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디자인 <식재 기법과 설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재디자인 <식재 기법과 설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관(Introduction)

2. 디자인의 원리(Design Principles)

3. 식물의 기능적 용도(Functional Uses of Plants)

4. 미학적 가치(Aesthetic values)

5.식재 디자인의 과정(Process of Planting Design)

6. 식재 설계도의 준비(Preparing Planting Plans)

7. 설계도서의 준비(Preparing Specifications)

본문내용

, 생태학에서의 훈련을 통하여 조경가는 복잡한 식재 디자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한다. 작업의 다양한 국면은 그들 혼자서만은 해결할 수 없는 도전을 제기 한다. 이러한 도전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들은 기능적으로 미학적으로 만족스러운 조경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자원을 함께 모을 수 있도록 훈련과 경험이 있는 다른 이의 도움을 필요로 할 것이다.
6. 식재 설계도의 준비(Preparing Planting Plans)
설계도(Plans)
설계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그래픽 기호에 대한 이해와 설계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은 식재 설계도 준비의 선행 조건이다. 전문적인 조경가는 일반적으로 3년 이상의 일정기간에 걸친 여러 대학의 학부과정을 통해 스스로 준비한다. 그 기간 동안 디자인, 식재 디자인, 그리고 시공에 있어서의 여러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지식과 함께 설계와 그래픽 기술을 획득한다. 개개인의 기술은 졸업 후 노련한 조경가의 지도 아래 평균 3년에서 5년까지의 인턴 기간을 통해 성숙된다. 잘 준비된 깔끔한 도면은 의뢰인과 도급업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준다.
설계도는 아무리 잘 된 것이라도 최종 완성 프로젝트에 대한 매우 단촐한 설명일 뿐이다. 그것들은 위에서부터 직선으로 아래를 내려다 보는 조망을 보여주며, 그나마 의뢰인은 거의 알아볼 수 없는 조망이다. 대부분의 의뢰인은 그들이 설계도에서 읽은 것을 이해하거나 혹은 도면에 기초하여 완성된 프로젝트가 어떤 모습일지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만약 의뢰인이 조경가를 신뢰한다면, 의뢰인은 그래픽 기호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는 것에 대해 불안해 하지 않을 것이다. 훌륭한 의뢰인은 조경가의 능력과 명성을 존중할 것이다. 설계도의 기본 목적은 조경가의 의도를 도급업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도면은 일반적으로 이 목적을 이행하기 위한 가장 널리 알려진 수단이다.
식재 세부사항에 관한 도면을 겸비하고 있는 걸계도나 도면, 그리고 설계도서는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계약 서류의 한 부분이다. 식재 설계도의 부분으로서 제작된 작업도면에는 각 식물의 정확한 위치가 보여져야 한다. 공간이 허락한다면 식물의 명칭 역시 도면에 적어야 한다. 그러나 설계도에는 아마도 약어를 적을 수 있는 공간만 있을 것이다. 디자이너는 항상 도면에서 식물의 학명을 이용하여 작업해야만 하며, 식물 목록을 제공해야만 한다. 이 목록은 학명 옆에 일반적인 명칭, 총 사용량, 크기, 그리고 식물을 위한 다른 필요조건들을 표시해야 한다.
여러 식물들을 표시하기 위해 다양한 기호들이 사용된다. 이들 도면들의 축척은 프로젝트마다 다양하다. 1인치=20피트보다 큰 축척에서 관목을 표시하기는 어려우며, 가장 좋은 축척은 ⅛인치=1피트, 혹은 1인치=10피트의 축척이다. 다년생, 일년생, 그리고 다른 작은 식물들의 식재에 관한 세부사항을 보여 주기 위해 가장 좋은 축척은 ¼인치=1피트이다.
한 벌의 도면에서, 식재 설계도에 뒤따르는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도면은 다양한 세부사항들을 보여 준다. 이들 중 어떤 것은 수목 구덩이, 배치구역 말뚝 박기, 성토를 할 때 기존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수목 함정물, 흙이 기존의 높이보다 아래로 깎여 내려갈 때 기존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옹벽 등을 꿰뚫는 단면도를 포함하기도 한다. 도시의 프로젝트에서는 포장된 지역과 플랜터 안에 수목을 심을 수 있다. 도급업자들에게 필요한 세부사항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평면도와 단면도가 모두 필요하다.
모든 도면 원본들은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급피지나 마일라(강화 폴리에스테르 필름)와 같은 재료로 준비되어야 한다. 검토나 도면 복제 연습을 하거나, 또는 도급업자들이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원본의 청사진이나 사진복사본을 만든다. 도면 원본은 어떤 경우에는 의뢰인이 소유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설계가의 재산이 된다. 원본을 복제한 세피아나 마일라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프로젝트를 완성한 후에 조경가나 의뢰인이 사용할 수 있는 ‘완성된’ 도면을 준비하기 위해 도급업자들이 사용한다. 복제본은 또한 화재나 파손에 대한 보호수단으로서 의뢰인과 조경가 모두가 원본의 사본을 보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비용 산출(Cost Estimating)
많은 식재 디자인 프로젝트는 비용 산출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의뢰인은 조경가를 위한 예산을 세우며, 비용 산출은 디자인이 그 예산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결정짓는 데 도움을 준다. 컴퓨터로는 모든 계산이 가능하므로 견적서를 준비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된다. 수정이 빠르고 간편한 컴퓨터의 장점은 프로젝트의 마감시간이 몇 시간 남지 않았을 때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아주 많은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시중에 나와 있는데, 이들 대부분이 거의 견적서를 준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어떤 프로그램은 템플릿(template)이 개발되어 각각의 새로운 비용 산출에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준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비용 산출 작업을 하기전에 그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본 원리를 배울 수 있는 지도문을 갖추고 있다. 최초로 완성하기 까지는 그 프로그램에 익숙해진 후보다는 좀더 많은 시간이 요구될 것이다.
7. 설계도서의 준비(Preparing Specifications)
안내를 위한 출처(Sources for Guidance)
설계도서 작성에 많은 도움을 주는 제안들은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건축설계도서협회(CSI)에서 입수할 수 있다. 이 협회에서는 조경에 매우 유용한 많은 안내책자뿐 아니라 실습매뉴얼도 출판하고 있다. 식재와 잔디에 대한 모형 설계도서를 포함하는 매뉴얼의 일부인 ‘CSI 포맷’은 2과 부지작업란 0280항에 열거되어 있다. 토양준비는 0281항, 잔디는 0282항, 여러 식물과 지피식물은 0283항, 교목과 관목은 0284항에 있으며 매우 유용할 것이다. 부지정리는 0210항, 토공사는 0220항, 부지배수는 0250항, 길과 보도는 0260항, 부지개선은 0270항으로 모두 2과안에 있다.
‘CSI 포맷’은 15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3과는 콘크리트에
  • 가격5,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9.12.11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