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 미샤의 경영 성공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샤] 미샤의 경영 성공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본문
1. 미샤의 역사
1) 브랜드샵의 역사를 개척한 미샤
2) 생산과 유통을 결합한 화장품 산업
3) 해외에서도 미샤는 통한다.
2. 미샤의 사업정보
1) 사업분야
2) 재무정보
3. 초저가 화장품의 개념과 등장배경
1) 초저가 브랜드 화장품의 개념
2) 초저가 브랜드 화장품의 등장배경
4. 초저가 화장품의 현황 및 전망
1) 국내 초저가 브랜드 화장품의 현황
2) 초저가 브랜드 화장품의 전망
5. 미샤 서영필 사장의 성공신화
6. 미샤의 SWOT분석
1) 강점 (Strength)
2) 약점 (Weakness)
3) 기회 (Opportunity)
4) 위협 (Threat)
7. 미샤의 성공요인
1) 저렴한 가격대비 만족스런 품질
2) 온라인 브랜드 구축
3) 유통구조 개혁을 통한 저가가격 정책
4) off라인 매장 진출
8. 미샤의 마케팅 전략
1) 패스트 코스메틱 전략
2) 데이(Day) 마케팅
3) 스타 마케팅
4) 품질관리 위한 R&D 아웃소싱
5) 온?오프라인의 통합 마케팅

