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관악영산회상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 관악영산회상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 3

Ⅱ. 본론 --------------------------------------- 3
1. 영산회상 ---------------------------------- 4
1-1 현악영산회상 ---------------------------- 4
1-2 평조회상 ------------------------------- 5
2. 관악영산회상 --------------------------------6

3. 맺는 말 ------------------------------------- 7

참고 자료 ------------------------------------ 8

본문내용

성 및 악조의 구성, 악곡 구성에 따라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송승민, “관악영산회상 중 상령산중령산의 피리와 해금 선율 비교” (서울: 이화여대대학원, 2001)
세 종류 중의 현악영산회상과 평조회상은 이곳에서 살펴보고 관악영산회상은 2.관악영산회상에서 자세히 다루겠다.
1-1 현악영산회상
현악영산회상은 현악기 중심의 곡으로 거문고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거문고 회상이라고 불리고 줄풍류라고 불린다. 또한 이 곡은 중광지곡(重光之曲)이라는 아명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영산회상이라고 함은 세 종류의 영산회상을 모두 지칭하기도 하지만 때때로 현악영산회상만을 지칭하기도 한다. 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all&articleID=b15a3916a
현악영산회상은 총 9곡으로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상현도드리, 하현도드리, 타령, 군악의 순서를 갖는다. 이 영산회상의 원곡은 상령산으로 ‘영산회상불보살’의 일곱 자를 노래로 부르던 성악곡이었으나 지금은 가사가 없어지고 기악곡화 되었다. 현악 영산회상의 악기편성은 원칙적으로 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대금, 해금, 장구, 단소, 양금이 각각 하나씩 편성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한 두 악기가 빠질 수도 있다. 서한범, 『개정판 국악통론』(서울: 태림출판사, 1995), 112p
또한, 장구는 악기 편성으로 인하여 작은 소리를 낼 수 있게 변죽을 친다.
1-2 평조회상
평조회상은 현악 영산회상을 완전4도 아래로 이조한 곡으로 유초신지곡(柳初新之曲)이라고도 불린다. 평조회상에서 ‘평조’라는 의미는 현악영산회상에 반하여 낮은 조라는 뜻이다. 위의 책 113p
현악영산회상을 4도 아래로 조옮김 하였지만 서양 음악처럼 전체적으로 4도 낮게 조옮김 한 것은 아니고, 낮은 음역의 가락에 따라서는 더 내릴 수가 없어 한 옥타브 위로 바꾸어 연주하는 부분도 많으며, 음역의 제약, 연주법상의 편의에 의하여 피리대금해금 등의 악기의 연주법은 거문고 회상과는 많이 다르다. 위의 책 113p
악곡 구성은 현악 영산회상의 구성과 비슷한데 그 중의 하현도드리가 빠지는 것이 특징이다. 평조회상의 악기편성은 현악기 중심인 영산회상에서 세피리가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음량이 큰 향피리로 바뀌게 되고 단소와 양금이 제외되어 편성되는 점이 다르다. 연주법 또한 현악영산회상과 다른데 대금은 현악영산회상에서는 낮은 저취법을 쓰고 있지만 평조회상에서는 평취법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11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5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