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가의 상징
1) 국기의 역사
2) 국장
3) 국화 (장미)
2. 지 리
1) 지리적 위치
2) 기온
3) 강수량
3. 국 민
1) 주민과 언어
2) 종교
3) 종교 문제
4. 정 치
1) 정치 제도
2) 행정부
3) 현 내각 구성(2006.5.20~)
5. 경 제
1) 주요 경제 정책
2) 외교 정책 기조
3) 산업
4) 외교
6. 역 사
1) 고대 및 중세
2) 근대
3) 걸프전 및 전후 전개
4) 이라크전 및 전후 전개
5) 사담 후세인
6) 간단하게 정리한 이라크 역사
7. 한국과의 관계
1) 경제․통상
2) 정부간 협정체결
3) 정부간 협의기구 및 친선단체
4) 이라크의 대한관계 정리
1) 국기의 역사
2) 국장
3) 국화 (장미)
2. 지 리
1) 지리적 위치
2) 기온
3) 강수량
3. 국 민
1) 주민과 언어
2) 종교
3) 종교 문제
4. 정 치
1) 정치 제도
2) 행정부
3) 현 내각 구성(2006.5.20~)
5. 경 제
1) 주요 경제 정책
2) 외교 정책 기조
3) 산업
4) 외교
6. 역 사
1) 고대 및 중세
2) 근대
3) 걸프전 및 전후 전개
4) 이라크전 및 전후 전개
5) 사담 후세인
6) 간단하게 정리한 이라크 역사
7. 한국과의 관계
1) 경제․통상
2) 정부간 협정체결
3) 정부간 협의기구 및 친선단체
4) 이라크의 대한관계 정리
본문내용
이 라 크
1. 국가의 상징
이라크(Iraq)
아랍어 국명은 Al\'Irq는 중세기의 페르시아어인 rq에서 유래하며 [低地帶 국가]를 의미한다. 예전에는 메소포타미아라고 하였는데, 이는 그리스어 [중간의]를 의마하는 mesos와 [강]을 뜻하는 potamos, 그리고 [지역, 국가]를 의미하는 -ia 등 세 낱말의 합성어로서,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끼인 [강사이의 땅]을 의미한 것이다.
1) 국기의 역사
이라크 왕국 국기(1924~1959)
1924년 제정되었으며 1932년 이라크가 영국으로부터 이라크 왕국으로 독립하자 국기로 제정되었다. 빨간색 부분에 칠각형 별 두개가 그려진 게 특징이다.
이라크 공화국 첫 번째 국기(1959~1963)
1958년 카셈 준장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파이살 국왕 일가를 처형하고 공화정을 수립한다. 터키, 시리아, 레바논, 이스라엘에 이어 또 다른 공화국이 중동 지역에 탄생 한 것이다.이 국기는 1958년 카셈 준장이 쿠데타를 일으켜 이라크 왕국을 폐지하고 이라크 공화국을 수립한지 1년후인 1959년 제정된 것으로 검은색, 흰색, 초록색의 세로형 삼색기에 흰색 중앙 부분에 태양 문양이 그려져 있었다.
이라크 공화국 두 번째 국기(1963~1991)
그러나 부패한 왕실 일가들을 처형하고 공화국 정부를 수립한 카셈 정권도 불행하게도 그리 5년 밖에 정권을 잡지 못했다. 카셈의 정책에 불만을 가지고 있던 아레프 준장이 1963년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카셈을 암살하고 정권을 장악한 것이다. 이 국기는 1963년 제정된 국기로 빨간, 하양, 검정 가로 삼색기에 오각별 3개가 그려져 있는 게 특징인데..이3개의 별은 이집트, 시리아와의 3국연합을 상징하였는데..불행히도 연합은 실현되지 못했다.
이라크 공화국 세 번째 국기(1991~2003)
1979년 바크르가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사담 후세인이 대통령이 된다. 대통령이 된 후세인은 정권을 장악하자마자 친 바크르 새력들과 반대파 새력들을 잔인하게 숙청하였고 1인독재 정치를 펼쳐나갔다.1963년 제정된 이라크 국기는 후세인이 집권하자마자 또 다시 수정되는데...국기의 별 3개는 시리아, 이집트와의 3국 연합에서 사담 후세인의 정치 이념을 상징하는 것으로 변모하였으며 1991년 걸프전쟁 당시 3개의 별사이에 ‘알라는 위대 하시다’라는 아랍어 구절이 추가된 것이다. 아랍어 구절이 추가된 이국기는 2003년 이라크 전쟁으로 인하여 후세인 정권이 전복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이라크 공화국 네 번째 국기(2004)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후세인 정권은 마침내 붕괴되었다. 후세인 정권이 무너졌으니 이제 새 국기 제정이 후세인 정권 붕괴 후 들어선 새 이라크 정부로서는 시급했다.
이 깃발은 사담 정권이 무너진 후 1년이 지난 2004년 제정된 것인데..흰색 바탕에 하늘색 초승달, 그 아래에 두개의 파란색 줄과 노란색 줄이 그어진 게 특징 이었다. 그러나 이스라엘 국기와 흡사하다는 비난이 이어졌고 다시 예전 후세인 시절 국기로 되돌려 달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하자 결국 이 국기는 개양되지 못한 체 쓰레기통으로 던져지고 만다.
