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일본의 이해 정리노트(중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일본의 이해 정리노트(중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금지
(6) 최근 : 전통문화의 재조명 - 일본을 대표하는 문화의 한 부분이 됨.
3) 가부키의 대본 - 대본을 중요시하지 않음.
(1) 엉성하다 → 공동집필, 단기간
(2) 일막 일막이 각각 하나의 드라마
→ 독립성(일관된 스토리 전개X), 각 막마다 클라이막스를 전개
(3) 비연속의 연속으로 집합·통일
4) 가부키의 배우
(1) 유녀 가부키의 금지
(2) 오야마·온나가타(女形)
① 여자역할 전문의 남자배우
② 여자배우의 소멸
(3) 세습제
① 이치가와 단쥬로 - 가부키를 완성시킨 배우
→ 현 12대째, 옥호는 나리타야
5) 가부키의 연기
(1) 구마도리 : 배우의 화장, 적·청·흑
- 캐릭터를 관객이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
(2) 미에 : 극적으로 고양된 일순간의 정지된 포즈
(3) 록뽀 : 단지리(관서지방)
여섯방향으로 손발을 크게 흔들면서 과장되게 걷는 것.
(4) 다치마와리 : 과장된 몸짓의 칼싸움
(5) 단마리 : 어둠 속에서 인물들이 서로 찾아다니는 것.
6) 가부키의 무대
7) 쥬하치방(十八番십팔번)
(1) 가부키의 레퍼토리 : 엔모쿠, 방
(2) 쥬하치방 : 가부키 단골 레퍼토리 18개
→ 7대째 이치카와 단쥬로가 제정
(3) 대표작 : 「가나데흔 츄신구라」→ 일본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작품. - 47명의 부하들이 주군의 한을 풀기 위하여 적을 죽이는 복수극
4. 닝교죠루리(인형극)
1) 닝교죠루리의 유래
(1) 죠루리의 발생 : 샤미센(류큐왕국의 악기-오키나와)에 맞추어 이야기의 대본을 낭독
→ 우시와카마루(미나모토 요시스네)와 「죠루리」아씨의 사랑
(2) 닝교죠루리의 발생
: 인형-닝교시(인형 조종사) + 죠루리-다유(대본 낭독자 / 샤미센 반주자는 따로 있다.)
→ 닝교죠루리
2) 닝교죠루리의 역사
(1) 에도시대
: 작가 - 치키마츠 몬자에몽과
다유 - 다케모토 기다유의 황금기(간통에 의한 부부간 동반자살이 많았던 시기를 소재)
(2) 가부키에 의해 전용극장의 쇠퇴 및 동반자살이라는 소재의 금지
(3) 우에무라 분라쿠켄 → 분라쿠(닝교죠루리의 정식명칭이 됨.)
3) 닝교죠루리의 인형(3인의 조종사에 의하여 인형이 조종됨.)
(1) 오모 즈카이 - 오른손 주 조종사
(2) 히다리 즈카이 - 왼손 조종사(복면) → 구로코(없는 사람이라는 상징)
(3) 아시즈카이 - 밑에서 인형의 발을 조종하는 사람
⇒ 3인이 인형 1개를 조종.
아시즈카이 10년 수행 → 히다리 즈카이 10년 수행 → 오모 즈카이
무형 문화재가 됨.
6주차
■ 학습목표 : 일본의 전통문화(2)■ 강의개요
1. 하이쿠 - 일본문학
2. 다도 - 차를 마시는 행위
3. 화도 - 꽃꽂이
4. 스모 - 일본식 씨름
5. 라쿠고 - 전통적 이야기예술
6. 만자이 - 전통적 이야기예술
1. 하이쿠
1) 에도시대(근세)
와카(5/7/5/7/7-5구31자) → 하이카이(5/7/5-3구17자)
2) 하이카이(해학적-말장난) → 하이쿠(근대화 이후)
서양에도 알려져 서양언어로 맞출 수 없지만 짧은 3행시 형식으로 바꿈.(HAIKU)
- 영어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음.
