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기
서론
Definition(정의)
발병원인 및 기전
운동 기전
충돌증후군의 원인
검사 방법
본론 - 1
-SOAP NOTE-
Subjective information
Objective information
Assessment
Plan
본론 - 2
각 시기에 따른 재활 계획
프로그램 1
프로그램 2
프로그램 3
프로그램 4
맺음말
서론
Definition(정의)
발병원인 및 기전
운동 기전
충돌증후군의 원인
검사 방법
본론 - 1
-SOAP NOTE-
Subjective information
Objective information
Assessment
Plan
본론 - 2
각 시기에 따른 재활 계획
프로그램 1
프로그램 2
프로그램 3
프로그램 4
맺음말
본문내용
능하다는 점을 알려주고, 환자의 보호자에게도 열심히 재활과정에 참여하고 환자가 포기하지 않도록 주변에서 잘 도와줘야함을 교육·인식시켰다.
재활과정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중간단계
중간단계의 목표는 회전근개의 근력을 강하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초기단계에 이어서 스트레칭과 상지 유산소운동을 지속한다. 근력 강화 프로그램은 근력과 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점진적으로 저항과 반복 횟수를 높인다. 매일 30회 반복, 3세트 운동이 가능할 때까지 올린다. 아령이나 덤벨 대신 튜브 운동을 도입할 수 있다. 또 등속성 운동도 부가적인 강화운동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속도 위주의 훈련이나 여러 자세에서 구심섬 / 편심성 훈련은 도움이 된다.
-후기단계
후기단계의 목표는 중간 단계에서 강화한 근력을 스포츠 고유 훈련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운동 프로그램은 해당 스포츠의 요구를 반영하도록 변형한다. 적은 반복, 큰 힘이 필요한 동작을 하는 선수는 훈련에서 중량을 증가시키고 반복 횟수는 일정하게 한다. 많은 반복, 작은 힘이 필요한 스포츠의 참여하는 선수들은 저항을 일정하게 하고, 반복횟수를 증가시킨 후 스포츠 고유의 속도로 진행한다. 대부분의 한 면 운동은 스포츠 고유의 다면 운동으로 변형해야 하지만 극상근을 강화하는 핵심 운동은 지속해야 한다. 이런 운동은 각 근육들이 피로상태가 될 때 까지 실시하지만 통증을 유발해서는 안된다.
스트레칭 운동은 운동 전후에 실시해야 하는데, 유연성 부족이 남아 있거나 특정 스포츠나 포지션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만 더 긴 기간 동안 실시한다. 각 치료 세션(session)은 아이스 적용으로 끝낸다.
-기능성 훈련단계
이 단계의 목표는 현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다. 기능성 훈련은 회복중인조직에 긴장을 주고, 신경근육 조절능력, 동작 고유의 근력, 지구력, 현장복귀에 대한 자신감 등을 향상시킨다. 처음에는 의료진이 접촉, 강독, 기간, 고유기술등과 같은 여러 변수들을 조절하고, 선수들이 적용하며 스스로 조절하도록 한다.
선수들이 현장으로 복귀하기 전에 기능성 훈련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운동의 특수성이 중요하며, 특정 운동을 평가하고, 운동 후에 조절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하루 3회씩 핵심운동을 지속하고 아이스는 연습과 실전 후에 예방적으로 한다.
Short Term Goal
1-2 주 어깨의 통증완화
Rt. 어깨의 Flexion 120°, abduction 100° 정도의 회복
3-8 주 어깨의 통증 완화
적당한 ROM의 회복과 통증 없는 ADL
8~ 주 던지기 동작과 같은 스포츠 동작 수행(no pain)
Long Term Goal
― 통증완화
― 근력과 ROM회복, 신경근 회복
― 부상과 복귀에 대한 걱정을 없애도 자신감을 회복
― 부상 부위의 대한 두려움에 대한 회복
- 심폐기능의 저하 방지
3. 재활프로그램의 적용
프로그램 2
약 2주의 재활프로그램 1를 소화함으로써 ADL에서의 큰 불편함은 없었다. 때문에 isometric이 주를 이루었던 운동에서 간단한 isotonic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해 강도를 조금 높이게 되고 ROM 운동을 슬링을 통해 도모했다밴드 운동도 녹색보다 높은 강도인 빨간밴드로 운동을 한다. 또한 기간은 약 8주 정도로 계획했다.
팔 자전거 14분(속도3 저항7 앞으로 7분 뒤로 7분)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스트레칭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Main exercise
1, 3초 유지 10회 × 3회
바닥을 보고 편안하게 누운 상태로 어깨를 고통이 없는 90°가까이 외전시킨다.
그 상태로 scapula adduction을 시킨다.
2-4, 1kg 덤벨이용 12회 × 3회
2 : 덤벨을 이용한 양팔 Front raise
3 : 덤벨을 이용한 양팔 Lateral raise
4 : 덤벨을 이용해 각 한 팔씩 Over head lateral raise
5, 10회 × 3회
무릎을 바닥에 붙인 채로 push-up을 한다. 자신의 체중을 통해 하는 CKC라 자세의 안정성을 갖고 실시할 수 있다.
