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운동과 의병전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국제정세의 변동과 러일전쟁
2. 을사조약의 강요와 통감부 설치
3. 계몽운동의 성격
4. 의병전쟁의 성격

본문내용

‘계몽운동’과 ‘의병전쟁’으로 구분.
Ⅲ. 계 몽 운 동 의 성 격 >
① 참여 주체 : 개화파 (지배층이었던 지주층)
- 자본주의와 입헌적 정치체제를 이루어 부국강변을 꾀함.
- 민중항쟁이나 변혁의 요구에 대해서는 부정적.
(1) 참여층
- 선실력양성 후독립론 : 대한협회계열 (헌정연구회계·천교도계·서북학회계), 황성신문계열 (장 지연·박은식 등), 청년학우계열 (윤치호·안창호 등)
- 선독립론 : 대한매일신보계열 (양기탁·신채호 등 신민회 좌파)
② 목 표
- 근대국민국가의 건립
- 전통적인 군주=국가관을 부정, 국민 중심의 근대국민국가관.
③ 계몽운동
- 언론 계몽운동, 국학운동, 학교 설립 운동, 민족 산업 진흥운동, 민족종교운동, 국채보상운동 등.
④ 사회진화론
- 다윈의 진화론 → 영구의 사회학자(스펜서)를 통해 사회진화론으로 탄생.
- 생존경쟁과 약육강식 + 인간사회 = 인종적 불평등.
- 강자의 약자 지배를 정당화.
- 동양에서의 사회진화론 변용 : 약자도 노력하면 강자가 될수 있다. (자강운동, 실력양성운동)
⑤ 국수보전론
- 대한매일신보의 논설. 신채호.
- 애국심과 애국정신으로 ‘국가정신’고취.
- 풍속·습관·법률·제도 등 국민의 정신을 기본으로 외국문명을 수입.
Ⅳ. 의 병 전 쟁 의 성 격 >
① 의병전쟁
- 무력항쟁으로 국권회복을 추구.
- 전국적으로 확산, ‘민족전쟁’으로 발전.
- 1907년 군대해산 이후 참여 범위가 전민족적으로 퍼짐.
② 의병전쟁의 시기적 성격
(1) 1894년 ~ 1896년 전기의병
- 위정척사를 위한 척사의병이 주류 형성.
- 1894년 농민군 토벌대 출신이 지도부와 병사층에 다수 참여.
- 목표 : 명성왕후 복수, 단발 반대, 고종의 경복궁으로 환궁, 갑오개혁 반대 등.
(2) 1904년 ~ 1906년 중기의병
- 1904년 한일의정서와 1905년 을사늑약을 계기로 구국이념이 중심 개념으로 떠오름.
- 활빈당 운동에 가담하던 농민운동의 흐름도 포함.
(3) 1907년 ~ 1910년 후기의병
- 애국구민과 보국안민을 표방. 방곡과 납세거부 투쟁주도. 민중의지지 얻음.
- 일본의 침탈에 대한 위기의식이 퍼짐.
- 해산 군인, 빈농, 행상, 평민출신 의병장이 늘어남.
* 그러나 이념이 분명하지 않은 많은 의병이 존재하였고, 의병전쟁이 국원회복운동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었음에도 구시대의 논리를 극복하고 새 정치이론을 제시하지 못한 것은 한계라 할 수 있음.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0.27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3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