→ 일본 사람들의 심성을 드러내는 대표적 장르 중에 하나이다.
3) 후루 이케야(5)
카와즈 토비코무(7)
미즈노 오토(5)
⇒ 인적이 드는 오래된 연못에 개구리가 뛰어드는 물의 소리
창작자가 생각하는 이미지를 압축 및 강조시켜서 표현
※ 창작방법에 있어서의 제한
① 계절을 상징하는 단어가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 계어 \"카와즈\"(개구리 : 늦은 봄 내지 초여름)
② 기레지 - \"잠시 쉬어\"라는 글자가 들어야가 한다. - \"야\"
2. 다도
1) 차의 전래와 발달
(1) 8세기 : 견당사를 통해 중국에서 전래
(2) 헤이안 시대 : 차나무 이식, 말기부터 재배 성공(일상적으로 이용하지는 않았다.)
장군 미나모토노 사네토모가 즐기면서 상류계층(무사, 승려) 사이에서 유행
- 숙취해소 및 만병통치약으로 이용
(3)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다케노 죠오 - 와비차 창시
센노 리큐 - 다도 완성
2) 다도의 성격
(1) 종합 문화예술 : 종교성, 철학성, 사교성 포함
(2) 다실에서 맛챠(분말 녹차)를 마시는 끽다뿐만 아니라
족자(산수화 등), 꽃꽂이, 정원, 차도구의 감상
(3) 다회를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해방을 지향 → 구도적 경향
- 선불교의 영향 - 차를 마시는 것이 참선의 과정이다.
(4) 차도구 감상 → 취미·유흥적 경향
3) 다도의 기본정신
(1) 4규 : 다도의 기본정신(예의작법)
① 화 - 서로 사이 좋게 화합
② 경 - 서로 존경
③ 청 - 항상 몸과 마음을 깨끗이
④ 적 - 마음이 흔들리지 않게
→ 일본인의 의식과 예의범절에 영향
3. 화도(이케바나)
1) 화도의 의미와 발전
(1) 화도 : 풀, 나무, 꽃을 화병이나 침봉에 꽂는 기법 혹은, 그것을 감상하는 행위
(2) 화도의 발전
① 고대 : 신앙의 대상, 제단 장식, 불전의 공양물
② 중세 : 중국의 선종의 영향
사원, 무가·귀족 저택의 응접실 장식
③ 다도의 완성 후 : 다실 분위기 연출 → 차바나
④ 에도 시대 이후 : 규모가 작아져 현재의 형태(쵸닝계급에 의한 화도)
2) 화도의 유파와 천지인
(1) 이에모토 제도로 전승
① 이케노보 류 : 전통유파
② 오하라 류
③ 소게츠 류
(2) 천지인 : 에도 후기, 유교의 음양오행설
중앙의 긴 가지 - 하늘, 중간 길이의 가지 - 사람, 가장 짧은 길이의 가지 - 땅
4. 스모
1) 스모의 역사
(1) 712년 고지키에 기록
(2) 나라시대 : 궁중행사
(3) 가마쿠라·무로마치 시대
: 무사들에게 장려
(4) 에도시대 : 프로 스포츠화, 직업선수
2) 스모의 경기방식
스모경기장(도효 - 쌀 가마와 흙으로 만들어진 씨름판)
: 가로·세로 545 외곽, 직경 455 원 모양의 경계
(1) 원 밖으로 밀어내기
(2) 발바닥 이외의 부분이 땅에 닿이게 하기
3) 스모의 종교성
(1) 도효의 종교성
정식시합으로 인정 받으려면 신사를 상징하는 신사의 지붕을 상단에 설치해야 한다.
지붕에는 동서남북(사계절)을 상징하는 것이 달려있다.
(2) 경기의 종교성
한 쪽 다리를 번쩍 드는 행위 - 일종의 지신밟기(땅의 잡귀를
  • 가격2,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9.11.02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