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적
▣ 적용
▣ 합병증
▣ 장점
▣ 시술단계 및 간호
▣ 시술 후 관리
▣ 기관절개관 흡인(suction)
▣ 기관절개관 간호(Tracheostomy care)
▣ 적용
▣ 합병증
▣ 장점
▣ 시술단계 및 간호
▣ 시술 후 관리
▣ 기관절개관 흡인(suction)
▣ 기관절개관 간호(Tracheostomy care)
본문내용
주어 aspiration을 방지
- 호흡곤란 증상 관찰 : 호흡수, 시끄러운 호흡, 안절부절, 창백, 청색증
- 무균술을 지키고 합병증 관찰
- 기관지 분비물이 액화되도록 1일 3,000cc 정도의 수분공급을 시킴
- 전해질 균형 유지
- 응급 상황 대비
- 손상, 감염 증상 관찰
- 기관지가 압력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도록 cuff를 부풀릴 때 적절히 함
- 기관기관 주위의 피부간호와 구강간호를 유지
- 적절한 영양공급
- 대상자의 걱정이나 불안을 감소시킴
1. 기관절개관의 세척
<목적>
- 기관절개관 주위를 깨끗이 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감염이 되지 않도록 함
- 기관절개관이 폐쇄되지 않도록 함
<준비물품>
흡인을 위한 물품 일체, 멸균된 기관절개관(필요시), dressing set, 멸균장갑, 일회용 장갑, 고정끈, 세척액(생리식염수, H2O2 : 소독, 백태제거, 소독액으로 닦은 후 생리식염수로 닦아준다.) Bowl, gauze(Y-gauze, 마른 거즈:총 3개), 면봉이나 작은 솔
<방법>
1) 물품 준비를 한 후, 대상자에게 설명 후, D-set를 열어 주로 사용하는 손에 멸균장갑을 낀다.
2) 내관 제거 전에 흡인한다.(전 후 100% 산소 5회 정도 과포화 : 저산소혈증 예방)
3) 주로 사용하지 않는 손에 일회용 장갑을 끼고 기관 절개 드레싱을 제거한다. 이중 절개관인 경우, 주로 사용하지 않는 손으로 기관절개관의 잠금장치를 풀고 한쪽 손가락으로 외관을 지지해 주면서 내관을 만곡에 맞추어 뺀다.
4) 멸균되어 있는 다른 내관으로 교환하거나 또는 뺀 내관을 소독하여 다시 삽입한다.
a. 내관을 소독하여 다시 삽입할 경우
- 내관을 H2O2용액에 몇 분 담가둔다.
- 양 손에 다시 멸균장갑을 끼고, 솔이나 면봉 혹은 거즈를 이용하여 내관전체를 닦는다.
- 닦은 내관을 멸균 생리식염수로 헹군 후 물기를 뺀다. (내관을 끼우기 전에 외관의 내부를 흡인 해 낸다. 흡인을 너무 자주 하면 나중에 객담 생성이 안 되어 폐렴에 걸린다. 앞에서 했으므로 가래가 너무 많아 가글거릴 때만 해준다.)
5) 멸균된 내관을 만곡의 방향에 맞추어 외관에 삽입하고, 빠지지 않게 잠금장치를 잠근다.
6) 기관절개관 주위와 피부 드레싱
- 기관절개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 손으로 잡고, 거즈를 접어 기관절개관 밑에 대준다.
- 고정하는 끈을 교환한다.
- 매듭을 만들어 목 옆에 단단히 묶되, 손가락 두 개 정도가 들어갈 만큼 여유를 둔다.
- 생리식염수로 적신 거즈를 기관절개관 입구에 덮어준다.
7) 장갑을 벗고, 호흡상태를 관찰하며, call bell을 가까이 놓고, 연필과 종이를 준비(말을 못하므로)하 고, chart에 대상자에게 해 준 간호와 환자 상태를 기록한다.
2. 기관절개관 cuff의 팽창과 수축
<목적>
- 공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 객담이나 토물, 혈액이 하기도로 흡인되지 않게 하기 위해
- 관을 고정시키기 위해
<방법>
1) 반좌위를 취한 후, 10ml 주사기에 공기를 재서 최소량의 공기를 주입(보통 5~6ml)
2) 숨을 들이쉴 때 cuff를 팽창시킨다.
3) 청진기를 기관 근처의 목에 대고 공기가 누출되는 소리 유무를 확인한다.
4) 공기 누출을 나타내는 소리가 없으면 0.2~0.3ml의 공기를 cuff로부터 뺀다.
5) 다시 한 번 공기 누출이 없음을 확인한다.
*공기 누출이 없는 경우 : 대상자의 목소리가 나지 않는다. 대상자의 입, 코, 기관절개 부위에서 공 기가 움직이는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대상자가 숨을 들이쉴 때 기관 근처의 목을 청진하여 공기 누출 소리를 들을 수 없다.
6) 압력측정을 위해 공기주입 입구를 압력계관에 연결한다.(정상압력 : 14~20mmHg)
: cuff의 과도한 압력은 기관부종, 궤양, 괴사 등을 유래, 과소 팽창은 부적절한 환기를 일으키고, 혈액, 음식물, 분비물의 흡입을 초래함.
# 처음 24시간은 그대로 두고, 1~2시간 마다 3~5분씩 빼준다.
Tracheostomy의 종류
인공호흡기 치료를 하거나 aspiration 우려가 있는 환자에게 사용.
cuff는 구강 분비물dml 흡인을 예방하거나 제한한다.
cuffed:환자가 호흡하는 동안 기관내관 주의를 막아서 인공호흡시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며, 폐안으로 기간내관이 밀려들어가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portex- uncuffed plain tube
Double lumen
분비물의 양이 감소하면 사용하기 시작한다.