참고자료

본문내용

개월 내 제품화하고 있다. 더페이스샵은 올 6월 전국에 6개 지사를 세우고 수시로 각 지역 소비트렌드에 따라 상품 구성을 다르게 하는 '지역제 중심 영업전략'으로 매장별로 적정 재고를 유지한다.
2) 데이(Day) 마케팅
‘데이’잘 활용 땐 인지도ㆍ매출 ‘쑥쑥’
오늘부터 20%할인 ‘미샤데이’눈길
알뜰족으로 소문난 한윤주(21)씨는 다이어리에 패션, 뷰티 업체에서 지정한 특정 할인 요일을 꼼꼼히 적어둔다. 정확히 기억해뒀다가 당일 매장을 방문하면 평소에 갖고 싶었던 물건들을 훨씬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씨는 “정보만 잘 모아도 돈을 아끼면서 양질의 쇼핑을 즐길 수 있다”고 말했다.
한 달에 단 하루, 고객에게 후한 인심을 쓰는 기업들의 ‘데이 마케팅’이 인기를 얻고 있다. 업체마다 자신들의 콘셉트에 맞는 날짜를 지정해 할인, 이벤트 혜택을 줌으로써 소비자들에게 한층 가까이 다가가는 전략이다. ‘로즈데이’ ‘빼빼로데이’ 등과 같이 상업성을 앞세우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브랜드네임을 붙여 친근함을 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글로벌 코스메틱 브랜드 ‘미샤’는 2007년부터 매달 10일을 ‘미샤데이’로 지정, 전 품목을 20% 할인해주는 이벤트를 실시해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미샤 측은 “특정한 하루를 정해 새로 나온 제품을 할인가에 제공함으로써 테스트의 기회를 주는 등 고객 서비스 차원에서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러한 마케팅에 승부를 건 결과 최근 미샤화장품은 브랜드 론칭 이래 총 2억개의 제품을 판매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하루 평균 6만개의 제품을 판매한 셈이다. 이를 기념해 미샤는 4월 한 달간 특별히 ‘미샤데이’를 10일부터 12일까지 3일로 정해 20% 할인행사를 벌인다. 더불어 4월 한달 동안 화이트닝 신제품 ‘타임 레볼루션 화이트 큐어 사이언스 블랑’ 사용후기를 온라인 뷰티넷(www.beautynet.co.kr)에 올리면 우수후기로 선정된 고객에게 선물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다.
3) 스타 마케팅
미샤화장품이 모델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2009년 들어 프리미엄 브랜드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톱스타 김혜수와 이병헌을 쌍두마차로 해 인기 쌍끌이를 하고 있다. 미샤 화장품은 다양한 연령층을 공략하기 위해 고기능성 제품을 내놓았고. 소비자 인지도 조사를 통해 톱 스타 김혜수와 한류스타 이병헌을 모델로 발탁했다.
종영한 SBS ‘스타일’에서 ‘엣지있는’ 잡지 편집장 박기자 역의 김혜수가 ‘스타일 아이콘’으로 화제를 모은데 이어 KBS2 ‘아이리스’의 이병헌도 인기 상종가를 치고 있다. 자신감 넘치면서 건강한 피부를 자랑하는 김혜수가 프레스티지 스킨케어 브랜드 ‘타임 레볼루션 이모탈 유스’ 등의 신제품을 선보여 드라마속 카리스마를 소비자에게도 발휘했다.
이병헌이 모델인 남성 화장품 브랜드 ‘미샤 옴므 어번소울’이 국내는 물론 해외 관광객들에게도 뜨거운 인기를 끌면서 미샤화장품 매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이병헌이 ‘아이리스’에서 탄력있는 몸매와 매끈한 피부로 남성적인 매력을 한껏 펼친 뒤 방송 직후 미샤화장품 CF에선 운동으로 다져진 식스팩 등 강인한 남성미를 물씬 풍겨 ‘몸짱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미샤 옴므 어번소울’은 ‘이병헌 효과’ 덕분에 출시 2개월만에 명동지역을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제품으로 자리매김했다.
4) 품질관리 위한 R&D 아웃소싱
이들 업체들은 ' R&D 아웃소싱'을 위해 해외 유수의 연구소들과 손잡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곳은 더페이스샵. 여기서는 2008년 브랜드숍 최초로 30여명 규모의 R&D 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자체 연구소를 세워 현재 23개 자체 특허를 등록하는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거대 규모의 연구 인력을 자체 보유한 고급 브랜드를 따라잡기 위해 해외 연구 기관들과 손잡고 있다.
미샤 역시 시장 트렌드에 맞춰 프랑스와 일본 대학, 원료회사를 번갈아가며 아웃소싱하고 있다. 지난해 이들이 출시한 제품 중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등 식약청에서 기능성 인증을 받은 제품 수는 20% 이상 늘었다.
중저가 화장품 업체들의 이런 전략의 혜택은 소비자들이 맛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비슷한 원료를 쓴 화장품 가격이 브랜드별로 10배까지 차이나는 것을 기형적인 현상이라고 분석한다.
5) 온오프라인의 통합 마케팅
'미샤'는 에이블씨엔씨가 운영하는 여성포털 '뷰티넷'을 통해 2000년 첫선을 보였다. 인터넷이용자들의 입소문덕에 유명세를 얻은 미샤는 2002년 5월 브랜드샵 1호점을 내면서 오프라인 시장에 진출한다.
온-오프라인 통합 마케팅에 힘입어 어느새 1호는 전국 258개로 무섭게 불어났다. 홍콩 등 해외 4개국에도 진출했다.
미샤 화장품의 가장 큰 원동력은 210만명이 넘는 온라인 회원이다. 700여종에 달하는 전제품군은 이들의 사용후기와 신제품 추천, 품평 등을 통해 철저히 관리된다고 한다.
미샤의 온라인 회원은 이제 브랜드샵 멤버쉽 회원 160만명과 함께 프로슈머 마케팅의 기반이 되고 있다. 미샤의 돌풍 뒤에는 온라인 유통혁명이란 뒷심이 있었던 셈이다.
참고자료
<초저가 브랜드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오은영, 숙명여자대학교 원격향장산업대학원 2005
<에이블 C&C 서영필 사장> 동아일보 이병기 기자 2004.07.25
<광고 속에 살아 있는 트렌드 변천사. 이것이 명품 전략이다> 연합뉴스 정책/자료 2007.12.04
<미샤화장품, 김혜수-이병헌 효과 '톡톡'> 스포츠서울 2009.11.24
뷰티넷 http://www.beautynet.co.kr
http://blog.naver.com/rodeo200/60013704610 블로그명: 한템포 쉬었다 가자 ^-^
<알뜰족, 미샤 등‘날짜 마케팅 好好好> 포커스신문 이윤경 2009.04.10
<" '미샤' 신화 뒤엔 온라인혁명이 있었다"> 아이뉴스24 2005.01.19
<숨겨라! 숨겨라! 신비주의 전략, INVISIBLE MARKETING> 연합뉴스 정책/자료 2008.01.18
<중저가 화장품… '값싼 명품' 전쟁> 조선일보 김현진 기자 2009.11.05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12.02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4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