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감각기관에 대하여
-시각
-후각
-미각과 테이스팅
2. 와인 테이스팅 실습
-활용도구
-기본적인 미감과 와인의 구조
- 시음 기법을 정리해 볼까요???
3. 와인 보관 요령
-The characteristics of cellar
-Restaurant Cellar
4. 와인을 즐기기 위하여 갖춰야 할 소도구
-와인 글라스
-코르크 스크류
-Wine bucket
** 참고 문헌
-시각
-후각
-미각과 테이스팅
2. 와인 테이스팅 실습
-활용도구
-기본적인 미감과 와인의 구조
- 시음 기법을 정리해 볼까요???
3. 와인 보관 요령
-The characteristics of cellar
-Restaurant Cellar
4. 와인을 즐기기 위하여 갖춰야 할 소도구
-와인 글라스
-코르크 스크류
-Wine bucket
**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하여 만들어 사용하면 실용적일 것이다.
The characteristics of cellar
1) 온도 (Temperature)
온도 변화가 없고 일정한 10~14℃ 사이가 가장 이상적인 온도이다. Cellar온도의 변화는 와인을 죽게 할 것이며 지나친 고온의 저장 와인은 조숙하게 되어 장기보관이 어렵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므로 가까운 곳의 중앙난방과 통풍을 피하는 것은 물론 분리 설치함이 필요하다.
2) 습기, 통풍
Cask와 코르크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벼운 습도유지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높은 습도는 캡슐과 상표를 상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상적인 습도란 70%~75%이며, 바닥은 세멘트나 타일로 할 수 있으나 이상적인 Cellar의 바닥은 흙이나 모래이다.
3) 진동
외부로 부터의 진동은 피해야 하고 진동은 균형된 와인의 숙성에 유해한 것이다.
4) 빛
Cellar는 어두워야 한다. 직사광선은 와인의 성숙에 유해하며, 빛은 와인의 색깔을 변색시킨다. 특히 네온 빛은 가능한 사용해서는 안된다.
5) Orgenization
병은 뉘어서 보관된다. 와인병은 크기와 종류별로 선방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화이트 와인은 아래 부분에 저장되고 레드와인은 가능한 불빛으로부터 먼 곳에 저장한다. 단, 증류주의 병은 바로 세워두고 알코올은 코르크를 상하게 하지 않는다.
Restaurant Cellar
고객이 와인을 주문할 때마다 Main cellar로부터 와인을 식당으로 운반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며 비효율적이다. 그러므로 고객의 요구에 필요한 모든 와인은 매일 Cellar에 보관되며 와인 리스트에 있는 와인은 빠짐없이 Cellar에 저장되어야 한다.
일일 Cellar는 이상적인 온도를 유지해야 하고 레드와인은 실내온도 상태에서 섭될 수 있도록 Wine Rack으로 옮겨진다. 화이트와인은 10℃ 정도의 Cellar에 보관하다가 Wine cooler에 넣어두면 이상적인 서비스 온도로 된다.
4. 와인을 즐기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소도구
와인 글라스 (Wine glass)
①글라스의 기원
Drinking Glasses는 비교적 늦게 역사에 등장하게 된다. 값비싸고 깨지기 쉬운 유리그릇을 사용할 능력이 없었으므로 대부분 점토를 구워서 만든 음료 그릇들이 고대 문명사회 시민들에 의해 사용되어졌다. 오늘날 유럽 여러나라의 체코슬로바키아, 독일, 프랑스, 스웨덴, 영국, 아일란드 등은 크리스탈 glass와 Regular glass를 생산하고 있으며 입으로 불거나 주형으로 모양을 만들고 기계를 사용하여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크리스탈glass는 거의 얇고 품질이 우수하며 이것은 와인을 마시기에 대단히 훌륭하다. 깨어지기는 쉽지만 와인의 빛깔을 선명히 음미할 수 있고 입술에 닿는 감촉 또한 뛰어나므로 가정이나 고급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다.
②현재 사용되고 있는 글라스
와인의 타입에 따라 서비스하기 위하여 디자인된 전통적인 와인 글라스가 많이 있다. Dining Room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글라스는 크기와 모양에 따라 7~8종 이상이 될 수 있으며 각 지역 와인에 어울리는 와인 글라스의 선택이 바람직하다.
③와인글라스의 특성
모든 와인은 얇고 깨끗하며 반드시 Stem이 있는 글라스로서 더 즐길수 있다. 깨끗한 글라스는 색깔을 선명히 볼 수 있고, 또한 와인의 청명도를 느낄 수 있으며 찬 와인은 손으로 인한 체온으로 따뜻해져서는 안된다.
가장 잘 디자인된 글라스는 볼형으로서 이 볼형은 와인 향기발산을 위해서 충분히 커야한다. Stem은 손이 볼에 닿지 않고 기분좋게 글라스를 잡을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 하고 Base 부분은 글라스가 잘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튤립형은 최근에 모든 용도로 사용하는데 대중화 되어가고 있다.
