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주의와 사회주의운동
2. 제국주의와 제1차세계대전
3. 1차세계대전이후 유럽세계질서
4. 2차세계대전
5. 20c후반세계질서
2. 제국주의와 제1차세계대전
3. 1차세계대전이후 유럽세계질서
4. 2차세계대전
5. 20c후반세계질서
본문내용
러시아 지지;슬라브인보호한다는 명분
-오스트리아에 독일의 지지
※1차세계대전의 전범인 독일은 이때까지 전쟁으로 발전할거라고 생각하지못했다. 독일은 발칸반도내의 이해관계에 속하지도 않았으나 동맹관계에의해 말려들어간것이다.
-러시아의 동원령→독일의 해지명령→러시아의거부→독일의선전포고
-이탈리아; 연합국(영국/프랑스/러시아등)측에 가담
-미국; 본래 불개입을 유지하였으나 독일잠수함이 미국여객선을 침몰시키는 것으로 연합국에 가담
-독일
①슐리펜작전; 러시아와 프랑스와 동시에 전쟁을 하는경우를 대비하여 마련한 작전→양면전쟁시 먼저 프랑스를 격파하고 러시아를 공격
∴러시아는 영토가크고 후진적이므로 단기에 프랑스를 점령하고 이후러시아를 점령
②독일의 전력
-자원과 인구면에 열세하므로 장기전에는 연합국이 유리하므로 단기전을 계획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병력이동이 쉽고 언어가동일하여 작전수행에 유리
-프랑스-러시아가 연합하기위해 터키를 통과해야하므로 효율적인작전수행에 불리
-전쟁후반
;러시아의 수도가 독일에게 함락→굴욕적인 휴전조약을 맺음→러시아이탈→미국이 가담하면서연합국승리
Ⅲ. 1차세계대전이후 세계질서(양차세계대전사이의 세계질서)
1)전쟁후 세계질서 재편
(1)평화협정(베르사유조약)
-미국의 윌슨대통령이 주도;
①비밀조약&비밀외교폐지(국간간의 불신/긴장조장)
②각국의군비축소
③민족자결의 원칙으로 유럽국경제확정
④국제적정치기구 설립 (가장강조)
→국제연맹창설;역사상 최초의 전쟁방지국제기구
원래취지와는 달리 그역할을 수행하는데 한계
*미국은 가입거부; 의회에서 비준을 받지못함→미국이 아메리카의 문제에 개입하지않기위해
2)유럽질서의 재편성
(1)독일에 대한 가혹한 응징조치
①영토;
-폴란드를 부활시키면서 독일땅이 본토와 프로이센으로 나눠짐
→프로이센지역을 폴란드땅으로 편입
-프랑스에게 알사스로렌지역을 넘겨줌
-독일의 서부지대를 중립지대로하여 독일군을 철수
-모든식민지를 상실하고 군비축소
②배상금
-천문학적인 액수로 독일내 인플레이션 최고조
③전범조항을 넣어실행
∴베르사유조약에 독일의 강력한반발→왜 전쟁의 책임을 모두 독일인이져야하는가? 협상에 의한 전쟁종결임을 주장
전쟁막판에 독일의 혁명발발→민주공화국이 들어서고 사회주의정당인 바이마르공화국 형성;국민들의 지지를 얻어야하는 정권초기에 굴욕적인 조약을 비준
(2)오스트리아제국의 해체
-오스트리아-체코슬로바키아-헝가리로 분할
-일부는 유고슬라비아,루마니아등에 땅을 넘겨줌
(3)터키제국의 해체
-19c 발칸반도땅을 대부분빼앗긴상태였으나 중동지역을 여전히 지배하고있었음 →전쟁후 중동지역이 모두독립;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이라크와 팔레스타인이 신탁통치됨
(4)국가체제의 변화
-전제군주→공화국으로의 변화
독일과 터키;민주공화국/러시아;전쟁중 혁명이일어나 사회주의체제로 바뀜
-신무기개발; 잠수함 비행기등장
-의학과 과학의 발달
-동원경제체제; 1차세계대전무렵 자유방임제가 성행→전쟁에의해 남성노동력이 부족해지고 여성이 노동에 뛰어들게되고, 국주도의 경제 로 변화
(5)미국
