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골프의 역사
2.한국의 골프
3.골프사의 명선수들
4.골프의 기본상식
5.국제경기
6.용구
7.골프코스
8.기본규칙과 라운드의 실제
9.기본기술
10.골프의 현대적 의의와 실상
2.한국의 골프
3.골프사의 명선수들
4.골프의 기본상식
5.국제경기
6.용구
7.골프코스
8.기본규칙과 라운드의 실제
9.기본기술
10.골프의 현대적 의의와 실상
본문내용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두 손으로 클럽을 쥐어야 하는데, 먼저 왼손의 손바닥에 그립을 대각선으로 댄다. 이 클럽을 쥐는 법이 그립으로 가장 기본적인 동작이다. 그립에는 내추럴그립인터로킹그립오버래핑그립의 3가지가 있다.
스윙은 볼이 날아가는 선과 평행을 이루므로 이를 위해 발판을 굳히는 일을 스탠스라고 한다. 스탠스를 취하고 클럽을 지상에 댄 동작을 어드레스라고 한다. 스탠스에는 스퀘어스탠스클로즈드스탠스오픈스탠스의 3가지가 있다. 스윙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골프채로 볼을 똑바로 그리고 멀리 보내도록 일괄성 있는 운동을 해주는 것이다.
원심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운동을 하는 몸통의 꼬기와 풀기를 효율적으로 해야 한다. 어느 경우나 스윙은 적절한 타이밍에 의해서 조절되어야 한다. 골프경기를 하기 위해서는 스윙동작뿐만 아니라 어프로치퍼팅벙커샷 등의 동작도 습득해야 한다. 볼과 홀컵과의 거리 및 볼의 위치와 상태를 정확히 판단해서 어프로치에 성공하면 숏게임을 잘 할 수 있어 파를 잡을 확률이 높아진다.
퍼팅이란 퍼터를 가지고 홀컵에 공을 쳐서 넣는 동작으로, 300야드의 드라이버샷이나 짧은 퍼팅스트로크도 모두 1타이기 때문에 골프에서 중요하게 여긴다. 드라이버는 장타(長打)의 티샷용(用)이다. 티업의 높이와 볼의 위치에 따라서 탄도(彈道)의 고저를 변화시키거나 체공력(滯空力)을 바꿀 수도 있다. 스윙의 호(弧)를 크게 할수록 클럽헤드의 속도가 증가되어 볼이 멀리 날아간다.
아이언은 표적을 노리기 위한 정확성과 라이가 나쁜 볼을 긁어올리기 위한 용구이다. 롱아이언은 정확해야 할 장타에, 미들아이언은 120~150m의 거리에, 쇼트아이언은 90~110m 거리의 어프로치에 사용된다. 러닝샷은 3분의 2 이상을 굴러가게 해서 기(旗)까지 접근시키는 타법이다. 피치샷은 볼을 높이 올려서 그린에 낙하시켜 볼을 멈추게 하는 샷으로, 특히 나무나 해저드를 넘겨 핀을 노리는 경우에 사용한다.
피치앤드런은 볼을 조금 올렸다가 굴려서 기 가까이로 보내는, 피치와 러닝을 병용한 샷으로 효과도 양자의 특질을 겸비한다. 퍼팅에서는 볼을 홀에 굴려넣는 것에 골프 플레이의 궁극 목적이 있다.
10. 골프의 현대적 의의와 실상
◎골프의 증가.확산의 범 세계적 현상
인구의 증가와 확산에 따라 골프인구 또한 증가.확산되어 가고 있다. 특히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의 골프인구의 증가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 15년 동안의 골프인구 증가율을 보면 유럽 300%, 아시아 180%, 호주.태평양 150%, 북미 70%가
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골프코스의 증가는 유럽 100%,중남미 70%,아시아 50%, 북미 30%로 주로 유럽
과 아시아 지역에서 골프코스가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의 경우는 이미 골프의 인기가 극대점에 도달하여 일상의 레저스포츠로서의 확고한 자리를 유지
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18홀 기준 골프장이 약 2만개가 존재한다는 것만 보아도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세계적인 골프붐의 확산은 계속될 것이며, 특히 아시아 및 유럽지역에서의 확산은 계속될
것으로 생각한다.
◎ 사냥본능의 충동
인류의 의식속에는 사냥본능의 충동을 지니고 있으며 과거에는 수렵과 목축으로 사냥본능의 충동을
유지하였으나 근대화.산업화로 인한 사회가 발전되면서 이러한 사냥본능의 충동은 스포츠로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사냥본능의 충동을 가장 충족시키는 스포츠 중의 하나가 골프라 할 수 있다.
노동의 목적이 돈을 벌어서 쓰는데 있다고 본다면, 골프코스는 영원한 사냥터이고, 골퍼는 영원한 사냥
꾼이며, 18홀은 영원한 먹이감이라고 할 수 있다.
