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MISSHA 소개
Ⅱ. 경쟁사 분석
Ⅲ. SWOT 분석
Ⅳ. STP 분석
Ⅴ. 4P 분석
Ⅵ. 성공 및 실패요인분석
Ⅶ. 미샤의 대안
Ⅷ. 결 론
Ⅱ. 경쟁사 분석
Ⅲ. SWOT 분석
Ⅳ. STP 분석
Ⅴ. 4P 분석
Ⅵ. 성공 및 실패요인분석
Ⅶ. 미샤의 대안
Ⅷ. 결 론
본문내용
나간다는 의미로써 소비자들에게 전통성 있는 화장품으로 어필하고 있다.
스킨 푸드는 품질과 가격의 고정관념을 깨뜨리며 화장품 시장에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 스킨 푸드는 화장품은 화학물질로 만들었다는 고정관념을 탈피해 먹어도 좋은 음식을 주재료로 ‘푸드 코스메틱’ 이라는 차별화된 콘셉트를 마케팅 전략으로 개발, 중저가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설탕과 꿀, 와인, 우유, 초콜릿, 쌀, 콩 등이 스킨푸드의 600여 품목의 주재료이다. 친근한 이미지의 브랜드 네임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피부가 먹는 음식 = 화장품’ 이란 개념으로 지난 12월에 오픈, 현재 전국 각지에서 속속들이 매장이 생겨나고 있다. 스킨 푸드의 모든 제품들은 음식이나 자연 산물과 관련된 성분들이다.
Ⅲ. SWOT 분석
①. 강점
1) 합리적 가격
화장품은 여성들이 매일 사용하는 일상 생활용품임에도 불구하고 천차만별의 가격대에 따라 그 질적인 차별성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 가격의 차이만큼의 실질적인 질적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있어 왔다. 미샤는 이러한 기존의 화장품의 가격이 포함하는 포장비, 유통비, 광고비 등을 최저로 줄여서 가격을 낮추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미샤의 가장 큰 특징이자 강점을 가격으로 인식한다.
2) ‘입소문’ 마케팅 전략의 경험
‘입소문’ 마케팅은 다른 매체를 통한 마케팅보다 적은 비용으로 확실한 소비를 끌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샤는 유통 단계를 줄이고 간소화하기 위해 오프라인 매장을 만들기 전, 여성 포털 뷰티넷(www.beautynet.co.kr)을 런칭했는데, 이때 이미 온라인 상 커뮤니티 활동으로 가격은 낮지만 품질은 좋다는 인정을 받아 충성도가 높은 고객을 확보하였고 ‘입소문’ 마케팅 전략을 통해서 기존의 고객이 새로운 고객을 끌어오고 미샤는 시장 진입에 성공하였다.
3) 매장의 접근 용이성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하는 것에 있어서 쇼핑적 성격이 있다. 이로 인해 화장품을 구입하는 공간은 여러 매장이나 상표가 함께 있는 공간이 주를 이룬다. 미샤의 매장은 200여개에 달하고 그 매장들은 유동인구가 많은 각 중심지에 퍼져있다. 이 때문에 소비자는 미샤 매장에 쉽게 접근 할 수 있다.
4) 해외 시장의 진출
미샤는 2004년 9월 첫 해외진출을 시작으로 호주, 싱가폴, 대만, 홍콩, 일본, 미국 등지로 진출하여 해외시장에서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고, 특히 한류열풍에 따라 아시아지역에서의 성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해외진출은 새로운 시장의 증가와 세계적인 이미지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②. 약점
1) 한정적 브랜드 이미지
미샤의 상품은 10대 후반 20대 초반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즉, 화장자체에 의미를 두고 경제적 능력이 크지 않은 발견기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4p가 구성되어있다. 미샤의 매장은 주로 10대와 20대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들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고 또한 10대와 20대 초반을 대상으로 한 광고를 내보내고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층들은 대상에서 소외된다. 미샤가 초기에 슬로건으로 내건 것은 “합리적인 가격(Quality base Missa)”이다. 그러나 저가라는 메리트 외에 미샤가 주는 이미지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화장품의 질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가격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이다. 과거에 비해 덜하긴 하지만 가격과 질이 비례관계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은 여전하다. 미샤의 상품에 대해 소비자들은 가격대비 양질의 상품이라고 인식하고 있지만, 고가의 화장품과 대등한 질을 가졌다고는 생각하지 않고 심지어 후발경쟁자에게도 질적인 측면에서 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다. 즉, 기존의 어린 이미지를 비롯한 고급화장품과는 거리가 먼 이미지들이 미샤 브랜드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한정적 브랜드 이미지는 제품의 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 장애로 작용하고, 재 구매 의사를 없애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설문 결과에서 나타나 있듯이, 재 구매 의사가 없는 사람은 48%이고, 재 구매 의사가 없는 이유는 질이 좋지 않다는 의견이 79% 이다. 그리고 저가의 이미지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격이 오르더라고 고급화 전략을 취하는 것도 한계를 가진다.