④글라스 취급시의 유의사항
와인의 맛은 외부의 어떤 불순물 때문에 쉽게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와인 글라스는 항상 깨끗해야 하고 올바르게 보관되어야 한다. 강한 세제와 부적당한 세척은 와인의 질을 변환시킨다. 와인 글라스는 다른 글라스와 별도로 취급되어져야 하고 사용되는 Glassrack은 깊숙이 들어가도록 충분히 깊어야 한다. 글라스저장고는 공기가 유통되는 장소로 손이 쉽게 닿는 곳 이여야 하고 와인 글라스는 가격이 비싼 이유로 특별한 취급이 필요하고 따라서 Breakage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많은 레스토랑에서는 와인 글라스의 파손 우려 때문에 식탁에 Set up하기를 꺼려하고 고객이 주문한 와인의 종류에만 테이블에 준비되고 와인을 주문하지 않으면 와인 글라스를 치우는 경우도 있다.
코르크 스크류
와인을 마시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 중의 하나가 코르크 스크류이다. 이것이 없이 우아하게 와인 병을 막아 놓은 코르크를 뽑아 내는 것은 절대로 불가능하다. 물론 코르크를 병 안으로 밀어 떨어드리든지 칼로 제거할 수도 있겠지만 이것은 비상시의 방법이다. 코르크 스크류는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다. 그러나 스크류부분은 코르크에 충분히 들어갈 수 있도록 길고 나선형으로 되어 잇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코르크가 부서져 병 안으로 덜어져 버릴 수가 있다.
참고로 샴페인의 경우는 코르크 스크류가 필요 없으며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마개를 엄지손가락으로 단단히 잡고 열어야 한다. 이것이 거품을 내며 터뜨려 귀중한 기포와 향이 날라가 버리는 것을 막는 방법이다. 또한 병마개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냉각시킨 후 사람들이 없는 족으로 병을 45도 기울여 열며, 뻥 터지는 것을 막기 위해 코르크를 잡고 병을 천천히 조심스럽게 돌리면서 코르크를 빼낸다.
Wine bucket (Cooler)
Wine bucket은 그 모양에 관계없이 와인을 차게 하는 간단한 목적을 갖고 있다. 3/4정도의 얼음과 물을 채운 다음 와인 병을 깊숙이 넣을 수 있게 한다. 서비스를 위한 bucket은 내프킨으로 장식을 한 다음 주문한 고객의 테이블로 운반하게 된다. (가능한 host의 우측)
와인을 시원하게 만들 때 사용하는 아이스 비켓
아이스 버켓을 분위기와 장식을 위한 소도구가 아니라 와인을 차갑게 하는데 편리하게 사용되는 소도구이다. 와인은 맥주처럼
The characteristics of cellar
1) 온도 (Temperature)
온도 변화가 없고 일정한 10~14℃ 사이가 가장 이상적인 온도이다. Cellar온도의 변화는 와인을 죽게 할 것이며 지나친 고온의 저장 와인은 조숙하게 되어 장기보관이 어렵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므로 가까운 곳의 중앙난방과 통풍을 피하는 것은 물론 분리 설치함이 필요하다.
2) 습기, 통풍
Cask와 코르크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벼운 습도유지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높은 습도는 캡슐과 상표를 상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상적인 습도란 70%~75%이며, 바닥은 세멘트나 타일로 할 수 있으나 이상적인 Cellar의 바닥은 흙이나 모래이다.
3) 진동
외부로 부터의 진동은 피해야 하고 진동은 균형된 와인의 숙성에 유해한 것이다.
4) 빛
Cellar는 어두워야 한다. 직사광선은 와인의 성숙에 유해하며, 빛은 와인의 색깔을 변색시킨다. 특히 네온 빛은 가능한 사용해서는 안된다.
5) Orgenization
병은 뉘어서 보관된다. 와인병은 크기와 종류별로 선방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화이트 와인은 아래 부분에 저장되고 레드와인은 가능한 불빛으로부터 먼 곳에 저장한다. 단, 증류주의 병은 바로 세워두고 알코올은 코르크를 상하게 하지 않는다.
Restaurant Cellar
고객이 와인을 주문할 때마다 Main cellar로부터 와인을 식당으로 운반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며 비효율적이다. 그러므로 고객의 요구에 필요한 모든 와인은 매일 Cellar에 보관되며 와인 리스트에 있는 와인은 빠짐없이 Cellar에 저장되어야 한다.
일일 Cellar는 이상적인 온도를 유지해야 하고 레드와인은 실내온도 상태에서 섭될 수 있도록 Wine Rack으로 옮겨진다. 화이트와인은 10℃ 정도의 Cellar에 보관하다가 Wine cooler에 넣어두면 이상적인 서비스 온도로 된다.