골프의 용어인 버디, 이글, 알바트로스는 모두 새의 이름이다. 버디는 작은새, 이글은 독수리, 알바트로스
는 세계최대의 큰새(신천옹)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버디를 잡았다', '이글을 잡았다'라고 하는 것은
사냥본능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18홀을 골프장 클럽하우스라고 하며 골퍼들은 그곳에 모여서 자기 능력과 스코어를 평가하고 자기의
경기에 대한 성과를 확인한다. 이것은 마치 사냥꾼이 먹이감(포획물)을 분배하는 행위와 흡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설은 산업이 고도화. 복잡화 됨으로써 인간의 사냥에 대한 욕구가 확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골프에 대한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레저스포츠로서의 비중이 더욱 증가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 레저.스포츠로서의 가치
골프는 타 스포츠에 비해 상대방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 개방된 스포츠이며 정신적 레크리에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18홀을 기준으로 볼때 인간에게 적절한 운동량을 주는 스포츠로서 플레이균등과 종일성
(終日性)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 인기가 매우 높은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992년 YMCA 가 직장인
을 대상으로 '가장 하고 싶은 운동' 중 골프가 두번째로 많은 응답을 하였다.
학계의 보고에 의하면 골프는 인간에게
첫째, 고령화 사회의 첫째가는 건강복지의 스포츠이며, 노인성 치매증(알츠하이머병)의 예방에 효과가
매우 크다. 둘째, 주니어들을 선도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즉, 음침한 오락실에서 노는 아이보다 태양볕 아래서 활발
뛰어 노는 아이치고 문제아 없다. 셋째, 비지니스맨의 스트레스 해소, 인재테스트, 사교성을 기르는데 매우
유익한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여성에게는 젊음을 되찾아 주고, 삶의 활기를 주는 스포츠 중의 하나이다.
라고 보고하고 있다.
"골프는 문명사회의 필수적 요건이다"(앤드류 카네기)
"골프의 가장 큰 결점은 너무 재미가 나는데 있다"(롱헨리 코스트)
"건강을 위하여 골프를 한다고 말하는 사람만큼 큰 거짓말장이는 없다"(토미아머)
"게임으로 이기려 하지말고 연습과 노력으로 이겨라"(벤 호건)
"두뇌로 못이기는 상대를 게임으로 이기지 못한다"(로손 리틀)
중산 및 상류층의 스포츠문화인 레저성 골프는 중산층이 늘어나고 중산층 의식이 커짐에 따라 더욱 활성
화 될 것이다. 그러나 골프가 대중 스포츠화되면서 더욱 주의해야할 점은 품위, 에티켓, 매너를 소중히
여기는 것이 골프의 진정한 대중화요, 스포츠로서 위상을 지키는 것이라는 점이다.
스윙은 볼이 날아가는 선과 평행을 이루므로 이를 위해 발판을 굳히는 일을 스탠스라고 한다. 스탠스를 취하고 클럽을 지상에 댄 동작을 어드레스라고 한다. 스탠스에는 스퀘어스탠스클로즈드스탠스오픈스탠스의 3가지가 있다. 스윙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골프채로 볼을 똑바로 그리고 멀리 보내도록 일괄성 있는 운동을 해주는 것이다.
원심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운동을 하는 몸통의 꼬기와 풀기를 효율적으로 해야 한다. 어느 경우나 스윙은 적절한 타이밍에 의해서 조절되어야 한다. 골프경기를 하기 위해서는 스윙동작뿐만 아니라 어프로치퍼팅벙커샷 등의 동작도 습득해야 한다. 볼과 홀컵과의 거리 및 볼의 위치와 상태를 정확히 판단해서 어프로치에 성공하면 숏게임을 잘 할 수 있어 파를 잡을 확률이 높아진다.
퍼팅이란 퍼터를 가지고 홀컵에 공을 쳐서 넣는 동작으로, 300야드의 드라이버샷이나 짧은 퍼팅스트로크도 모두 1타이기 때문에 골프에서 중요하게 여긴다. 드라이버는 장타(長打)의 티샷용(用)이다. 티업의 높이와 볼의 위치에 따라서 탄도(彈道)의 고저를 변화시키거나 체공력(滯空力)을 바꿀 수도 있다. 스윙의 호(弧)를 크게 할수록 클럽헤드의 속도가 증가되어 볼이 멀리 날아간다.
아이언은 표적을 노리기 위한 정확성과 라이가 나쁜 볼을 긁어올리기 위한 용구이다. 롱아이언은 정확해야 할 장타에, 미들아이언은 120~150m의 거리에, 쇼트아이언은 90~110m 거리의 어프로치에 사용된다. 러닝샷은 3분의 2 이상을 굴러가게 해서 기(旗)까지 접근시키는 타법이다. 피치샷은 볼을 높이 올려서 그린에 낙하시켜 볼을 멈추게 하는 샷으로, 특히 나무나 해저드를 넘겨 핀을 노리는 경우에 사용한다.
