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위장계 구조와 기능(간, 담관, 췌장)
1. 간
2. 담관
3. 췌장
▣장관계 기능의 사정
1. 사정
2. 진단적 검사
-경구 담낭 조영 검사(Oral Cholecystography : OCG)
-경정맥 담관조영검사(Intravenous Cholangiography : IVC)
-점적주입담관조영검사(Drip Infusion Cholangiography : DIC)
-수술 중 담관조영검사(Operative Cholangiography : OPC)
-T-tube 담관 조영검사(T-tube cholangiography)
-경피경간 담관조영검사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 : PTC)
-경피적 경간 담즙배액술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내시경적 역행성 췌관·담관조영검사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 ERCP)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Sphincterotomy : EST)
-내시경적 경비적 담즙배액술 (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 ENBD)
-내시경적 역행성 담즙배액술 (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 : ERBD)
-체외 충격파 쇄석술 (Extracorporeal Shoke Wave Lithotripsy : ESWL)
-간생검(Liver biopsy)
1. 간
2. 담관
3. 췌장
▣장관계 기능의 사정
1. 사정
2. 진단적 검사
-경구 담낭 조영 검사(Oral Cholecystography : OCG)
-경정맥 담관조영검사(Intravenous Cholangiography : IVC)
-점적주입담관조영검사(Drip Infusion Cholangiography : DIC)
-수술 중 담관조영검사(Operative Cholangiography : OPC)
-T-tube 담관 조영검사(T-tube cholangiography)
-경피경간 담관조영검사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 : PTC)
-경피적 경간 담즙배액술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내시경적 역행성 췌관·담관조영검사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 ERCP)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Sphincterotomy : EST)
-내시경적 경비적 담즙배액술 (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 ENBD)
-내시경적 역행성 담즙배액술 (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 : ERBD)
-체외 충격파 쇄석술 (Extracorporeal Shoke Wave Lithotripsy : ESWL)
-간생검(Liver biopsy)
본문내용
<소화기계 Report>
간, 담도계
(구조와 기능, 진단적 검사)
▣위장계 구조와 기능(간, 담관, 췌장)
<간, 담도계와 췌장의 구조>
1. 간(Liver)
<간의 구조>
(1) 구조
●RUQ, 횡격막 바로 아래위치
●간동맥, 문정맥에 의해 영양, 혈액공급
(2) 기능
●담즙생산
-담즙 : 담즙산염, 빌리루빈, 콜레스테롤 등으로 구성됨
지방유화시키는 기능, 600~1200ml/일 분비
-담즙 분비경로 : 간세포의 분비액 → 담세관 → 총담관 → Oddi괄약근 → 십이지장
-Billirubin은 간에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고 간을 통해 배설됨
-Billirubin → Urobilinogen(장내 세균에 의해)되어 대변으로 배설됨
-담즙이 어떤 원인에 의해 장으로 배설되지 못하고 혈관 속으로 흡수되면 피부, 공막에 황달이 생기고 담즙산염이 피부에 축척되어 소양증이 나타남
*빌리루빈 : 적혈구 파괴산물로 혈색소가 분해되어 만들어짐, 대변색을 색소화 함
●순환기능 : 심박출량의 1/4가량이 간으로 유입
●탄수화물 대사 : 당원 형성(Glycogen형성), 당원 분해(포도당 분해), 당질 신생(단백질과 지방으로부터 합성), 탄수화물 대사를 통해 혈당치를 일정하게 지속함
●지방 대사 : 지방산의 산화기능, Lipoprotein형성, 콜레스테롤 합성
●단백질 대사 -albumin 합성(혈장의 교질 삼투압 조절)
-혈장 단백질 형성(알부민, 프로트롬빈, 파이브로노젠과 같은 혈장 단백질과 혈액응고인자 합성함)
-여러 약물, 호르몬들 전환하는 기능
-암모니아를 무독성의 요소로 전환함
2. 담낭(Gallbladder)
<담낭의 구조>
(1) 구조
●위치 : 간의 오른쪽 바로 아래 위치
-길이는 7~10cm, 너비 3.8cm, 부피 70cm3, 50cc보유, 남성의 엄지손가락 만한 크기
-가지 모양을 하고 간 아랫면의 담낭와에 끼여 있다.
