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단위의 이야기들 속으로 결합되었다고 주장한다. 윌리엄 s. 라솔 외, 『구약개관』, 박철현 역, ( 서울 :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5), p. 347. 재인용.
Ⅲ. 본문주석
Ⅲ.1. 본문사역
7:1 기럇여야림 사람들이 와서 여호와의 궤를 언덕 기브아( h[;b]GI)는 언덕을 의미한다. 성경에서 용례를 찾아본다면 첫 번째는 기브아는 산보다 작은 자연적인 언덕을 가리킨다. (출 17:9, 출 17:10, 삼하 2:25, 삼상 7:2, 삼상 10:10) 두 번째 다른 용례는 불법적인 예배장소로 쓰였다. 이사야에 13회, 예레미야 9회, 에스겔 8회 등장한다. (참조: V. P. Hamiton; BDB, 바이블렉스 4.0 원어사전).
위에 있는
아비나답의 집에 옮겨 놓았다.
그리고 그의 아들 엘리아살을 성결케하여 야훼의 궤를 지키게 했다.
7:2 그리고 궤가 기럇여아림에 들어간 날로부터 이십년을 있었다.
그 시간이 오래 있었다.
그리고 모든 이스라엘 집이 야훼 앞에서 애곡 한글 개역성경이 \'사모하니라\'로 번역한 \'와인나후\'의 원형 \'나하\'( hh;n:) 는 본래 \'애곡하다\', \'슬퍼하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단어는 구약성경에 이 본문까지 세 번 등장하는데 미 2:4에서는 예루살렘을 독점했던 자들이 앗수르의 침략군에 망해 애곡할 것을 표현할 때, 겔 32:18에서는 애굽에 대해 애곡할 때 쓰였다. (참조: TWOT; BDB : 바이블렉스 4.0 원어사전)
한글개역성경에서는 70인역(LXX)에 \'관심을 가지고 응시하다\' 라는 뜻이 있는 opisw 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신명기와 사사기에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이스라엘의 순환패턴을 볼 때 \'애곡하다\'의 해석이 더 잘 어울린다. 이스라엘의 순환패턴은 백성들의 범죄와 이방인들로부터의 억압, 하나님께 울부짖음, 하나님께서 구원이라는 순환형식과 일치한다. 이에 관련된 본문들은 (출 2:32, 삿3:9, 4:3, 6:6) 이다. (참조 제자원,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사무엘상 1-10장)』, 서울 : 제자원, 2002, p 427)
했다.
7:3 사무엘이 이스라엘 온 집에게 이르되 너희가 만일 야훼께 돌아오려거든 돌아오려거든. \'돌아오다\'라는 동사는 \'회복하다, 전향하다\'라는 의미를 지니므로 하나님을 배신한 사람들이 다시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 (참조. 편찬위원회, 『장별요약강해 : 여호수아-사무엘하』, 서울 : 목원출판사, 1995, p. 347)
이방
신들과 아스다롯을 너희 마음 가운데에서 치워버리고 너희는 너희 마음을 야훼께
고정하라 그리고 너희는 오직 그분만을 예배하라 \'섬기라\'에 해당하는 \'웨이브두후\'의 원형 아바드 (db\'[;) 는 하나님과 연관하여 사용할 때는 \'예배드리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참조 제자원,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사무엘상 1-10장)』, 서울 : 제자원, 2002, p 440)
그러면 너희를 블레셋 사람의 손에서 구원하실 것이다 라고 말했다.
7:4 그러자 이스라엘 백성이 그 바알들 본문에서처럼 복수형에 정관사를 붙인 형태인 \'합베알림\'은 아마 각 지역마다 있었던 신들을 총칭하기 위해 사용된 표현으로 생각된다. (참조. 제자원,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사무엘상 1-10장)』, 서울 : 제자원, 2002, p 441)
과 아스다롯을 치워버리고 야훼만을 예배하니라.
7:5 사무엘이 말했다.
온 이스라엘은 미스바로 모여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야훼께 기도하리라
7:6 그들이 미스바에 모여 물을 길어 여호와 앞에서 그 땅에 \'\'그 땅에\"로 쓰이는 \'아르촤\'가 70인경에는 추가 되어 있다. (참조. 앤더슨, A. A.『Word Biblical Commentary V.1: 1 Samuel』, 서울 : 솔로몬, 2001, p. 134)
부었다.
그리고 그 날에 금식하고 우리가 야훼 앞에 범죄하였다 말하니라.