피치앤드런은 볼을 조금 올렸다가 굴려서 기 가까이로 보내는, 피치와 러닝을 병용한 샷으로 효과도 양자의 특질을 겸비한다. 퍼팅에서는 볼을 홀에 굴려넣는 것에 골프 플레이의 궁극 목적이 있다.
10. 골프의 현대적 의의와 실상
◎골프의 증가.확산의 범 세계적 현상
인구의 증가와 확산에 따라 골프인구 또한 증가.확산되어 가고 있다. 특히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의 골프인구의 증가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 15년 동안의 골프인구 증가율을 보면 유럽 300%, 아시아 180%, 호주.태평양 150%, 북미 70%가
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골프코스의 증가는 유럽 100%,중남미 70%,아시아 50%, 북미 30%로 주로 유럽
과 아시아 지역에서 골프코스가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의 경우는 이미 골프의 인기가 극대점에 도달하여 일상의 레저스포츠로서의 확고한 자리를 유지
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18홀 기준 골프장이 약 2만개가 존재한다는 것만 보아도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세계적인 골프붐의 확산은 계속될 것이며, 특히 아시아 및 유럽지역에서의 확산은 계속될
것으로 생각한다.
◎ 사냥본능의 충동
인류의 의식속에는 사냥본능의 충동을 지니고 있으며 과거에는 수렵과 목축으로 사냥본능의 충동을
유지하였으나 근대화.산업화로 인한 사회가 발전되면서 이러한 사냥본능의 충동은 스포츠로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사냥본능의 충동을 가장 충족시키는 스포츠 중의 하나가 골프라 할 수 있다.
노동의 목적이 돈을 벌어서 쓰는데 있다고 본다면, 골프코스는 영원한 사냥터이고, 골퍼는 영원한 사냥
꾼이며, 18홀은 영원한 먹이감이라고 할 수 있다.
골프의 용어인 버디, 이글, 알바트로스는 모두 새의 이름이다. 버디는 작은새, 이글은 독수리, 알바트로스
는 세계최대의 큰새(신천옹)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버디를 잡았다', '이글을 잡았다'라고 하는 것은
사냥본능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18홀을 골프장 클럽하우스라고 하며 골퍼들은 그곳에 모여서 자기 능력과 스코어를 평가하고 자기의
경기에 대한 성과를 확인한다. 이것은 마치 사냥꾼이 먹이감(포획물)을 분배하는 행위와 흡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설은 산업이 고도화. 복잡화 됨으로써 인간의 사냥에 대한 욕구가 확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골프에 대한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레저스포츠로서의 비중이 더욱 증가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 레저.스포츠로서의 가치
골프는 타 스포츠에 비해 상대방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 개방된 스포츠이며 정신적 레크리에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18홀을 기준으로 볼때 인간에게 적절한 운동량을 주는 스포츠로서 플레이균등과 종일성
(終日性)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 인기가 매우 높은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992년 YMCA 가 직장인
을 대상으로 '가장 하고 싶은 운동' 중 골프가 두번째로 많은 응답을 하였다.
학계의 보고에 의하면 골프는 인간에게
첫째, 고령화 사회의 첫째가는 건강복지의 스포츠이며, 노인성 치매증(알츠하이머병)의 예방에 효과가
매우 크다. 둘째, 주니어들을 선도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즉, 음침한 오락실에서 노는 아이보다 태양볕 아래서 활발
뛰어 노는 아이치고 문제아 없다. 셋째, 비지니스맨의 스트레스 해소, 인재테스트, 사교성을 기르는데 매우
유익한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여성에게는 젊음을 되찾아 주고, 삶의 활기를 주는 스포츠 중의 하나이다.
라고 보고하고 있다.
"골프는 문명사회의 필수적 요건이다"(앤드류 카네기)
"골프의 가장 큰 결점은 너무 재미가 나는데 있다"(롱헨리 코스트)
"건강을 위하여 골프를 한다고 말하는 사람만큼 큰 거짓말장이는 없다"(토미아머)
"게임으로 이기려 하지말고 연습과 노력으로 이겨라"(벤 호건)
"두뇌로 못이기는 상대를 게임으로 이기지 못한다"(로손 리틀)
중산 및 상류층의 스포츠문화인 레저성 골프는 중산층이 늘어나고 중산층 의식이 커짐에 따라 더욱 활성
화 될 것이다. 그러나 골프가 대중 스포츠화되면서 더욱 주의해야할 점은 품위, 에티켓, 매너를 소중히
여기는 것이 골프의 진정한 대중화요, 스포츠로서 위상을 지키는 것이라는 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