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 : 가장 범위가 큰 세계 경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극동 : 가장 범위가 큰 세계 경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네 번째 세계-경제
스스로에게 정복당한 인도
금과 은; 강함의 표시인가, 약함의 표시인가?
무력적인 진입
상관, 지사, 출장소, 선화 관리인
극동의 심층의 역사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인도의 마을들
장인들과 산업
전국 시장
무굴제국의 무게
무굴 제국의 쇠퇴와 정치적 및 비전치적 원인들
19세기에 인도의 쇠퇴
초 세계- 경제 사로잡힌 인도와 중국
말라카의 영광
극동지방의 중심지 이동
결론이 가능한가?

본문내용

레이 선원을 끌어들여 일종의 후원인 역할을 했다. 이는 이 해협으로 부터의 해적을 몰아냄을 뜻한다. 그러나 말라카는 하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식량공급원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공격적이고 위험한 국가인 시암, 마자파히트라는 낡은 제국주의 세력을 떨쳐버리지 못한 자바에 위존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중국의 보호로 인해 말라카는 생존의 여지를 남겨두게 되었다.
말라카가 예외적으로 큰 부를 쌓게 된 것은 결정적인 콩종크튀르가 작용한 결과이기도 하다. 바로 중국과 인도가 조우한 것이다. 중국은 약 30여 년 동안 말레이 군도와 인도 방향으로 놀라운 해상 팽창을 했다. 인도의 역할은 그보다도 더 크고 시기적으로 더 이른 것이었다. 그리고 말라카는 1414년 이슬람교로 개종을 했는데 이것은 아주 중요한 기회를 제공했다. 사업은 종교와 함께 이루어진다. 말라카의 교역이 닫는 곳이면 어디든지 자급자족의 원시경제가 머물러 있던 곳이 화폐경제로 바뀌었다. 말라카 교역에서 가장 흥미로운 현상은 링구아 프랑카 어가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이것은 말라카의 상업중심지에서 많이 통용되던 말레이 어로부터 만들어졌다.
포르투칼은 1511년 8월에 말라카를 점령함으로서 말레이군도와 극동의 바다에 대한 문호를 열게 되었다. 이런 포르투칼의 정령은 말라카의 번영과 명성에 의해서 원격조정 된 것이나 다름이 없다. 포르투칼이 이 도시를 얻게 된 것은 단지 한 부유한 한 도시를 얻는 정도가 아니라 여러 통상로들의 복합체를 지배하게 된 것이다. 나중에 네델란드 인들이 포르투칼 인들이 지배하던 아시아를 곤경에 빠뜨리기 전까지는 포르투칼 인들은 조용한 번영을 누렸다.
극동지방의 중심지 이동
바타비아는 말라카가 점령되기 이전부터 극동지방의 교역 중심지가 되어 있었다. 이 도시는 교역을 지배하고 조직했다. 1619년에 건설된 바타비아는 1638년에 일본이 포르투칼 인들에게는 문호를 폐쇄하고 네델란드 동인도 회사의 선박에 대해서는 계속 개방하는 정책을 취한 이후 폭발적으로 발전했다. 신도시 바티비아는 네델란드의 우월성의 빛나는 표시이다. 도시 내부의 모든 것이 깨끗하며 청결했다. 그러나 18세기 초부터 네델란드의 거대한 기구는 고장 나기 시작했다. 유럽에서는 국제적인 기회의 재분배가 있었고 아주 빠른 속도로 영국이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아시아에서는 인도가 극동의 무게 중심이 되어 갔지만 이렇게 최고의 자리를 차지한 것은 영국의 엄격한 감독과 주도하에 이루어졌다. 영국의 존 회사는 네델란드의 얀 회사에 대해서 승리했다. 이와 동시에 바티비아로부터 캘커타로의 빠르고 급격한 이전이 있었다. 캘커타는 최악의 무질서 속에서 아무렇게나 팽창해갔다. 캘커타는 운하와 반듯한 도로를 가지고 있는 바티비아와는 달랐다. 갠지스 강 위에는 심지어 부두시설도 없었다. 어디에서든지 무질서가 만연했다. 이것이 소위 영국식 자유의 결과이다. 이 도시는 자신의 성장이나 부에 책임을 지지 못하면서 성장해갔다. 그러나 영국인들은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았다. 이들은 방해가 되는 사람들은 누구든지 구박하고 내쫓았다.
결론이 가능한가?
이번 장에서 살펴본 비유럽의 그림은 불완전하다. 우선 중국 특히 복건서의 외부 지향적인 팽창에 대해서 더 살펴보아야 한다. 또 일본이라는 특별한 사례에 대해서도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인도에 대해서도 더 살펴보고 헤스테르만의 새로운 견해를 소개 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파비 왕조의 페르시아에 대해서 이곳의 지시경제에 대해서 그리ㅗ 이곳이 인도, 중앙아시아, 터키, 모스크바 대공국, 아주 멀리 덜어진 유럽등지에 대한 중개 역할을 맡을 수밖에 없던 점에 대해서도 설명 했어야 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10.15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6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