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행동의 이론(사회행동모델, 대중동원모델)과 사례(용산철거민, 풀뿌리시민 운동 등)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행동의 이론(사회행동모델, 대중동원모델)과 사례(용산철거민, 풀뿌리시민 운동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주제조사-
[사회행동]
1. 사회행동의 정의 4
2. 사회행동의 특징
3. 사회행동의 기능 5
4. 사회복지사와 사회행동

[사회행동의 전략]
1. 기본전략 6
2. 정치적 압력전술 7
3. 법적 행동과 사회적 대결 9
4. 언론의 활용과 협상 전술 9

-관련이론-
[ 로스만의 “사회행동모델”]
1.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목표 틀 10
2. 세가지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유형
3. 로스만 모델의 특성 비교
4. 사회행동모델 11

[알린스키 “항의전술”과 “주민조직이론”]
1. 알린스키의 “항의전술” 12
(1) 항의전술이란?
(2) 항의전술에 관한 규칙
(3) 전술적 원칙 13

2. 알린스키의 “주민조직이론” 13
(1 )알린스키의 ”주민조직”이란?
(2) 조직운동의 전략 14
(3) 중요 용어 설명

[우리나라 사회행동 사례] 15

-사례조사-
[사례1. 용산 철거민]
1. 사건개요 16
2. 원인
3. 특징 17
(1)도시정비사업
(2)보상비 갈등
(3) 겨울철 강제철거
(4)안전대책 미비

4. 논란 18
(1)화재원인 논란
(2)폭력성 논란
(3)여론 조작 논란
(4)왜곡 시도 논란
(5)청와대 여론조작 지침 논란
(6)서울경찰특공대 대테러훈련 논란

5. 가치관과 윤리의식 20
6. 해결방안 22
(1)제도적 조치
(2) 용역 업체의 폭력 해결
7. 지역사회 복지와 용산참사 25
8. 철거민운동 역사 26
9. 또 다른 철거 반대 시위의 예 29

[사례2. 풀뿌리 시민운동]
1. 풀뿌리시민운동의 정의 31
(1) 바닥 운동
(2) 주민주체성의 운동

2. 풀뿌리시민운동의 역사 33
(1) 95년 지방자치 이전
(2) 지방자치 이후

3. 풀뿌리시민운동의 현재 36
(1) 사례
(2) 현황

4. 한계와 극복 사항 42

[사례 3. On-line 사회운동]
1. 사이버 시민사회의 등장과 전망 43
2. 온라인, 오프라인 사회운동 비교 44
3. 온라인 사회운동의 평가 46
(1) 온라인 사회운동의 성공 요인
(2) 온라인 사회운동의 함의와 과제 47

-성경적 관점-
[성경적 관점으로 “본(本)”]
1. 사회적 약자에 대한 우리의 자세 49
2. 사회적 강자에 대한 우리의 자세 51
3. 사회복지사로서의 프로의식 53

Reference 54

본문내용

[사례1] 용산철거민

1. 사건개요- 용산4구역 철거 현장 화재 사건
용산4구역 철거 현장 화재 사건은 2009년 1월 20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 2가에 위치한 건물 옥상에서 점거농성을 벌이던 세입자와 전국철거민연합회(이하 전철연) 회원들, 경찰, 용역 직원들 간의 충돌이 벌어지는 가운데 발생한 화재로 인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철거민 5명과 경찰특공대 1명이 사망하고 23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다. 주로 용산 참사라 불린다.
사고 당시의 폭력 문제, 용역 직원, 안전 대책, 과잉 진압 여부 등에 대한 논란과 함께 검찰의 수사가 이어졌고, 이후 수사 결과, 홍보 지침, 왜곡 시도 등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2. 원인- 과연 누가 그들을 망루에 오르게 했나?
용산 철거민들이 망루에 오를 수밖에 없었던 것은, 서울을 고품격, 명품도시로 만든다며, 개발지역 주민들을 용역깡패의 폭력과 죽음으로 내몬 대책 없는 개발정책에 있다. 이는 서울시가 용산을 국제업무 기능을 갖춘 서울의 부도심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거대한 계발계획을 속도전으로 밀어 부치는 과정에서 발생한 참사이기 때문이다. 현재 서울시만 35개 뉴타운, 299개 재개발, 266개의 재건축 구역이 개발의 몸살을 앓고 있어 소형, 저가의 주택과 상가 등 도시서민들의 삶과 생존의 공간이 급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그리고 지난 30년간 개발한 서울시 면적의 2배에 이르는 면적의 개발을 뉴타운•재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수년 안에 밀어붙이려고, 서울시 전역을 공사판으로 만들어, 갈 곳 없는 철거민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망루에 오르고 있어, 제2 제3의 용산참사를 예고하고 있다.

“과연 우리의 지역이 명품건물, 명품 빌딩으로만 명품 지역이 되어지는 것일까?”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54페이지
  • 등록일2009.12.1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5668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