이라크 공화국 다 섯번째 국기(2004~2008)
후세인 정권이 무너지자 새로 들어선 이라크 정부는 후세인 시절 국기를 폐지하고 새 국기를 제정, 발표했다. 그러나 새 국기의 디자인이 이스라엘 국기와 너무 닯았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거세졌고 이라크 정부는 결국 후세인 정권 국기를 부활시키되 일부 수정을 거치기로 한다. 별 3개 사이의 아랍어 구절을 고대 아랍어 문자인 쿠픽체로 바꾸었고 국기의 비율도 2:1로 수정하였다. 이 국기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되었다.
이라크 공화국 여 섯번째 국기(2008~)
후세인 시절의 국기를
1. 국가의 상징
이라크(Iraq)
아랍어 국명은 Al\'Irq는 중세기의 페르시아어인 rq에서 유래하며 [低地帶 국가]를 의미한다. 예전에는 메소포타미아라고 하였는데, 이는 그리스어 [중간의]를 의마하는 mesos와 [강]을 뜻하는 potamos, 그리고 [지역, 국가]를 의미하는 -ia 등 세 낱말의 합성어로서,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끼인 [강사이의 땅]을 의미한 것이다.
1) 국기의 역사
이라크 왕국 국기(1924~1959)
1924년 제정되었으며 1932년 이라크가 영국으로부터 이라크 왕국으로 독립하자 국기로 제정되었다. 빨간색 부분에 칠각형 별 두개가 그려진 게 특징이다.
이라크 공화국 첫 번째 국기(1959~1963)
1958년 카셈 준장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파이살 국왕 일가를 처형하고 공화정을 수립한다. 터키, 시리아, 레바논, 이스라엘에 이어 또 다른 공화국이 중동 지역에 탄생 한 것이다.이 국기는 1958년 카셈 준장이 쿠데타를 일으켜 이라크 왕국을 폐지하고 이라크 공화국을 수립한지 1년후인 1959년 제정된 것으로 검은색, 흰색, 초록색의 세로형 삼색기에 흰색 중앙 부분에 태양 문양이 그려져 있었다.
이라크 공화국 두 번째 국기(1963~1991)
그러나 부패한 왕실 일가들을 처형하고 공화국 정부를 수립한 카셈 정권도 불행하게도 그리 5년 밖에 정권을 잡지 못했다. 카셈의 정책에 불만을 가지고 있던 아레프 준장이 1963년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카셈을 암살하고 정권을 장악한 것이다. 이 국기는 1963년 제정된 국기로 빨간, 하양, 검정 가로 삼색기에 오각별 3개가 그려져 있는 게 특징인데..이3개의 별은 이집트, 시리아와의 3국연합을 상징하였는데..불행히도 연합은 실현되지 못했다.
이라크 공화국 세 번째 국기(1991~2003)
1979년 바크르가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사담 후세인이 대통령이 된다. 대통령이 된 후세인은 정권을 장악하자마자 친 바크르 새력들과 반대파 새력들을 잔인하게 숙청하였고 1인독재 정치를 펼쳐나갔다.1963년 제정된 이라크 국기는 후세인이 집권하자마자 또 다시 수정되는데...국기의 별 3개는 시리아, 이집트와의 3국 연합에서 사담 후세인의 정치 이념을 상징하는 것으로 변모하였으며 1991년 걸프전쟁 당시 3개의 별사이에 ‘알라는 위대 하시다’라는 아랍어 구절이 추가된 것이다. 아랍어 구절이 추가된 이국기는 2003년 이라크 전쟁으로 인하여 후세인 정권이 전복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이라크 공화국 네 번째 국기(2004)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후세인 정권은 마침내 붕괴되었다. 후세인 정권이 무너졌으니 이제 새 국기 제정이 후세인 정권 붕괴 후 들어선 새 이라크 정부로서는 시급했다.
이 깃발은 사담 정권이 무너진 후 1년이 지난 2004년 제정된 것인데..흰색 바탕에 하늘색 초승달, 그 아래에 두개의 파란색 줄과 노란색 줄이 그어진 게 특징 이었다. 그러나 이스라엘 국기와 흡사하다는 비난이 이어졌고 다시 예전 후세인 시절 국기로 되돌려 달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하자 결국 이 국기는 개양되지 못한 체 쓰레기통으로 던져지고 만다.
이라크 공화국 다 섯번째 국기(2004~2008)
후세인 정권이 무너지자 새로 들어선 이라크 정부는 후세인 시절 국기를 폐지하고 새 국기를 제정, 발표했다. 그러나 새 국기의 디자인이 이스라엘 국기와 너무 닯았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거세졌고 이라크 정부는 결국 후세인 정권 국기를 부활시키되 일부 수정을 거치기로 한다. 별 3개 사이의 아랍어 구절을 고대 아랍어 문자인 쿠픽체로 바꾸었고 국기의 비율도 2:1로 수정하였다. 이 국기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되었다.
이라크 공화국 여 섯번째 국기(2008~)
후세인 시절의 국기를
추천자료
이라크 전쟁 반대에 대한 나의 이유와 의견
이라크전쟁 [사회과학]
이라크 전쟁과 그 후 전후의 세계
이라크 전쟁에 대한 방송국의 보도태도 비교 분석 [발표자료]
이라크 전후의 중동정세 변화
이라크전쟁이 석유 및 LPG 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라크전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이라크 파병동의안 위헌확인 헌법소원
이라크전에서의 정보전
이라크에 전쟁이 났을 때, 석유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LPG시장에 미치는 영향/자기주변에서 ...
이라크전쟁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이라크 전쟁시 미3사단의 작전분석
이라크전쟁의 교훈
이라크전을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 입장에서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