6-7, 빨간밴드 15회 × 2회
6 : shoulder external rotation
7 : shoulder internal rotation
밴드를 잡은 채로 실시
8-9, 12회 × 2회
8 : cable biceps flextion
9 : cable triceps extention
10-11, 중량은 5kg 12회 × 3회
10 : cable seated low - 능형근 운동
11 : lat pull down - 광배근 운동
슬링운동
1-2, 15회 × 3회
3, 3초유지 10회 × 2 슬링은 elbow에 연결한다.
진행 상황
처음의 2주 동안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통해 어느 정도의 ROM회복과 통증이 감소되어, 이번단계로 넘어와 비스테로이드성 약물과 함께 중량으로써 운동의 강도를 높였다. 때문에 염증감소와 근강도가 같이 일어나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었다.
2주 이후부터 6주 과정으로 8주차 까지 프로그램 2로써 재활을 실시했고 환자와도 많이 가까워졌다. 최초의 진단당시 굴곡이 90도 외전이 70도가 채 나오지 않았는데, 2단계까지 마치고 난 후에는 상태가 꽤나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 또한 단순한 재활과정을 결과물을 통해 다시 힘을 얻는 것 같았다.
환자는 야구선수이고 견관절 질환으로 인해 운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혈관계나 신체 밸런스적인 문제를 야기를 할 것으로 예상해 중·저강도의 운동을 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홈 프로그램으로서 유산소 운동과 투구동작에 대한 이미지 트레이닝을 잊지 말 것을 당부하였고, 부모님께도 알려드려 홈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을 재 인식시켰다.
환자와의 상담 결과 처음에는 어깨가 상당히 아파 이제 운동을 못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앞서 재활이나 생활면에서 부쩍 조급한 마음이 강했다고 했다. 하지만 조금씩 나아지는 과정에서 이제는 편안히 준비할 수 있고, 완전히 재활을 마친 후에 다시 운동을 할 수 있는 날을 기다리고 있다.
프로그램 3
재활 프로그램 2를 약 8주 동안으로 계획했었지만, 환자의 재활내용이 호전적이서 6주차에 마무리 하고 프로그램 3으로 바
재활과정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중간단계
중간단계의 목표는 회전근개의 근력을 강하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초기단계에 이어서 스트레칭과 상지 유산소운동을 지속한다. 근력 강화 프로그램은 근력과 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점진적으로 저항과 반복 횟수를 높인다. 매일 30회 반복, 3세트 운동이 가능할 때까지 올린다. 아령이나 덤벨 대신 튜브 운동을 도입할 수 있다. 또 등속성 운동도 부가적인 강화운동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속도 위주의 훈련이나 여러 자세에서 구심섬 / 편심성 훈련은 도움이 된다.
-후기단계
후기단계의 목표는 중간 단계에서 강화한 근력을 스포츠 고유 훈련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운동 프로그램은 해당 스포츠의 요구를 반영하도록 변형한다. 적은 반복, 큰 힘이 필요한 동작을 하는 선수는 훈련에서 중량을 증가시키고 반복 횟수는 일정하게 한다. 많은 반복, 작은 힘이 필요한 스포츠의 참여하는 선수들은 저항을 일정하게 하고, 반복횟수를 증가시킨 후 스포츠 고유의 속도로 진행한다. 대부분의 한 면 운동은 스포츠 고유의 다면 운동으로 변형해야 하지만 극상근을 강화하는 핵심 운동은 지속해야 한다. 이런 운동은 각 근육들이 피로상태가 될 때 까지 실시하지만 통증을 유발해서는 안된다.
스트레칭 운동은 운동 전후에 실시해야 하는데, 유연성 부족이 남아 있거나 특정 스포츠나 포지션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만 더 긴 기간 동안 실시한다. 각 치료 세션(session)은 아이스 적용으로 끝낸다.
-기능성 훈련단계
이 단계의 목표는 현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다. 기능성 훈련은 회복중인조직에 긴장을 주고, 신경근육 조절능력, 동작 고유의 근력, 지구력, 현장복귀에 대한 자신감 등을 향상시킨다. 처음에는 의료진이 접촉, 강독, 기간, 고유기술등과 같은 여러 변수들을 조절하고, 선수들이 적용하며 스스로 조절하도록 한다.
선수들이 현장으로 복귀하기 전에 기능성 훈련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운동의 특수성이 중요하며, 특정 운동을 평가하고, 운동 후에 조절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하루 3회씩 핵심운동을 지속하고 아이스는 연습과 실전 후에 예방적으로 한다.