기관절개관마개 : tube를 제거하려할
- 호흡곤란 증상 관찰 : 호흡수, 시끄러운 호흡, 안절부절, 창백, 청색증
- 무균술을 지키고 합병증 관찰
- 기관지 분비물이 액화되도록 1일 3,000cc 정도의 수분공급을 시킴
- 전해질 균형 유지
- 응급 상황 대비
- 손상, 감염 증상 관찰
- 기관지가 압력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도록 cuff를 부풀릴 때 적절히 함
- 기관기관 주위의 피부간호와 구강간호를 유지
- 적절한 영양공급
- 대상자의 걱정이나 불안을 감소시킴
1. 기관절개관의 세척
<목적>
- 기관절개관 주위를 깨끗이 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감염이 되지 않도록 함
- 기관절개관이 폐쇄되지 않도록 함
<준비물품>
흡인을 위한 물품 일체, 멸균된 기관절개관(필요시), dressing set, 멸균장갑, 일회용 장갑, 고정끈, 세척액(생리식염수, H2O2 : 소독, 백태제거, 소독액으로 닦은 후 생리식염수로 닦아준다.) Bowl, gauze(Y-gauze, 마른 거즈:총 3개), 면봉이나 작은 솔
<방법>
1) 물품 준비를 한 후, 대상자에게 설명 후, D-set를 열어 주로 사용하는 손에 멸균장갑을 낀다.
2) 내관 제거 전에 흡인한다.(전 후 100% 산소 5회 정도 과포화 : 저산소혈증 예방)
3) 주로 사용하지 않는 손에 일회용 장갑을 끼고 기관 절개 드레싱을 제거한다. 이중 절개관인 경우, 주로 사용하지 않는 손으로 기관절개관의 잠금장치를 풀고 한쪽 손가락으로 외관을 지지해 주면서 내관을 만곡에 맞추어 뺀다.
4) 멸균되어 있는 다른 내관으로 교환하거나 또는 뺀 내관을 소독하여 다시 삽입한다.
a. 내관을 소독하여 다시 삽입할 경우
- 내관을 H2O2용액에 몇 분 담가둔다.
- 양 손에 다시 멸균장갑을 끼고, 솔이나 면봉 혹은 거즈를 이용하여 내관전체를 닦는다.
- 닦은 내관을 멸균 생리식염수로 헹군 후 물기를 뺀다. (내관을 끼우기 전에 외관의 내부를 흡인 해 낸다. 흡인을 너무 자주 하면 나중에 객담 생성이 안 되어 폐렴에 걸린다. 앞에서 했으므로 가래가 너무 많아 가글거릴 때만 해준다.)
5) 멸균된 내관을 만곡의 방향에 맞추어 외관에 삽입하고, 빠지지 않게 잠금장치를 잠근다.
6) 기관절개관 주위와 피부 드레싱
- 기관절개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 손으로 잡고, 거즈를 접어 기관절개관 밑에 대준다.
- 고정하는 끈을 교환한다.
- 매듭을 만들어 목 옆에 단단히 묶되, 손가락 두 개 정도가 들어갈 만큼 여유를 둔다.
- 생리식염수로 적신 거즈를 기관절개관 입구에 덮어준다.
7) 장갑을 벗고, 호흡상태를 관찰하며, call bell을 가까이 놓고, 연필과 종이를 준비(말을 못하므로)하 고, chart에 대상자에게 해 준 간호와 환자 상태를 기록한다.
2. 기관절개관 cuff의 팽창과 수축
<목적>
- 공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 객담이나 토물, 혈액이 하기도로 흡인되지 않게 하기 위해
- 관을 고정시키기 위해
<방법>
1) 반좌위를 취한 후, 10ml 주사기에 공기를 재서 최소량의 공기를 주입(보통 5~6ml)
2) 숨을 들이쉴 때 cuff를 팽창시킨다.
3) 청진기를 기관 근처의 목에 대고 공기가 누출되는 소리 유무를 확인한다.
4) 공기 누출을 나타내는 소리가 없으면 0.2~0.3ml의 공기를 cuff로부터 뺀다.
5) 다시 한 번 공기 누출이 없음을 확인한다.
*공기 누출이 없는 경우 : 대상자의 목소리가 나지 않는다. 대상자의 입, 코, 기관절개 부위에서 공 기가 움직이는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대상자가 숨을 들이쉴 때 기관 근처의 목을 청진하여 공기 누출 소리를 들을 수 없다.
6) 압력측정을 위해 공기주입 입구를 압력계관에 연결한다.(정상압력 : 14~20mmHg)
: cuff의 과도한 압력은 기관부종, 궤양, 괴사 등을 유래, 과소 팽창은 부적절한 환기를 일으키고, 혈액, 음식물, 분비물의 흡입을 초래함.
# 처음 24시간은 그대로 두고, 1~2시간 마다 3~5분씩 빼준다.
Tracheostomy의 종류
인공호흡기 치료를 하거나 aspiration 우려가 있는 환자에게 사용.
cuff는 구강 분비물dml 흡인을 예방하거나 제한한다.
cuffed:환자가 호흡하는 동안 기관내관 주의를 막아서 인공호흡시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며, 폐안으로 기간내관이 밀려들어가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portex- uncuffed plain tube
Double lumen
분비물의 양이 감소하면 사용하기 시작한다.
기관절개관마개 : tube를 제거하려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