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전기 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전기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태양열 에너지

▣ 태양광 에너지

▣ 풍력 에너지

▣ 지열 에너지

▣ 조력 에너지

▣ 바이오매스(biomass) 에너지

▣ 연료전지 에너지

▣ 폐기물 에너지

▣ 정전기

본문내용

이 거의 없으며, CO2 발 생량에 있어서도 미분탄 화력발전에 비하여 20∼40% 감소.
회전부위가 없어 소음이 없으며, 기존 화력발전과 같은 다량의 냉각수 불 필요.
도심부근 설치가능하여 송배전시의 설비 및 전력 손실 적음.
부하변동에 따라 신속히 반응하며, 설치형태에 따라서 현지 설치용, 분산 배치형, 중앙집중형 등의 다양한 용도 사용 가능.
2)단 점
고도의 기술과 고가의 재료 사용으로 인해 현재는 경제성이 떨어짐.
내구성과 신뢰성의 문제 등 상용화를 위해선 아직 해결해야 할 기술적 난 제가 존재.
연료전지에 공급할 원료(ex 수소)의 대량 생산과 저장, 운송, 공급 등의 기술적 해결이 시급하고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역시 미 비한 상황.
▣ 폐기물 에너지
① 정의 :
사업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폐기물 중 에너지 함량이 높은 폐기물을 열 분해에 의한 오일화기술, 성형고체연료의 제조기술, 가스화에 의한 가연성 가스 제 조기술 및 소각에 의한 열회수기술 등의 가공, 처리 방법을 통해 고체 연료, 액체 연료, 가스 연료, 폐열 등을 생산하고, 이를 산업생산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재생 에너지.
② 특징 :
비교적 단기간내에 상요화 가능하며, 폐기물 자원의 적극적인 에너지자원으로의 활 용으로 인류 생존권을 위협하는 폐기물 환경문제의 해소가 가능함
③ 종류 :
1) 성형고체연료(RDF) : 종이, 나무, 플라스탁 등의 가연성 폐기물을 파쇄, 분리, 건 조, 성형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고체연료.
2) 폐유 정제유 : 자동차 폐윤활유 등의 폐유를 이온정제법, 열분해 정제법, 감압증 류법 등의 공정으로 정제하여 생산된 재생유.
3) 플라스틱 열분해 연료유 : 플라스틱, 합성수지, 고무, 타이어 등의 고분자 폐기물 을 열분해하여 생산되는 청정 연료유.
4) 폐기물 소각열 : 가연성 폐기물 소각열 회수에 의한 스팀생산 및 발전, 시멘트킬 른 및 철광석소성로 등의 열원으로의 이용 등.
(2). 정전기가 무엇인지를 정의하고, 수업자료에서 제시된 것 이외의 정전기 응용 분야를 기술하라.
▣ 정전기
※정의 :
정전기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물질이 상호 운동을 할 때에 그 접촉면에서 발생하게 되며, 이 정전기는 고체상호간에서 뿐만 아니라 고체와 액체간, 액체 상호간, 액체와 기체 간에서도 발생한다.
정전기 현상의 발견에 대한 기록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탈레스가 호박을 양피에 마찰 시켜 정전기를 발생시킨 것이 시초이었으며, electricity라는 말은 오박(그리스 어로 electron) 에서 유래되었다.
이와 같은 정전기는 고분자 물질을 많이 취급하는 우리생활 주변에서 빈번히 발생 될 뿐만 아니라 자연현상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뇌구름에 의한 번개 낙뢰현상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정전기를 정확히 정의 한다는 것이 쉽지 않으나, 실용적으로는 우 리가 통상 쓰고 있는 정전기(動電氣)와 비교하여 전하의 공간적 이동이 적어 이전 류에 의한 자 계(磁界)효과가 전계(電界)효과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아주 적은 전기 라고 할 수 있으 며, 이 정전계(靜電界)에 의한 제반현상을 정전현상이라고 한다.
보통 상태에서는 전자와 양성자의 숫자가 서로 균형을 이루어서 전체적으로 는 중
성을 띠게 된다. 그러나 물체가 외부와의 마찰이나 다른 특별한 힘을 받게 되면 이 것들이 어느 한 곳으로 몰려서 그 물체가 양(+)전하(전자보다 양성자가 많은 경우) 나 음(-)전하(양성자보다 전자가 많은 경우)를 띠게 된다.
이 전하들이 전선 같은 도체를 타고 흘러 다니는 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전기이다.
그런데 이 전하들이 흘러 다니지 못하고 한 곳에 고여 있는것, 그것이 바로 정전기 다.
※응용 분야 :
1. 복사기 :
우선 투명한 셀레늄으로 코팅한 전기전도성을 지닌 광전도판을 사용하고 있다. 이 광전도판에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서 균일한 정전기를 약 6000V정도로 미리 하전 시켜 놓는다. 이 판에 코팅된 물질은 빛에 아주 민감해서, 예를 들어 복사할 문서 의 흰 부분에 의해 반사된 빛이 비추어지면 하전된 전하가 접지로 도망가서 그 부 분은 하전량이 떨어진다. 이때 카메라를 활용하여 문서를 확대,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복사할 문서의 검은 부분은 이 판에 양전하를 띠도록 남게 되는데, 이 양 전기들은 음전기를 띠도록 만들어 놓은 검은 인쇄용 분말을 끌어당기게 된다. 이 렇게 끌어당겨진 분말의 양은 하전량에 따라 다르게 되고, 복사할 문서의 명암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 검은 분말은 열에 의해서 녹게 되는데, 종이와 이 둥근판이 접촉되는 순간 녹게 만들어 새로운 종이에 복사가 되게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반 도체 기술의 발전에 의해 우수한 복사기가 계속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칼라레 이저 복사기가 실용화되고 있다.
2. 비닐 랩, 털이개 :
비닐 랩 은 어디든 찌꺽찌꺽 잘 들러붙는다. 랩의 표면에 접착제가 발라져 있는 것 도 아닌데 우째 그리 잘 붙을까? 랩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플라스 틱은 좋은 절연체 이다. 즉 전하들이 움직이지 못하는 부도체이다. 따라서 한번 전하를 가지고 있으면 그것들이 여간해서 다른 곳으로 이동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랩은 플라스틱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한 상품이다. 랩을 만드는 공장 에서는 랩의 제조공정 중 랩에 전기를 띠게 하는 공정을 거치게 한다. 따라서 생산 된 제품은 대전(帶電)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다. 랩에 있는 전하들은 주변의 물체 표면을 유도에 의해 대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어디에나 잘도 들러붙는 것이다. 정 전기로 먼지를 끌어당기는 털이개도 정전기를 활용한 예이다. 스타킹에 정전기가 잘 생긴다는 것을 거꾸로 무쟈게 이익되게 활용할 수 있는 법 한 가지!! 스타킹에 막대기를 꽂아서 책상ㆍ장롱ㆍ소파 밑을 문지르면 아주 훌륭하게 온갖 먼지를 묻혀 서 나온다.
3. 정전기 청소,지우개 :
정전기 먼지 떨이와 같은 브러쉬를 칠판 지우개 사방에 부착, 칠판을 닦을 시 브러 쉬에 마찰 전기가 가해져 정전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칠판을 닦을시 분필가루가 공 기중에 퍼져 나가지 못하게한다.

키워드

태양,   에너지,   풍력,   지열,   조력,   바이오매스,   연료,   폐기물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1.05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