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陳倉米 묵은 창고쌀
山藥 산약
扁豆 편두
鴨肉 오리고기
山藥 산약
扁豆 편두
鴨肉 오리고기
본문내용
。
편두는 오로지 비에 들어간다.
如何補脾, 蓋緣脾喜甘, 扁豆得味之甘, 故能於脾而有益也。
어떻게 비를 보하는가? 대개 비는 감미를 좋아함에 연유하니 편두가 감미를 얻었기 때문에 비에 능하며 유익함이 있다.
脾得香而能舒, 扁豆稟氣芬 芬(향기로울, 부드러워지다 분; -총8획; fen)
芳, 故能於脾而克舒也。
비는 향을 얻으면 펴니 편두는 기의 향기를 품어서 비에 능력이 있고 펼수 있다.
脾苦濕而喜燥, 扁豆得性之溫, 故能於脾而克燥也。
비는 습을 싫어하며 건조함을 좋아하니 편두는 온성을 얻었으므로 비에 능력이 있고 건조하게 할 수 있다.
脾土實, 則水道自通, 三焦不混, 而太陰暑濕之邪(指太陰暑濕言)自爾克消, 安能復藏於脾而有渴瀉之病乎?
비토가 이미 실하면 수도가 스스로 통하며 삼초가 섞이지 않으니 태음의 더위와 습(태음서습을 지칭해 말함)이 스스로 소멸할 수 있는데 어찌 다시 비에 잠복하여 갈증과 설사의 병이 있겠는가?
但多食壅滯。
단지 편두를 많이 먹으면 막히고 정체한다.
(凡仁皆滯。)不可不知。
모든 씨는 정체하니 알지 않을 수 없다.
子粗圓色白者佳。
편두씨는 거칠고 둥글며 백색이 좋다.
入藥連皮炒用, 亦有浸去皮及生用者。
약에 넣을때는 껍질을 남겨서 볶아서 갈아서 사용하며 또한 담가서 껍질을 제거하며 생으로 사용한다.
鴨肉
오리고기
(二十三 水禽 批 補虛除, 逐痰利水.)
23 오리고기는 물새종류이며 내가 생각하길 허증을 보하며 노채를 제거하며 담을 몰아내며 수를 이롭게 한다.
鴨肉(專入脾, 胃, 兼入肺, 腎)。
오리고기는 오로지 비와 위에 들어가며 겸하여 폐와 신에 들어간다.
氣味甘溫, 逼火而生, (먼저 맛볼
편두는 오로지 비에 들어간다.
如何補脾, 蓋緣脾喜甘, 扁豆得味之甘, 故能於脾而有益也。
어떻게 비를 보하는가? 대개 비는 감미를 좋아함에 연유하니 편두가 감미를 얻었기 때문에 비에 능하며 유익함이 있다.
脾得香而能舒, 扁豆稟氣芬 芬(향기로울, 부드러워지다 분; -총8획; fen)
芳, 故能於脾而克舒也。
비는 향을 얻으면 펴니 편두는 기의 향기를 품어서 비에 능력이 있고 펼수 있다.
脾苦濕而喜燥, 扁豆得性之溫, 故能於脾而克燥也。
비는 습을 싫어하며 건조함을 좋아하니 편두는 온성을 얻었으므로 비에 능력이 있고 건조하게 할 수 있다.
脾土實, 則水道自通, 三焦不混, 而太陰暑濕之邪(指太陰暑濕言)自爾克消, 安能復藏於脾而有渴瀉之病乎?
비토가 이미 실하면 수도가 스스로 통하며 삼초가 섞이지 않으니 태음의 더위와 습(태음서습을 지칭해 말함)이 스스로 소멸할 수 있는데 어찌 다시 비에 잠복하여 갈증과 설사의 병이 있겠는가?
但多食壅滯。
단지 편두를 많이 먹으면 막히고 정체한다.
(凡仁皆滯。)不可不知。
모든 씨는 정체하니 알지 않을 수 없다.
子粗圓色白者佳。
편두씨는 거칠고 둥글며 백색이 좋다.
入藥連皮炒用, 亦有浸去皮及生用者。
약에 넣을때는 껍질을 남겨서 볶아서 갈아서 사용하며 또한 담가서 껍질을 제거하며 생으로 사용한다.
鴨肉
오리고기
(二十三 水禽 批 補虛除, 逐痰利水.)
23 오리고기는 물새종류이며 내가 생각하길 허증을 보하며 노채를 제거하며 담을 몰아내며 수를 이롭게 한다.
鴨肉(專入脾, 胃, 兼入肺, 腎)。
오리고기는 오로지 비와 위에 들어가며 겸하여 폐와 신에 들어간다.
氣味甘溫, 逼火而生, (먼저 맛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