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구진 동규冬葵 천우슬 두우슬 구기 지골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구진 동규冬葵 천우슬 두우슬 구기 지골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하며 근육을 강하게 하니 분명히 수를 자양하는 약미로 지칭된다.
故書又載能治消渴。
그래서 책에는 또한 구기는 소갈을 치료할 수 있다고 기재되었다.
(時珍曰:子則甘平而潤, 性滋而補, 不能退熱, 止能補腎潤肺, 生精益氣, 此乃平補之藥, 所謂精不足者補之以味也。)
이시진이 말하길 구기자는 감미와 평기로 윤택하며 성질은 자윤하면서 보하니 열을 물러나게 하지 않고 단지 신을 보하며 폐를 윤택케 하니 정을 생성하며 기를 더하니 이는 평보의 약이므로 이른바 정이 부족하면 미로써 보한다고 함이다.
今人因見色赤, 妄謂枸杞補陽, 其失遠矣!
지금 사람은 적색으로 나타남으로 기인하여 망령되게 구기가 양을 보한다고 하니 잘못이 멀다.
豈有甘潤氣寒之品, 而可言補陽耶?
어찌 감미와 윤택한 한기의 약품이 오히려 양을 보한다고 하는가?
若以色赤爲補陽, 則紅花, 紫草其色更赤, 何以不言補陽而曰活血, 嗚呼!
만약 적색으로 양을 보한다면 홍화, 자초는 색이 더욱 적색인데 어찌 양을 보한다고 하지 안혹 혈을 활발한다고 말하니 아아!
醫道不明, 總由看書辨藥, 不細體會者故耳。
의학의 도가 밝지 않음은 모두 책을 봄에 약을 변별하지 않음에 유래하니 자세히 본받아 이해되지 못하기 때문일 뿐이다.
試以虛寒服此, 不惟陽不能補, 且更見有滑脫泄瀉之弊矣, 可不歟?
시험삼아 허한증 환자가 구기를 복용하면 양을 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또한 다시 활설하여 설사하는 폐단이 있으니 삼가지 않을 수 있는가?
出甘州紅潤少核者良。
감주에서 산출되는 구기는 홍색으로 윤택하며 핵이 작은 것이 좋다.
根名地骨皮, 詳於後。
뿌리는 지골피라고 이름하니 따로 뒤에 자세히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0.27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4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