2) 낮은 수익률
양질의 제품을 추구하면서 저가로 상품을 내놓으므로 수익률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미샤는 이 단점을 화장품 생산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유통경로를 거치면서 존재하던 거품을 걷어 내고, 광고비지출을 줄임으로써 해결해왔다. 그러나 경쟁이 과열되면서 광고비 지출이 늘고 새로운 활로 모색에의 비용이 들어가면서 수익률이 낮아졌다. 수익률이 낮을 경우, 매출량을 늘림으로써 전체 이윤을 높이는 전략을 취할 수 있지만, 화장품의 특성상 같은 제품을 여러 개 구매하지 않음- 이러한 전략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시장이 과열되어 매출량을 늘리기 힘들 경우, 이윤 추구에 문제가 생긴다.
③. 기회
1) 경기 불황과 소비의 양극화
미샤가 등장하기 이전의 화장품 시장은 명품과 소매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중가의 화장품, 학생이나 유아를 대상으로 한 저가의 화장품으로 나뉘어져 있었고 화장품은 많은 거품으로 필요이상의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었다. 그러나 경기의 불황이 이어지자 저가 화장품에 대한 needs는 존재했으나, 시장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미샤는 이러한 저가 화장품 시장을 개발하여 틈새시장을 공략했다고 볼 수 있다. 미샤의 등장으로 경기의 불황을 타고 중가의 화장품 소비가 줄면서 중저가의 화장품 군으로 통합되는 흐름이 나타나 화장품 소비가 고가 화장품과 중저가 화장품의 소비로 양극화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에도 계속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저가 화장품 시장의 확대를 기대해 볼 수 있다.
2) 실용적 가치 추구 증대
저가 화장품 시장이 발달되고 경기의 불황이 이어지면서 화장품 구매에서 추구하는 가치 중 실용적 가치 추구가 증가하고 있다. 실용적 가치 추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저가화장품을 이용하는 화장품 군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④. 위기
1) 위협적인 경쟁자들의 등장
후발 경쟁자의 대표적인 예가 ‘더 페이스
스킨 푸드는 품질과 가격의 고정관념을 깨뜨리며 화장품 시장에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 스킨 푸드는 화장품은 화학물질로 만들었다는 고정관념을 탈피해 먹어도 좋은 음식을 주재료로 ‘푸드 코스메틱’ 이라는 차별화된 콘셉트를 마케팅 전략으로 개발, 중저가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설탕과 꿀, 와인, 우유, 초콜릿, 쌀, 콩 등이 스킨푸드의 600여 품목의 주재료이다. 친근한 이미지의 브랜드 네임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피부가 먹는 음식 = 화장품’ 이란 개념으로 지난 12월에 오픈, 현재 전국 각지에서 속속들이 매장이 생겨나고 있다. 스킨 푸드의 모든 제품들은 음식이나 자연 산물과 관련된 성분들이다.
Ⅲ. SWOT 분석
①. 강점
1) 합리적 가격
화장품은 여성들이 매일 사용하는 일상 생활용품임에도 불구하고 천차만별의 가격대에 따라 그 질적인 차별성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 가격의 차이만큼의 실질적인 질적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있어 왔다. 미샤는 이러한 기존의 화장품의 가격이 포함하는 포장비, 유통비, 광고비 등을 최저로 줄여서 가격을 낮추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미샤의 가장 큰 특징이자 강점을 가격으로 인식한다.
2) ‘입소문’ 마케팅 전략의 경험
‘입소문’ 마케팅은 다른 매체를 통한 마케팅보다 적은 비용으로 확실한 소비를 끌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샤는 유통 단계를 줄이고 간소화하기 위해 오프라인 매장을 만들기 전, 여성 포털 뷰티넷(www.beautynet.co.kr)을 런칭했는데, 이때 이미 온라인 상 커뮤니티 활동으로 가격은 낮지만 품질은 좋다는 인정을 받아 충성도가 높은 고객을 확보하였고 ‘입소문’ 마케팅 전략을 통해서 기존의 고객이 새로운 고객을 끌어오고 미샤는 시장 진입에 성공하였다.
3) 매장의 접근 용이성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하는 것에 있어서 쇼핑적 성격이 있다. 이로 인해 화장품을 구입하는 공간은 여러 매장이나 상표가 함께 있는 공간이 주를 이룬다. 미샤의 매장은 200여개에 달하고 그 매장들은 유동인구가 많은 각 중심지에 퍼져있다. 이 때문에 소비자는 미샤 매장에 쉽게 접근 할 수 있다.
