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 중간세미나 에코틸[Ecoteel]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소재 중간세미나 에코틸[Ecoteel]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제 설정 방향

2. Ecoteel 이란?

3. 타사 제품과 Ecoteel의 물성비교

4. Ecoteel의 응용분야

5. Ecoteel의 발전 가능성

본문내용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여 방진과 방음 효과가 뛰어나며 미국 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빅3에 납품되고 있다.
*자동차에 이용된 Ecoteel의 성능
특징2. 단열효과
점탄성 수지가 에너지 파장의 전달을 감소시켜 단열효과도 높였다.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왼쪽의 에코틸의 경우 태양열에서 전달되는 파장이 두 금속사이의 점탄성수지에 의해 부분적으로 흡수되어 오른쪽의 일반 금속보다 통과열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특징3. 가공의 용의성
상부 판재에 에칭, 그라인딩, 프레스 등의 후처리 공정을 통해 다양한 무늬를 표현할 수 있어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이 뛰어난 가공성으로 에코틸은 자동차, 방화문, 창호뿐만 아니라 선박, 가전제품 등 전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가공된 굴곡면의 사진
특징4. 저렴한 가격
구리는 친환경적이면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는 금속이다. 그러나 가격이 비싸 건설현장에서 구리를 쉽게 사용하지 못한다. 구리와 철이 결합한 에코틸은 친환경적인 구리의 특성을 모두 가졌지만 가격은 구리로만 만들었을 경우의 30% 수준이다. 또 스테인리스와 철을 접합한 에코틸은 스테인리스에 비해 절반 이하의 가격에 판매된다. 즉, 다른 재료를 접합함에 따라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물성을 만족시키면서 제품의 가격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가의 판재 (예: 구리 등)를 박판 형태로 상부판재로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저가의 강판 (예 :용융아연도금강판 등)을 하부강판으로 사용하면 전체가 상부판재 재질인 경우에 비해 제품가격을 절감할 수 있다.
특징5. 기타
그 밖에도 구리 소재 특성인 전자파 차단, 수맥차단, 항균성, 해충방지의 기본 성능을 가진다.
3. Ecoteel과 타사제품의 비교
3-1. 기술적 측면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 속도, 가공, 접착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며, 그 생산 공정 또한 발달되어 있어. 산업성이 우수하다.
3-2. 제품 특성 측면
타사의 제품과 비교했을 때 감진 기능과 단열 기능이 뛰어나고 접착력과 굽힘도 우수하여 가공이 용이함을 볼 수 있다. 환경시험과 염수분무시험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 주위 환경적 오염에도 강함을 볼 수 있다.
*감진 성능을 보여주는 실험결과
4. Ecoteel의 응용분야
Ecoteel Stainless: 건축 외/내장재, 씽크볼, 부엌가구, 방차문, 엘리베이터, 에스컬레 이터에 사용
-Ecoteel Alumimum: 건축 외/내장재, 대형 갑판, 교통표지판, 가구에 사용
-Ecoteel Copper: 건축외/내장재, 방화문, 가구, 가전제품
-Ecoteel Damping Steel(Quiet Steel): 건축외/내장재, 프레임, 금속가수, 자동차
5. Ecoteel의 발전가능성
환경에 관심이 급증되고 있는 최근에 친 환경적면이 우수하고 기존의 자재보다 원가도 싸며 앞으로의 금속소재 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보이는 상당히 기대되는 소재이다. 이를 발판으로 삼아 친환경 부분에서의 소재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경제-2009.09.14 기사인용)
“미국 엠에스시사 국제영업담당 부사장 출신으로 지난해 이 회사로 자리를 옮긴 론밀러 기술담당사장은 에코틸은 미국 엠에스시사의 제진 강판보다 기능과 활용도면에서 월등히 앞서는 제품이라며 향후 국내는 물론 국제금속 소재시장을 평정할 돌품의 핵으로 떠오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화일보 경제-2009.09.24 기사인용)
“한 중소 건축자재업계 임원은 GS건설의 경우 자체 연구소의 실험을 거친 후 친환경 건축자재 적용 지침서에 따라 마감 자재를 시공 할 정도로 건설업체들의 기준이 엄격해지고 있다며 친 환경자재를 개발하지 못하면 도태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6. Reference
-http://www.hwmsc.com/
-http://hwmsc.en.ec21.com
-http://ebook.ec21.com/hwmsc/default1.html
-http://www.doors21.co.kr/detail.php?number=707&thread=14 (기사)
-http://cafe.daum.net/lkoo777 (미그린 디자인 아트)
-http://google.com (사진)
-건축재료의 품질기준에 과한 연구
(1978년 12월 26일 건설부 한양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가로변 건물 외장 재료의 구성과 이미지에 관한 여구
(한상수, 남혜경, 박한규)
-방화재료
(서치호-건국대학교)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1.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0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