-1차세계대전이후 가장두드러진변화는 유럽중심에서 미국중심으로의 세계중심이 재편된것!→유럽국가는 전후휴유증으로 어려웠지만 미국은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음
-대공항(1929);실업자대량발생
-루즈벨트의 뉴딜정책 (1934);보수주의자들은 사회주의정책이라고 비판
*3R정책-recovery,relief,reform
-군수산업이 활성화되면서 대공항 극복
(6)영국
-1차세계대전이후 많은비용부담;세계사의 중심의 역할을 상실→미국
-인도와 이집트에서 독립운동이일어남→자치권부여정책으로 식민지정책을 바꿈
1)노동당의 부상
-보수당과 자유당 양당체제에서 20c가되면서 노동당 부상(노동운동이 전개되면서)
▶자유당을 통해 의회진출하자 vs 독자적인 정당을 만들자로 노선갈등→후자가 전세획득(1906) ; 노동운동 노동자중심이 노동당에게!
-1900년 노동당 창당/ 1906년 노동당이라는 당명을 갖게됨
※그이전 노동자들은 자유당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표명
-헤이비언주의의 출현;민주사회주의로 점진적인 사회주의를 주창하는 것으로 노동자당과 결합
-선거에서의 승리로 최조의 노동당정부 출범(1924)
※자유당은 제 3당으로 전락하고 보수당과 노동당의 양당체제로!
①노동당활동
-사회주의이념을 현실적으로 구현하지 못함
-사회보장제도는 확대하였으나 기업의 국유화는 실패함
*노동당이 표방하는 페이비언주의는 점진적인 성격을 지니고있었음
*처음집권시에 1년단명집권(1925년에 정권획득실패)으로 제대로 정책수행에 한계를 지님
-노동당의 재집권성공(1929);당시 미국발공황으로 유럽으로 파급→공황대처문제로 의견분열----->긴축정책 및 사회보장제도 축소정책에 대하여 노동당의 반발(당의 정체성거론)∴맥도날드해임->노동당정부집권 END!
-2세계대전 종전후 재집권(토니블레어); 노동당최초연속정권획득
2)식민지문제
-19c세기까지 영국은 많은 식민지를 거느렸으나 20c이르러 식민지문제로 갈등
①인도;영국의 식민지 정책에 지속적인 저항→군사권/외교권/경찰권을 제외한 자치권을 인도의회에 넘김→완전한독립으로 저항→1947년독립
②이집트; 영국의 보호정치를 받음
※1차세계대전시 외형적으로는 오스만투르크족에게 식민정치를 받았으나 내부적으로는 영국의 식민지
③웨스트민스트조례(1931);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등의 독립을 인정해주는 대신 영국인이 국왕이 되도록함(영연방국가);형식상 대인인을 파견하였고,실제적인 통치력 無
3)아일랜드문제
-중세시대 노르만계통의 영국인이 아일랜드를 정복
-16~17c아일랜드북부에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신교도 이주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통합(1801)→아일랜드는 잉글랜드지배에 반발하여 독립운동→자치령형태로 분리(1914)→완전독립
(7)프랑스
-1차세계대전이루 경제적어려움; 독일의 응징에 대해 가장 강력하게 주장
-파시스트세력강화; 1차세계대전후 노동지도자,사회주의 정당세력을 테러→의회위협;프랑스공화제가 위기봉착
∴공화주의자, 인민전선 결성(1935)/노동자의 총파업
-인민전선의 선거의 승리(1936);사회당의 지도자인 블룸을 중심으로 최초로 좌파정부등장; 마띠용협약체결→기업과 노조가 정부의 중제하에 협약을
-오스트리아에 독일의 지지
※1차세계대전의 전범인 독일은 이때까지 전쟁으로 발전할거라고 생각하지못했다. 독일은 발칸반도내의 이해관계에 속하지도 않았으나 동맹관계에의해 말려들어간것이다.