사무엘이 이스라엘 자손을 다스리니라 \'다스렸다\'로 번역된 \'와이쉬포트\'의 원형 \'솨파트\'(fp\'v;)는 일차적으로 \'재판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 말은 문자적 의미 이상의 의미도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고대에 있어서 \'재판자\'는 모든 백성을 다스리는 권위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별히 사사들이 다스리던 시대에 \'솨파트\' 동사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그 이유는 사사들은 결국 \'재판하는 자\'인 동시에 \'다스리는 자\'였기 때문이다. (참조 제자원,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사무엘상 1-10장)』, 서울 : 제자원, 2002, p 440)
7:7 이스라엘 자손이 미스바에 모였다함을 블레셋 사람이 듣고 블레셋 통치자들이
이스라엘을 치러 올라왔다. 이스라엘 자손이 듣고 블레셋 사람을 두려워하다.
7:8 당신은 우리를 위하여 하나님 야훼께 잠잠하지 말고 부르짖어라.
우리를 블레셋 사람의 손에서 그가 구원할 것이다.
7:9 사무엘이 젖먹는 양 한 마리를 잡고 온전한 번제를 야훼께 드리고 사무엘이
부르짖었다. 그랬더니 야훼께서 이스라엘에 응답하였다.
7:10 사무엘이 번제를 드리고 있었다.
그래서 블레셋 사람이 이스라엘과 싸우려고 접근했다.
그 날에 야훼께서 큰 천둥소리 콜(l/q)은 일반적으로 콜은 주로 성대에서 말하는 소리를 의미한다(실제적으로나 비유적으로). 그리고 다른 의미로는 소문이나 뇌성으로도 쓰인다. (참조 랑켄솨이트, 히브리어-한국어 사전)
를 발하여 블레셋 사람에게 요동하게 하셨다.
그래서 이스라엘 면전에서 그들이 패했다.
7:11 이스라엘 사람들이 미스바에서 나가 블레셋 사람들을 쫓아 벧갈 아래까지 쳤더라.
7:12 사무엘이 한 돌을 취하여 미스바와 센 사이에 두어 이르되 야훼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하고 그 이름을 에벤에셀이라 불렀다.
Ⅲ.2. 본문의 양식/구조/배경
사무엘상은 사사통치가 끝나고 새로운 형태의 통치제제인 왕정정치가 들어선 배경과 새로운 왕정의 길을 시작함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 사무엘, 그리고 그에 의해 왕으로 기름부음 받은 사울, 또한 사울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의 통치자가 된 다윗의 등극과 그의 통치 말년까지를 다루고 있다. 강사문 외, 『구약성서개론』, (서울 : 한국장로교
Ⅲ. 본문주석
Ⅲ.1. 본문사역
7:1 기럇여야림 사람들이 와서 여호와의 궤를 언덕 기브아( h[;b]GI)는 언덕을 의미한다. 성경에서 용례를 찾아본다면 첫 번째는 기브아는 산보다 작은 자연적인 언덕을 가리킨다. (출 17:9, 출 17:10, 삼하 2:25, 삼상 7:2, 삼상 10:10) 두 번째 다른 용례는 불법적인 예배장소로 쓰였다. 이사야에 13회, 예레미야 9회, 에스겔 8회 등장한다. (참조: V. P. Hamiton; BDB, 바이블렉스 4.0 원어사전).
위에 있는
아비나답의 집에 옮겨 놓았다.
그리고 그의 아들 엘리아살을 성결케하여 야훼의 궤를 지키게 했다.
7:2 그리고 궤가 기럇여아림에 들어간 날로부터 이십년을 있었다.
그 시간이 오래 있었다.
그리고 모든 이스라엘 집이 야훼 앞에서 애곡 한글 개역성경이 \'사모하니라\'로 번역한 \'와인나후\'의 원형 \'나하\'( hh;n:) 는 본래 \'애곡하다\', \'슬퍼하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단어는 구약성경에 이 본문까지 세 번 등장하는데 미 2:4에서는 예루살렘을 독점했던 자들이 앗수르의 침략군에 망해 애곡할 것을 표현할 때, 겔 32:18에서는 애굽에 대해 애곡할 때 쓰였다. (참조: TWOT; BDB : 바이블렉스 4.0 원어사전)
한글개역성경에서는 70인역(LXX)에 \'관심을 가지고 응시하다\' 라는 뜻이 있는 opisw 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신명기와 사사기에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이스라엘의 순환패턴을 볼 때 \'애곡하다\'의 해석이 더 잘 어울린다. 이스라엘의 순환패턴은 백성들의 범죄와 이방인들로부터의 억압, 하나님께 울부짖음, 하나님께서 구원이라는 순환형식과 일치한다. 이에 관련된 본문들은 (출 2:32, 삿3:9, 4:3, 6:6) 이다. (참조 제자원,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사무엘상 1-10장)』, 서울 : 제자원, 2002, p 427)
했다.