4. 와인을 즐기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소도구
와인 글라스 (Wine glass)
①글라스의 기원
Drinking Glasses는 비교적 늦게 역사에 등장하게 된다. 값비싸고 깨지기 쉬운 유리그릇을 사용할 능력이 없었으므로 대부분 점토를 구워서 만든 음료 그릇들이 고대 문명사회 시민들에 의해 사용되어졌다. 오늘날 유럽 여러나라의 체코슬로바키아, 독일, 프랑스, 스웨덴, 영국, 아일란드 등은 크리스탈 glass와 Regular glass를 생산하고 있으며 입으로 불거나 주형으로 모양을 만들고 기계를 사용하여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크리스탈glass는 거의 얇고 품질이 우수하며 이것은 와인을 마시기에 대단히 훌륭하다. 깨어지기는 쉽지만 와인의 빛깔을 선명히 음미할 수 있고 입술에 닿는 감촉 또한 뛰어나므로 가정이나 고급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다.
②현재 사용되고 있는 글라스
와인의 타입에 따라 서비스하기 위하여 디자인된 전통적인 와인 글라스가 많이 있다. Dining Room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글라스는 크기와 모양에 따라 7~8종 이상이 될 수 있으며 각 지역 와인에 어울리는 와인 글라스의 선택이 바람직하다.
③와인글라스의 특성
모든 와인은 얇고 깨끗하며 반드시 Stem이 있는 글라스로서 더 즐길수 있다. 깨끗한 글라스는 색깔을 선명히 볼 수 있고, 또한 와인의 청명도를 느낄 수 있으며 찬 와인은 손으로 인한 체온으로 따뜻해져서는 안된다.
가장 잘 디자인된 글라스는 볼형으로서 이 볼형은 와인 향기발산을 위해서 충분히 커야한다. Stem은 손이 볼에 닿지 않고 기분좋게 글라스를 잡을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 하고 Base 부분은 글라스가 잘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튤립형은 최근에 모든 용도로 사용하는데 대중화 되어가고 있다.
④글라스 취급시의 유의사항
와인의 맛은 외부의 어떤 불순물 때문에 쉽게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와인 글라스는 항상 깨끗해야 하고 올바르게 보관되어야 한다. 강한 세제와 부적당한 세척은 와인의 질을 변환시킨다. 와인 글라스는 다른 글라스와 별도로 취급되어져야 하고 사용되는 Glassrack은 깊숙이 들어가도록 충분히 깊어야 한다. 글라스저장고는 공기가 유통되는 장소로 손이 쉽게 닿는 곳 이여야 하고 와인 글라스는 가격이 비싼 이유로 특별한 취급이 필요하고 따라서 Breakage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많은 레스토랑에서는 와인 글라스의 파손 우려 때문에 식탁에 Set up하기를 꺼려하고 고객이 주문한 와인의 종류에만 테이블에 준비되고 와인을 주문하지 않으면 와인 글라스를 치우는 경우도 있다.
코르크 스크류
와인을 마시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 중의 하나가 코르크 스크류이다. 이것이 없이 우아하게 와인 병을 막아 놓은 코르크를 뽑아 내는 것은 절대로 불가능하다. 물론 코르크를 병 안으로 밀어 떨어드리든지 칼로 제거할 수도 있겠지만 이것은 비상시의 방법이다. 코르크 스크류는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다. 그러나 스크류부분은 코르크에 충분히 들어갈 수 있도록 길고 나선형으로 되어 잇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코르크가 부서져 병 안으로 덜어져 버릴 수가 있다.
참고로 샴페인의 경우는 코르크 스크류가 필요 없으며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마개를 엄지손가락으로 단단히 잡고 열어야 한다. 이것이 거품을 내며 터뜨려 귀중한 기포와 향이 날라가 버리는 것을 막는 방법이다. 또한 병마개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냉각시킨 후 사람들이 없는 족으로 병을 45도 기울여 열며, 뻥 터지는 것을 막기 위해 코르크를 잡고 병을 천천히 조심스럽게 돌리면서 코르크를 빼낸다.
Wine bucket (Cooler)
Wine bucket은 그 모양에 관계없이 와인을 차게 하는 간단한 목적을 갖고 있다. 3/4정도의 얼음과 물을 채운 다음 와인 병을 깊숙이 넣을 수 있게 한다. 서비스를 위한 bucket은 내프킨으로 장식을 한 다음 주문한 고객의 테이블로 운반하게 된다. (가능한 host의 우측)
와인을 시원하게 만들 때 사용하는 아이스 비켓
아이스 버켓을 분위기와 장식을 위한 소도구가 아니라 와인을 차갑게 하는데 편리하게 사용되는 소도구이다. 와인은 맥주처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