-러시아의 동원령→독일의 해지명령→러시아의거부→독일의선전포고
-이탈리아; 연합국(영국/프랑스/러시아등)측에 가담
-미국; 본래 불개입을 유지하였으나 독일잠수함이 미국여객선을 침몰시키는 것으로 연합국에 가담
-독일
①슐리펜작전; 러시아와 프랑스와 동시에 전쟁을 하는경우를 대비하여 마련한 작전→양면전쟁시 먼저 프랑스를 격파하고 러시아를 공격
∴러시아는 영토가크고 후진적이므로 단기에 프랑스를 점령하고 이후러시아를 점령
②독일의 전력
-자원과 인구면에 열세하므로 장기전에는 연합국이 유리하므로 단기전을 계획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병력이동이 쉽고 언어가동일하여 작전수행에 유리
-프랑스-러시아가 연합하기위해 터키를 통과해야하므로 효율적인작전수행에 불리
-전쟁후반
;러시아의 수도가 독일에게 함락→굴욕적인 휴전조약을 맺음→러시아이탈→미국이 가담하면서연합국승리
Ⅲ. 1차세계대전이후 세계질서(양차세계대전사이의 세계질서)
1)전쟁후 세계질서 재편
(1)평화협정(베르사유조약)
-미국의 윌슨대통령이 주도;
①비밀조약&비밀외교폐지(국간간의 불신/긴장조장)
②각국의군비축소
③민족자결의 원칙으로 유럽국경제확정
④국제적정치기구 설립 (가장강조)
→국제연맹창설;역사상 최초의 전쟁방지국제기구
원래취지와는 달리 그역할을 수행하는데 한계
*미국은 가입거부; 의회에서 비준을 받지못함→미국이 아메리카의 문제에 개입하지않기위해
2)유럽질서의 재편성
(1)독일에 대한 가혹한 응징조치
①영토;
-폴란드를 부활시키면서 독일땅이 본토와 프로이센으로 나눠짐
→프로이센지역을 폴란드땅으로 편입
-프랑스에게 알사스로렌지역을 넘겨줌
-독일의 서부지대를 중립지대로하여 독일군을 철수
-모든식민지를 상실하고 군비축소
②배상금
-천문학적인 액수로 독일내 인플레이션 최고조
③전범조항을 넣어실행
∴베르사유조약에 독일의 강력한반발→왜 전쟁의 책임을 모두 독일인이져야하는가? 협상에 의한 전쟁종결임을 주장
전쟁막판에 독일의 혁명발발→민주공화국이 들어서고 사회주의정당인 바이마르공화국 형성;국민들의 지지를 얻어야하는 정권초기에 굴욕적인 조약을 비준
(2)오스트리아제국의 해체
-오스트리아-체코슬로바키아-헝가리로 분할
-일부는 유고슬라비아,루마니아등에 땅을 넘겨줌
(3)터키제국의 해체
-19c 발칸반도땅을 대부분빼앗긴상태였으나 중동지역을 여전히 지배하고있었음 →전쟁후 중동지역이 모두독립;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이라크와 팔레스타인이 신탁통치됨
(4)국가체제의 변화
-전제군주→공화국으로의 변화
독일과 터키;민주공화국/러시아;전쟁중 혁명이일어나 사회주의체제로 바뀜
-신무기개발; 잠수함 비행기등장
-의학과 과학의 발달
-동원경제체제; 1차세계대전무렵 자유방임제가 성행→전쟁에의해 남성노동력이 부족해지고 여성이 노동에 뛰어들게되고, 국주도의 경제 로 변화
(5)미국
-1차세계대전이후 가장두드러진변화는 유럽중심에서 미국중심으로의 세계중심이 재편된것!→유럽국가는 전후휴유증으로 어려웠지만 미국은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음
-대공항(1929);실업자대량발생
-루즈벨트의 뉴딜정책 (1934);보수주의자들은 사회주의정책이라고 비판
*3R정책-recovery,relief,reform
-군수산업이 활성화되면서 대공항 극복
(6)영국
-1차세계대전이후 많은비용부담;세계사의 중심의 역할을 상실→미국
-인도와 이집트에서 독립운동이일어남→자치권부여정책으로 식민지정책을 바꿈
1)노동당의 부상
-보수당과 자유당 양당체제에서 20c가되면서 노동당 부상(노동운동이 전개되면서)
▶자유당을 통해 의회진출하자 vs 독자적인 정당을 만들자로 노선갈등→후자가 전세획득(1906) ; 노동운동 노동자중심이 노동당에게!