Short Term Goal
1-2 주 어깨의 통증완화
Rt. 어깨의 Flexion 120°, abduction 100° 정도의 회복
3-8 주 어깨의 통증 완화
적당한 ROM의 회복과 통증 없는 ADL
8~ 주 던지기 동작과 같은 스포츠 동작 수행(no pain)
Long Term Goal
― 통증완화
― 근력과 ROM회복, 신경근 회복
― 부상과 복귀에 대한 걱정을 없애도 자신감을 회복
― 부상 부위의 대한 두려움에 대한 회복
- 심폐기능의 저하 방지
3. 재활프로그램의 적용
프로그램 2
약 2주의 재활프로그램 1를 소화함으로써 ADL에서의 큰 불편함은 없었다. 때문에 isometric이 주를 이루었던 운동에서 간단한 isotonic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해 강도를 조금 높이게 되고 ROM 운동을 슬링을 통해 도모했다밴드 운동도 녹색보다 높은 강도인 빨간밴드로 운동을 한다. 또한 기간은 약 8주 정도로 계획했다.
팔 자전거 14분(속도3 저항7 앞으로 7분 뒤로 7분)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스트레칭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Main exercise
1, 3초 유지 10회 × 3회
바닥을 보고 편안하게 누운 상태로 어깨를 고통이 없는 90°가까이 외전시킨다.
그 상태로 scapula adduction을 시킨다.
2-4, 1kg 덤벨이용 12회 × 3회
2 : 덤벨을 이용한 양팔 Front raise
3 : 덤벨을 이용한 양팔 Lateral raise
4 : 덤벨을 이용해 각 한 팔씩 Over head lateral raise
5, 10회 × 3회
무릎을 바닥에 붙인 채로 push-up을 한다. 자신의 체중을 통해 하는 CKC라 자세의 안정성을 갖고 실시할 수 있다.
6-7, 빨간밴드 15회 × 2회
6 : shoulder external rotation
7 : shoulder internal rotation
밴드를 잡은 채로 실시
8-9, 12회 × 2회
8 : cable biceps flextion
9 : cable triceps extention
10-11, 중량은 5kg 12회 × 3회
10 : cable seated low - 능형근 운동
11 : lat pull down - 광배근 운동
슬링운동
1-2, 15회 × 3회
3, 3초유지 10회 × 2 슬링은 elbow에 연결한다.
진행 상황
처음의 2주 동안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통해 어느 정도의 ROM회복과 통증이 감소되어, 이번단계로 넘어와 비스테로이드성 약물과 함께 중량으로써 운동의 강도를 높였다. 때문에 염증감소와 근강도가 같이 일어나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었다.
2주 이후부터 6주 과정으로 8주차 까지 프로그램 2로써 재활을 실시했고 환자와도 많이 가까워졌다. 최초의 진단당시 굴곡이 90도 외전이 70도가 채 나오지 않았는데, 2단계까지 마치고 난 후에는 상태가 꽤나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 또한 단순한 재활과정을 결과물을 통해 다시 힘을 얻는 것 같았다.
환자는 야구선수이고 견관절 질환으로 인해 운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혈관계나 신체 밸런스적인 문제를 야기를 할 것으로 예상해 중·저강도의 운동을 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홈 프로그램으로서 유산소 운동과 투구동작에 대한 이미지 트레이닝을 잊지 말 것을 당부하였고, 부모님께도 알려드려 홈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을 재 인식시켰다.
환자와의 상담 결과 처음에는 어깨가 상당히 아파 이제 운동을 못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앞서 재활이나 생활면에서 부쩍 조급한 마음이 강했다고 했다. 하지만 조금씩 나아지는 과정에서 이제는 편안히 준비할 수 있고, 완전히 재활을 마친 후에 다시 운동을 할 수 있는 날을 기다리고 있다.
프로그램 3
재활 프로그램 2를 약 8주 동안으로 계획했었지만, 환자의 재활내용이 호전적이서 6주차에 마무리 하고 프로그램 3으로 바
추천자료
스포츠마케팅과 2010년 국내 스포츠마케팅 사례에 관한 고찰
스포츠마케팅과 2010년 국내 스포츠마케팅 사례에 관한 고찰
스포츠마케팅의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정의와 특징 및 전...
수상스포츠 종류, 사례, 개념, 특징, 안전법, 유래, 현황, 분석, 시사점, 문제점, 나아갈 방...
스포츠를 이용한 스포츠마케팅 활용사례
스포츠 마케팅의 개념, 목표 및 종류와 스포츠 스타를 활용한 마케팅 사례.
스포츠 마케팅 개념 설명하고 사례를 들어 스포츠 마케팅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말하시오
글로벌마케팅전략사례발표,볼빅,해외시장진출,중국시장,미국시장,스포츠마케팅,브랜드마케팅,...
nike,나이키글로벌마케팅전략사례,스포츠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
마케팅 사례 조사 (이미지, 스포츠, 체험 마케팅 사례)
프로스펙스, 스포츠마케팅, 마케팅전략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
코오롱 아웃도어보고서-아웃도어시장분석,스포츠마케팅성공전략사례,,코오롱성공전략,브랜드...
마케팅기법및사례-(그린,서비스,버즈,스포츠,코즈,모바일)마케팅,전략및사례
나이키 마케팅사례,나이키 스포츠마케팅,나이키 글로벌경영,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