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귀신고래
2. 수염고래류아목
3. 이빨고래아목
2. 수염고래류아목
3. 이빨고래아목
본문내용
귀신고래[중점]
Gray Whale
학 명
Eschrichtius robustus
체 장(m) / 체 중(ton)
13 - 14.1 (females are larger) / 14 - 35
분포(서식지)
북서태평양 계군 : 한국연안- 오오츠크 해역
북동태평양 계군 : 멕시코 만 - Bering, Chukchi, Beaufort 해
보존(보호)
19세기 말까지 포경이 이루어져 개체수가 급감하였으나 북동태평양
계군은 꾸준한 보호정책으로 이전의 개체수로 회복됨. 반면 북서태평양 계군은
현재 160 두 이하로 멸종위기에 직면함
이동(회유)
북서태평양 계군 : 겨울(한국연안)- 오오츠크 해역(여름)
북동태평양 계군 : 겨울(멕시코 만) - Bering, Chukchi 해(여름)
주 먹이감
저생어(물밑에 사는 어류) , 갑각강(甲殼綱) 이각류(異脚類)의 동물(잎새우·바다벼룩 따위)
먹이습성
밑바닥 (진흙바닥)
(귀신고래의 모습)
1. 형태적 특징
전체가 회색이며 복부는 약간 엷은 회색이다.
어린 것은 짙은 회색이나 거의 모든 개체가 흰색의 상처 모양이 있으며 굴 껍데기, 조개삿갓, 따개비 등이 부착해 있다. 지느러미는 뚜렷하지 않고 여러 개의 작은 융기가 꼬리지느러미까지 연결되어 있다.
고래수염은 130~180매 이며 두껍고 황백색이다. 수염의 길이는 40~50cm이고 섬모는 직경은 약 1mm로서 타 수염 고래류에 비해 매우 크다. 타 수염 고래류의 특징인 주림이 없고 길이 1~2m인 2~5개의 깊은 홈이 있다.
2. 생태적 특징
최대 체장 약 16m, 체중 45톤. 임신기간은 13.5개월. 출생 직후의 체장은 4.5~5m. 5~11세에 성숙. 성숙시의 체장은
Gray Whale
학 명
Eschrichtius robustus
체 장(m) / 체 중(ton)
13 - 14.1 (females are larger) / 14 - 35
분포(서식지)
북서태평양 계군 : 한국연안- 오오츠크 해역
북동태평양 계군 : 멕시코 만 - Bering, Chukchi, Beaufort 해
보존(보호)
19세기 말까지 포경이 이루어져 개체수가 급감하였으나 북동태평양
계군은 꾸준한 보호정책으로 이전의 개체수로 회복됨. 반면 북서태평양 계군은
현재 160 두 이하로 멸종위기에 직면함
이동(회유)
북서태평양 계군 : 겨울(한국연안)- 오오츠크 해역(여름)
북동태평양 계군 : 겨울(멕시코 만) - Bering, Chukchi 해(여름)
주 먹이감
저생어(물밑에 사는 어류) , 갑각강(甲殼綱) 이각류(異脚類)의 동물(잎새우·바다벼룩 따위)
먹이습성
밑바닥 (진흙바닥)
(귀신고래의 모습)
1. 형태적 특징
전체가 회색이며 복부는 약간 엷은 회색이다.
어린 것은 짙은 회색이나 거의 모든 개체가 흰색의 상처 모양이 있으며 굴 껍데기, 조개삿갓, 따개비 등이 부착해 있다. 지느러미는 뚜렷하지 않고 여러 개의 작은 융기가 꼬리지느러미까지 연결되어 있다.
고래수염은 130~180매 이며 두껍고 황백색이다. 수염의 길이는 40~50cm이고 섬모는 직경은 약 1mm로서 타 수염 고래류에 비해 매우 크다. 타 수염 고래류의 특징인 주림이 없고 길이 1~2m인 2~5개의 깊은 홈이 있다.
2. 생태적 특징
최대 체장 약 16m, 체중 45톤. 임신기간은 13.5개월. 출생 직후의 체장은 4.5~5m. 5~11세에 성숙. 성숙시의 체장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