-1900년 노동당 창당/ 1906년 노동당이라는 당명을 갖게됨
※그이전 노동자들은 자유당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표명
-헤이비언주의의 출현;민주사회주의로 점진적인 사회주의를 주창하는 것으로 노동자당과 결합
-선거에서의 승리로 최조의 노동당정부 출범(1924)
※자유당은 제 3당으로 전락하고 보수당과 노동당의 양당체제로!
①노동당활동
-사회주의이념을 현실적으로 구현하지 못함
-사회보장제도는 확대하였으나 기업의 국유화는 실패함
*노동당이 표방하는 페이비언주의는 점진적인 성격을 지니고있었음
*처음집권시에 1년단명집권(1925년에 정권획득실패)으로 제대로 정책수행에 한계를 지님
-노동당의 재집권성공(1929);당시 미국발공황으로 유럽으로 파급→공황대처문제로 의견분열----->긴축정책 및 사회보장제도 축소정책에 대하여 노동당의 반발(당의 정체성거론)∴맥도날드해임->노동당정부집권 END!
-2세계대전 종전후 재집권(토니블레어); 노동당최초연속정권획득
2)식민지문제
-19c세기까지 영국은 많은 식민지를 거느렸으나 20c이르러 식민지문제로 갈등
①인도;영국의 식민지 정책에 지속적인 저항→군사권/외교권/경찰권을 제외한 자치권을 인도의회에 넘김→완전한독립으로 저항→1947년독립
②이집트; 영국의 보호정치를 받음
※1차세계대전시 외형적으로는 오스만투르크족에게 식민정치를 받았으나 내부적으로는 영국의 식민지
③웨스트민스트조례(1931);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등의 독립을 인정해주는 대신 영국인이 국왕이 되도록함(영연방국가);형식상 대인인을 파견하였고,실제적인 통치력 無
3)아일랜드문제
-중세시대 노르만계통의 영국인이 아일랜드를 정복
-16~17c아일랜드북부에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신교도 이주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통합(1801)→아일랜드는 잉글랜드지배에 반발하여 독립운동→자치령형태로 분리(1914)→완전독립
(7)프랑스
-1차세계대전이루 경제적어려움; 독일의 응징에 대해 가장 강력하게 주장
-파시스트세력강화; 1차세계대전후 노동지도자,사회주의 정당세력을 테러→의회위협;프랑스공화제가 위기봉착
∴공화주의자, 인민전선 결성(1935)/노동자의 총파업
-인민전선의 선거의 승리(1936);사회당의 지도자인 블룸을 중심으로 최초로 좌파정부등장; 마띠용협약체결→기업과 노조가 정부의 중제하에 협약을
추천자료
미국의 독립혁명 과 종교개혁 및 1차 세계대전
2차 세계대전 이후의 국제 무역의 변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스페인 프랑코 정권하의 정치, 외교
제국주의(Imperialism)와 제 1차 세계대전
1·2차 세계대전후의 민족주의에 대한고찰
2차 세계대전과 원자탄 개발
1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의 외교정책 연구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노동당 정권과 보수당 정권의 경제정책수행 과정
[과외]중학 사회 2-08 제1차 세계대전과 전후 세계 03
2차 세계대전 이후 사회주의
[인문과학] 제1차 세계대전과 미국의 참전
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였는가
경제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경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