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이윤율의 의미와 의의
Ⅲ. 일반이윤율의 형성
1. 일반이윤율의 변동
2. 은폐와 왜곡
3. 이윤율의 상승과 하락에 관한 법칙들의 의미
4. 살아있는 노동이 이윤의 원천
Ⅳ. 자본과 이윤율
Ⅴ. 자본이윤율의 추이
Ⅵ. 자본이윤율의 방향
Ⅶ. 결론
참고문헌
Ⅱ. 이윤율의 의미와 의의
Ⅲ. 일반이윤율의 형성
1. 일반이윤율의 변동
2. 은폐와 왜곡
3. 이윤율의 상승과 하락에 관한 법칙들의 의미
4. 살아있는 노동이 이윤의 원천
Ⅳ. 자본과 이윤율
Ⅴ. 자본이윤율의 추이
Ⅵ. 자본이윤율의 방향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를 들 수 있으나 이들은 생산에 동원된 자본과 노동의 비용측면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자본이윤율은 생산(부가가치)에서 투입요소들의 비용을 뺀 이윤을 자본으로 나눈 것으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자본효율성 평가지표이다.
우리나라의 자본이윤율은 대체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 1976~80년 중 연평균 20%를 넘었던 전산업 자본이윤율이 8%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본이윤율이 이와 같이 하락해 온 것은 노동비용 및 자본비용의 생산에 대한 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데다 자본생산성까지 급격히 하락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자본이윤율이 15% 수준을 계속 유지하다가 다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이윤율은 경제가 어느 정도 성숙단계에 접어들면 하락세를 멈추고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자본이윤율이 빠른 하락세를 보인 것은 자본의 효율적 이용에 문제가 있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신고전학파 성장모형이 제시하고 있는 황금률법칙(golden rule)을 이용하여 자본축적 속도의 적정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를 보더라도 투자가 과도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과 같은 점에 비추어 볼 때 앞으로 우리나라가 자본이윤율을 가급적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기업의 투자가 외형확대보다는 수익성 위주로 이루어지는 경영풍토가 정착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여타 산업에 비해 생산성이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정보기술 산업에 대한 투자확대를 유도하여 자본생산성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그밖에 경제안정화 노력 강화, 금융구조조정의 조기 마무리 등을 통하여 시장금리의 안정을 도모하고 임금이 지나치게 인상되지 않도록 노력함으로써 기업의 자본비용 및 노동비용부담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도록 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배영목 외 3명(2002), 살아있는 경제학, p414
박형달(1995), 한국 경제에서의 산업부문별 잉여가치율, 자본의 가치구성 및 이윤율의 추계, 한국사회경제학회, 사회경제평론 8호, p24~59
신재정(2005), 자본시장론, p115~129
이준구·이창용, 경제학 들어가기, 법문사
전인우(2000), 한국 대규모 기업집단의 다각화와 이윤율, 국제경제연구, p201~222
조희영(2000), 금융제도론, 민영사
최규성(1994), 기술혁신이 이윤율 및 경제변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 박사학위 논문
우리나라의 자본이윤율은 대체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 1976~80년 중 연평균 20%를 넘었던 전산업 자본이윤율이 8%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본이윤율이 이와 같이 하락해 온 것은 노동비용 및 자본비용의 생산에 대한 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데다 자본생산성까지 급격히 하락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자본이윤율이 15% 수준을 계속 유지하다가 다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이윤율은 경제가 어느 정도 성숙단계에 접어들면 하락세를 멈추고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자본이윤율이 빠른 하락세를 보인 것은 자본의 효율적 이용에 문제가 있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신고전학파 성장모형이 제시하고 있는 황금률법칙(golden rule)을 이용하여 자본축적 속도의 적정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를 보더라도 투자가 과도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과 같은 점에 비추어 볼 때 앞으로 우리나라가 자본이윤율을 가급적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기업의 투자가 외형확대보다는 수익성 위주로 이루어지는 경영풍토가 정착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여타 산업에 비해 생산성이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정보기술 산업에 대한 투자확대를 유도하여 자본생산성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그밖에 경제안정화 노력 강화, 금융구조조정의 조기 마무리 등을 통하여 시장금리의 안정을 도모하고 임금이 지나치게 인상되지 않도록 노력함으로써 기업의 자본비용 및 노동비용부담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도록 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배영목 외 3명(2002), 살아있는 경제학, p414
박형달(1995), 한국 경제에서의 산업부문별 잉여가치율, 자본의 가치구성 및 이윤율의 추계, 한국사회경제학회, 사회경제평론 8호, p24~59
신재정(2005), 자본시장론, p115~129
이준구·이창용, 경제학 들어가기, 법문사
전인우(2000), 한국 대규모 기업집단의 다각화와 이윤율, 국제경제연구, p201~222
조희영(2000), 금융제도론, 민영사
최규성(1994), 기술혁신이 이윤율 및 경제변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 박사학위 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