4) 해외 시장의 진출
미샤는 2004년 9월 첫 해외진출을 시작으로 호주, 싱가폴, 대만, 홍콩, 일본, 미국 등지로 진출하여 해외시장에서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고, 특히 한류열풍에 따라 아시아지역에서의 성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해외진출은 새로운 시장의 증가와 세계적인 이미지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②. 약점
1) 한정적 브랜드 이미지
미샤의 상품은 10대 후반 20대 초반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즉, 화장자체에 의미를 두고 경제적 능력이 크지 않은 발견기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4p가 구성되어있다. 미샤의 매장은 주로 10대와 20대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들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고 또한 10대와 20대 초반을 대상으로 한 광고를 내보내고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층들은 대상에서 소외된다. 미샤가 초기에 슬로건으로 내건 것은 “합리적인 가격(Quality base Missa)”이다. 그러나 저가라는 메리트 외에 미샤가 주는 이미지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화장품의 질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가격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이다. 과거에 비해 덜하긴 하지만 가격과 질이 비례관계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은 여전하다. 미샤의 상품에 대해 소비자들은 가격대비 양질의 상품이라고 인식하고 있지만, 고가의 화장품과 대등한 질을 가졌다고는 생각하지 않고 심지어 후발경쟁자에게도 질적인 측면에서 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다. 즉, 기존의 어린 이미지를 비롯한 고급화장품과는 거리가 먼 이미지들이 미샤 브랜드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한정적 브랜드 이미지는 제품의 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 장애로 작용하고, 재 구매 의사를 없애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설문 결과에서 나타나 있듯이, 재 구매 의사가 없는 사람은 48%이고, 재 구매 의사가 없는 이유는 질이 좋지 않다는 의견이 79% 이다. 그리고 저가의 이미지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격이 오르더라고 고급화 전략을 취하는 것도 한계를 가진다.
2) 낮은 수익률
양질의 제품을 추구하면서 저가로 상품을 내놓으므로 수익률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미샤는 이 단점을 화장품 생산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유통경로를 거치면서 존재하던 거품을 걷어 내고, 광고비지출을 줄임으로써 해결해왔다. 그러나 경쟁이 과열되면서 광고비 지출이 늘고 새로운 활로 모색에의 비용이 들어가면서 수익률이 낮아졌다. 수익률이 낮을 경우, 매출량을 늘림으로써 전체 이윤을 높이는 전략을 취할 수 있지만, 화장품의 특성상 같은 제품을 여러 개 구매하지 않음- 이러한 전략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시장이 과열되어 매출량을 늘리기 힘들 경우, 이윤 추구에 문제가 생긴다.
③. 기회
1) 경기 불황과 소비의 양극화
미샤가 등장하기 이전의 화장품 시장은 명품과 소매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중가의 화장품, 학생이나 유아를 대상으로 한 저가의 화장품으로 나뉘어져 있었고 화장품은 많은 거품으로 필요이상의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었다. 그러나 경기의 불황이 이어지자 저가 화장품에 대한 needs는 존재했으나, 시장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미샤는 이러한 저가 화장품 시장을 개발하여 틈새시장을 공략했다고 볼 수 있다. 미샤의 등장으로 경기의 불황을 타고 중가의 화장품 소비가 줄면서 중저가의 화장품 군으로 통합되는 흐름이 나타나 화장품 소비가 고가 화장품과 중저가 화장품의 소비로 양극화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에도 계속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저가 화장품 시장의 확대를 기대해 볼 수 있다.
2) 실용적 가치 추구 증대
저가 화장품 시장이 발달되고 경기의 불황이 이어지면서 화장품 구매에서 추구하는 가치 중 실용적 가치 추구가 증가하고 있다. 실용적 가치 추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저가화장품을 이용하는 화장품 군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④. 위기
1) 위협적인 경쟁자들의 등장
후발 경쟁자의 대표적인 예가 ‘더 페이스
추천자료
화장품시장의 성장과 세계화 - 태평양과 미샤를 중심으로
[페이스북]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중심 페이스북(Facebook)의 개념과 특성, 장단점 및 ...
바디샵의 전략과 그린마케팅 분석
바디샵의 마케팅 전략 분석
소비자행동분석 - 로드샵 마케팅
페이스북(Face book)의 성공사례
페이스북,페이스북산업,페이스북해외진출,페이스북수익창출,ANT이론,SNS,SNS산업,SNS역사,SNS...
페이스북,페이스북산업,페이스북해외진출,페이스북중국실패,페이스북해외진출실패,SNS,SNS산...
스킨푸드(Skinfood) VS 미샤(Missha) 마케팅 4P,STP 전략 비교분석 PPT자료
레드페이스(THE REDFACE) 마케팅전략분석과 레드페이스 컨셉도출 및 레드페이스 경쟁자분석 (...
Facebook 이란,페이스북 경영,페이스북 마케팅,Facebook VS 유사기업 ppt자료
에이블씨엔씨-기업분석,세계화장품사업,화장품시장,미샤경영,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
페이스북의 전술과 마케팅 방법 및 미래 소셜 케트워크 플랫폼에 관하여 알아보자
[전략경영론] MISSHA 의 전략 분석 - 미샤, 경쟁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잡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