네트 바로 뒤에서 라켓을 잡고 던져주는 공을 친다. 이 때는 라켓면을 공에 갖다대는 기분으로 한다. 잘 안되면 손으로 공을 잡는 연습을 한다.
(3) 라켓을 길게 잡고 서비스 라인에서 던져주는 공치기
(4) 베이스 라인에서 던지는 공치기
⑤ 스매쉬
(1) 자세 연습
(2) 긴 포핸드, 긴 백핸드, 짧은 포핸드, 포.백 발리, 스매쉬 순으로 연습 .
※ 체력 훈련 및 스트레칭 ( 관절 및 근육의 유연성을 높여준다. 준비운동 )
15. 맺음말
우리들이 행하는 모든 활동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고 유용한 방법이 있기 마련이다. 체육활동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체육을 단지 재미로만 생각하고 경험에만 바탕을 둔 마구잡이식의 방법으로 행하다 보면 기술을 익히는데 있어서 매우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올바른 자세를 익히지 못하고 때로는 몸에 무리를 일으켜 병을 얻을 수도 있다.
테니스를 하는데 있어서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방법으로 기술을 익히고 연습을 한다면 매우 효과적이고 재미있게 테니스를 즐기며 운동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16. 참고자료
체육 진흥회, 사회체육프로그램, 한국사회
이학래 외, 체육 스포츠개론, 한양대학교출판부
신광균(서울시립대) 외, 과학적 훈련지도, 체육부
추천자료
탁구 리포트 총정리
내가 농구 선생님이라면
피드백의 역할
[사회과학] 나이키(NIKE)의 마케팅 전략 분석
[마케팅] NIKE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리복의 프로모션 사례
배구레포트
배드민턴의 교육자료 ( 배드민턴의 교육이론과 실제)
[사회과학] 아동기 운동발달
탁구의 기원 및 방법과 용어.
[독서감상문,요약] THINK BETTER 창조와 혁신을 위한 생산적 사고의 길, THINK BETTER 독후감...
[탁구경기, 탁구, 탁구경기 기원]탁구경기(탁구)의 기원, 탁구경기(탁구)의 역사, 탁구경기(...
글로벌기업 SAP의 빅데이터(Big Data) 활용한 승리전략분석 - SAP의 경영성공전략 사례분석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