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독상법 7권 구상조해 방구 활대 소구 원후 앙월 순균 수렴 흔로 박삭 하반 왜사 도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독상법 7권 구상조해 방구 활대 소구 원후 앙월 순균 수렴 흔로 박삭 하반 왜사 도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상순 하순 구각 승장 구혈(인중)
방구 활대 소구 원후 앙월 순균 수렴 흔로 박삭 하반 왜사 도주

본문내용

집히면 또한 위험을 경험하며, 좌측이 뒤집히면 조금 경미하다.
次則主孤苦困窮, 刑剋疾厄, 飢寒交迫而死也。
다음에 주로 고독하며 고생하며 곤궁하며 형극과 질액과 굶주름과 추위가 교대로 핍박하여 죽게 된다.
十一.歪斜 
11 기울어짐
歪斜者, 口形不正之謂也。
왜사란 입형체가 바르지 않음을 말함이다.
如患病不在此例。
만약 구안와사 병을 앓음은 이런 예에 있지 않다.
如生成歪斜, 左妨父, 右刑母, 又主輕妄動, 貪多務得, 其言不信, 口是心非也。
만약 기울어짐이 생김이 좌측이면 아버지를 방해하며, 우측이면 어머니를 형극하며 또한 주로 경거망동하니 탐욕스러워 많이 얻음을 힘쓰나 말이 믿음이 없으니 입은 바르나 마음이 그름이다.
十二.吹火 
12 불을 부는 듯한 입
吹火者, 尖口, 古謂雷公嘴而吹火口也。
불을 부는 입은 뾰족한 입이니 고대에 뇌공이 입이 불을 부는 입이었다고 말한다.
此主刑剋冷退, 貧賤常有之, 女格最忌, 男子較輕也。
취화구는 주로 형극과 차갑게 물러나며, 빈천이 항상 있으니 여자격은 가장 꺼리며 남자는 비교적 경미하다.
主殘毒不孝, 刑夫剋子, 乃八敗之一也。
취화구는 주로 잔혹하고 독이 있어서 효도하지 않고 남편을 형벌주고 자식을 상극하니 8패중에 하나이다.
十三.多紋 
13 주름이 많은 입술
多紋者, 上下唇之紋多而粗也。
다문이란 위 아래 입술의 주름이 많고 거칠음이다.
主勞碌多反覆, 亦善說詞, 虛浮聰敏, 而偏見自誤 (그릇할 오; -총10획; wu)는 원문은 誤(그릇할 오; -총14획; wu)이다.
也。
주로 고행하며 많이 뒤집히니 또한 좋은 말을 하며 헛되게 뜨고 총명하고 민첩하니 편견으로 스스로 오류가 많다.
誇大好奇, 不服錯誤 侯(과녁 후; -총9획; hou,hou)의 원문은 誤(그릇할 오; -총14획; wu)이다.
, 故成敗不一, 亂世亦有勞而貴也。
주름많은 입은 과장하며 기이함을 좋아하며 착오에 굴복하지 않아서 성패가 한결같지 않으니 난세에는 또한 노고가 있고 귀하게 된다.
十四.塗 
14 주사를 칠한 입
塗口, 上下唇紅潤, 而如砂也。
주사를 칠한 입은 위 아래의 입술이 홍색으로 윤택하기가 마치 주사를 바른 듯함이다.
主名厚祿, 少年顯達, 多才智, 有遠謀, 及文章鳴世, 持久穩見, 堅決有恒, 而多厚福也。
주로 맑은 이름에 두터운 복록에 소년에 현달하며 재주와 지혜가 많고, 멀리 생각함이 있고 문장으로 세상을 유명하며 오랫동안 안온함이 나타나며, 단단한 결정에 항상심이 있고 두터운 복이 많다.
口相輕重, 詳言無遺.
입관상의 경중은 자세한 말은 남김이 없었다.
惟公篤對余云, 亂世之法, 與盛世不同, 半數相反也.
오직 공독선생께서 나에게 대하여 말씀하시길 난세의 방법은 성대한 세상과 같지 않으니 반수가 상반된다.
故凸睛浮白已凶, 而口反更凶;
그래서 돌출한 눈동자에 뜨는 백색이 있으면 이미 흉한데 입이 뒤집히면 더욱 흉함이다.
口反卽凶, 而土星沖破爲尤凶.
입이 뒤집히면 흉한데 토성(코)가 상충해 파괴가 되면 더욱 흉하다.
條理不混亂, 亦他書所罕見.
조리는 혼란하면 안 되니 또한 다른 책에 드물게 보인다.
右評.
위에 평가가 되어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2.05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5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