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습목적
2. 실습내용
3. 실습대상
4. 측량장비
5. 실습순서/방법
6. 이론
7. 결과
8.오차
9. 고찰 (문제점,해결방안,오차발생 원인)
2. 실습내용
3. 실습대상
4. 측량장비
5. 실습순서/방법
6. 이론
7. 결과
8.오차
9. 고찰 (문제점,해결방안,오차발생 원인)
본문내용
저, 계단식으로 측량할 구간을 나누어 줄자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면서 수평거리를 측량하는 것이며, 둘째, 경사를 따라 경사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수평거리로 환산하는 방법이 있다.
계단식 수평거리 측정방법
경사지에서의 줄자측량은 평탄지에서의 줄자측량 방법과 비슷하게 행해지나, 정확한 수평거리를 재기 위해 측량추를 이용하여 구간별로 나누어 계단식으로 수평거리를 측량한다. 즉, 그림(다음페이지)에서와 같이 측점 1, 2간의 수평거리는 A+B+C+D+E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평거리를 측량할 때 경사지를 올라가면서 측량하는 등측법과 내려오면서 측량을 하는 강측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등측법보다 강측법의 경우가 거리측량의 정도가 좋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정확도는 얼마나 줄자의 수평이 잘 유지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경사보정에 의한 수평거리 측량방법
경우에 따라서 줄자를 가지고 경사지를 따라 올라가면서 거리를 줄자로 측량하는 것은 더욱 편리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경사보정에 의한 거리측량은 수평을 유지하면서 시행되는 거리측량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다. 경사각의 크기는 그림과 같은 핸드레벨이나 클리노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그러나 경사가 빈번하게 변하는 지형에서는 경사도의 결정이 어렵기 때문에 잘 이용하지 않는다.
7. 결과
결과값 테이블구간
측정거리
측정횟수
측정거리*횟수
비고
시작점
0m
0회
0m
기준점
~A
5m
10회
50m
평지
A~B
2m
2회
4m
경사지
B~C
0.5m
1회
0.5m
장애물
C~D
2m
27회
54.m
경사지
D~E
3m
1회
3m
평지
E~F
4m
1회
4m
평지
F~G
2m
30회
60m
경사지
G~H
5m
38회
190m
평지
H~I
3m
1회
3m
평지
I~J
2m
30회
60m
경사지
J~K
2m
36회
72m
경사지
K~L
5m
2회
10m
평지
L~M
1.3m
1회
1.3m
평지
M~
2.4m
1회
2.4m
평지
끝점
0m
0회
0m
끝점
본관건물주변 둘레(총길이) : 514.2m
8.오차
시작점부터 E 까지의 거리 + J부터 M까지의 거리 = 194.3m
G부터 I까지의 거리 = 193m
오차==> 194.3m-193m = 1.3m
E부터 G까지의 거리 = 64m
I부터 J까지의 거리 - M에서 S까지의 거리 = 57.6m
오차==> 64m-60m = 6.4m
9. 고찰 (문제점,해결방안,오차발생 원인)
이번 실습 “줄자를 이용한 거리측정“ 은 측량실습시간 이후 처음으로 하는 측량이였다. 측량이 거창하다고 생각했었지만. 그 생각은 줄자와 폴대, 분필을 받아들고 본관 건물 주변으로 가는 도중에 사라졌다. 그만큼 간단한 측량 실습 이였다고 생각했다.(장비 자체가 눈으로 봐도 부실해보였기 때문에...)
측량 내용은 전체적으로 간단했다. 본관건물 주변 둘레 길이를 재는 실습이었다.
측량하는 다른조 사람이 많아서 사람이 적은 본관 현관 앞을 기준점으로 택하였다. 그곳에서 우리조는 본관현관에서 4m 떨어진 지점으로 기준점을 잡고 실습을 시작했다.
실습을 시작한지 얼마안되서 난관에 부
계단식 수평거리 측정방법
경사지에서의 줄자측량은 평탄지에서의 줄자측량 방법과 비슷하게 행해지나, 정확한 수평거리를 재기 위해 측량추를 이용하여 구간별로 나누어 계단식으로 수평거리를 측량한다. 즉, 그림(다음페이지)에서와 같이 측점 1, 2간의 수평거리는 A+B+C+D+E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평거리를 측량할 때 경사지를 올라가면서 측량하는 등측법과 내려오면서 측량을 하는 강측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등측법보다 강측법의 경우가 거리측량의 정도가 좋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정확도는 얼마나 줄자의 수평이 잘 유지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경사보정에 의한 수평거리 측량방법
경우에 따라서 줄자를 가지고 경사지를 따라 올라가면서 거리를 줄자로 측량하는 것은 더욱 편리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경사보정에 의한 거리측량은 수평을 유지하면서 시행되는 거리측량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다. 경사각의 크기는 그림과 같은 핸드레벨이나 클리노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그러나 경사가 빈번하게 변하는 지형에서는 경사도의 결정이 어렵기 때문에 잘 이용하지 않는다.
7. 결과
결과값 테이블구간
측정거리
측정횟수
측정거리*횟수
비고
시작점
0m
0회
0m
기준점
~A
5m
10회
50m
평지
A~B
2m
2회
4m
경사지
B~C
0.5m
1회
0.5m
장애물
C~D
2m
27회
54.m
경사지
D~E
3m
1회
3m
평지
E~F
4m
1회
4m
평지
F~G
2m
30회
60m
경사지
G~H
5m
38회
190m
평지
H~I
3m
1회
3m
평지
I~J
2m
30회
60m
경사지
J~K
2m
36회
72m
경사지
K~L
5m
2회
10m
평지
L~M
1.3m
1회
1.3m
평지
M~
2.4m
1회
2.4m
평지
끝점
0m
0회
0m
끝점
본관건물주변 둘레(총길이) : 514.2m
8.오차
시작점부터 E 까지의 거리 + J부터 M까지의 거리 = 194.3m
G부터 I까지의 거리 = 193m
오차==> 194.3m-193m = 1.3m
E부터 G까지의 거리 = 64m
I부터 J까지의 거리 - M에서 S까지의 거리 = 57.6m
오차==> 64m-60m = 6.4m
9. 고찰 (문제점,해결방안,오차발생 원인)
이번 실습 “줄자를 이용한 거리측정“ 은 측량실습시간 이후 처음으로 하는 측량이였다. 측량이 거창하다고 생각했었지만. 그 생각은 줄자와 폴대, 분필을 받아들고 본관 건물 주변으로 가는 도중에 사라졌다. 그만큼 간단한 측량 실습 이였다고 생각했다.(장비 자체가 눈으로 봐도 부실해보였기 때문에...)
측량 내용은 전체적으로 간단했다. 본관건물 주변 둘레 길이를 재는 실습이었다.
측량하는 다른조 사람이 많아서 사람이 적은 본관 현관 앞을 기준점으로 택하였다. 그곳에서 우리조는 본관현관에서 4m 떨어진 지점으로 기준점을 잡고 실습을 시작했다.
실습을 시작한지 얼마안되서 난관에 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