7:3 사무엘이 이스라엘 온 집에게 이르되 너희가 만일 야훼께 돌아오려거든 돌아오려거든. \'돌아오다\'라는 동사
이방
신들과 아스다롯을 너희 마음 가운데에서 치워버리고 너희는 너희 마음을 야훼께
고정하라 그리고 너희는 오직 그분만을 예배하라 \'섬기라\'에 해당하는 \'웨이브두후\'의 원형 아바드 (db\'[;) 는 하나님과 연관하여 사용할 때는 \'예배드리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참조 제자원,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사무엘상 1-10장)』, 서울 : 제자원, 2002, p 440)
그러면 너희를 블레셋 사람의 손에서 구원하실 것이다 라고 말했다.
7:4 그러자 이스라엘 백성이 그 바알들 본문에서처럼 복수형에 정관사를 붙인 형태인 \'합베알림\'은 아마 각 지역마다 있었던 신들을 총칭하기 위해 사용된 표현으로 생각된다. (참조. 제자원,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사무엘상 1-10장)』, 서울 : 제자원, 2002, p 441)
과 아스다롯을 치워버리고 야훼만을 예배하니라.
7:5 사무엘이 말했다.
온 이스라엘은 미스바로 모여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야훼께 기도하리라
7:6 그들이 미스바에 모여 물을 길어 여호와 앞에서 그 땅에 \'\'그 땅에\"로 쓰이는 \'아르촤\'가 70인경에는 추가 되어 있다. (참조. 앤더슨, A. A.『Word Biblical Commentary V.1: 1 Samuel』, 서울 : 솔로몬, 2001, p. 134)
부었다.
그리고 그 날에 금식하고 우리가 야훼 앞에 범죄하였다 말하니라.
사무엘이 이스라엘 자손을 다스리니라 \'다스렸다\'로 번역된 \'와이쉬포트\'의 원형 \'솨파트\'(fp\'v;)는 일차적으로 \'재판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 말은 문자적 의미 이상의 의미도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고대에 있어서 \'재판자\'는 모든 백성을 다스리는 권위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별히 사사들이 다스리던 시대에 \'솨파트\' 동사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그 이유는 사사들은 결국 \'재판하는 자\'인 동시에 \'다스리는 자\'였기 때문이다. (참조 제자원,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사무엘상 1-10장)』, 서울 : 제자원, 2002, p 440)
7:7 이스라엘 자손이 미스바에 모였다함을 블레셋 사람이 듣고 블레셋 통치자들이
이스라엘을 치러 올라왔다. 이스라엘 자손이 듣고 블레셋 사람을 두려워하다.
7:8 당신은 우리를 위하여 하나님 야훼께 잠잠하지 말고 부르짖어라.
우리를 블레셋 사람의 손에서 그가 구원할 것이다.
7:9 사무엘이 젖먹는 양 한 마리를 잡고 온전한 번제를 야훼께 드리고 사무엘이
부르짖었다. 그랬더니 야훼께서 이스라엘에 응답하였다.
7:10 사무엘이 번제를 드리고 있었다.
그래서 블레셋 사람이 이스라엘과 싸우려고 접근했다.
그 날에 야훼께서 큰 천둥소리 콜(l/q)은 일반적으로 콜은 주로 성대에서 말하는 소리를 의미한다(실제적으로나 비유적으로). 그리고 다른 의미로는 소문이나 뇌성으로도 쓰인다. (참조 랑켄솨이트, 히브리어-한국어 사전)
를 발하여 블레셋 사람에게 요동하게 하셨다.
그래서 이스라엘 면전에서 그들이 패했다.
7:11 이스라엘 사람들이 미스바에서 나가 블레셋 사람들을 쫓아 벧갈 아래까지 쳤더라.
7:12 사무엘이 한 돌을 취하여 미스바와 센 사이에 두어 이르되 야훼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하고 그 이름을 에벤에셀이라 불렀다.
Ⅲ.2. 본문의 양식/구조/배경
사무엘상은 사사통치가 끝나고 새로운 형태의 통치제제인 왕정정치가 들어선 배경과 새로운 왕정의 길을 시작함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 사무엘, 그리고 그에 의해 왕으로 기름부음 받은 사울, 또한 사울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의 통치자가 된 다윗의 등극과 그의 통치 말년까지를 다루고 있다. 강사문 외, 『구약성서개론』, (서울 : 한국장로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