-담낭의 넓은 밑부분은 전하방을 향하고, 제9~10늑연골 아래쪽에서 간 앞 가장자리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담낭 밑의 뒤쪽은 담낭체에서 담낭경으로 이행하고,
-거기서부터 생기는 담관은 문맥(門脈)에서 꼬부라져 간으로부터 나온 총간관이 되고, -간십이지장 간막을 지나 십이지장 하행부의 뒤 내측벽에서 췌장관과 합쳐져서 십이지장 유두로 열려 있다.
-담낭의 윗면과 아랫면
:윗면은 간 아랫면과 결합조직에 의해 붙어 있지만, 아랫면은 복막으로 감싸여 있다.
(2) 기능
●담즙의 저장(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저장), 농축
-담즙은 하루에 1,000cc 이상 분비되지만 담낭 속에서 50∼60cc로 농축된다.
-담낭 내면의 점막은 가느다란 주름이 井자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점액도 분비된다.
3. 췌장(Pancreas)
<췌장(이자)의 구조>
(1) 구조
●위치 : 후복막에 위치한 약 15cm의 가늘고 긴 회백색의 기관
●십이지장과 비장(지라) 사이에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선
●중앙에 췌관이 통하고 있으며, 십이지장의 유두부에 개구
●이자액을 분비하는 선조직 사이에는 섬 모양의 특수한 조직-랑게르한스섬이 존재
●췌도의 총 용적은 이자 전체의 1∼2%
●외분비선 : 소화효소 분비(Amylase, Trypsin, Lipase)
●내분비선 : α세포와 β세포 2종류의 세포가 있다.
-α세포는 아닐린에 의해 붉게 염색되는 과립이 있어서 글루카곤을 분비
-β세포는 아닐린에 의해 청자색으로 염색되는 과립을 함유, 인슐린을 분비
*인슐린은 랑게르한스섬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포도당에서 글리코겐을 생성하고 포도당의 산화 및 지방에의 전화(轉化)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cf)
◎ 랑게르한스섬 [Langerhans islets]
이자 내에서 섬(島) 모양으로 위치해 있어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내분비선 조직.
췌도(膵島)라고도 한다. 섬 모양으로 보이는 세포의 집단으로 1869년 독일의 병리학자 P.랑게르한스가 발견하여 랑케르한스섬이라 이름을 붙였다. 섬의 수는 약 200만이며, 그 지름은 약 0.2 mm이다.
그 속에 4종류의 세포가 있는데, 과립을 가 진 분비세포는 2종류로, 크고 수가 적은 것을 α세포, 수가 많은 다른 것을 β세포라고 한다. α세포에서는 혈당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glucagon)이, β세포에서는 인슐린(insulin)이 분비되어 혈당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 호르몬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섬(라틴어로 insula)에서 분비된다는 의미로 인슐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β세포의 분비가 장애를 받으면 당뇨병이 생긴다. 실험적으로도 동물에 알록산(alloxan)을 주사하여 이자의 β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면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다.
◎ 인슐린 [insulin]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섬이란 뜻의 라틴어인 insula에서 유래되었다. 단백질 중에서는 최초로 구조식이 밝혀진 것으로, 두 개의 아미노산사슬이 S-S결합(이황화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1921년 캐나다의 의사 F.G.밴팅과 C.H.베스트에 의하여 처음으로 이자에서 채취되었고, 그 후 인슐린의 결정을 얻게 되었다. F.생거에 의해서 소의 인슐린의 구조가 밝혀졌다(1955).
인슐린은 이자(췌장)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혈액 속의 포도당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혈당량이 높아지면 분비되며, 혈액 내의 포도당을 세포로 유입시킨다. 또한 지방조직에서 포도당의 산화
간, 담도계
(구조와 기능, 진단적 검사)
▣위장계 구조와 기능(간, 담관, 췌장)
<간, 담도계와 췌장의 구조>
1. 간(Liver)
<간의 구조>
(1) 구조
●RUQ, 횡격막 바로 아래위치
●간동맥, 문정맥에 의해 영양, 혈액공급
(2) 기능
●담즙생산
-담즙 : 담즙산염, 빌리루빈, 콜레스테롤 등으로 구성됨
지방유화시키는 기능, 600~1200ml/일 분비
-담즙 분비경로 : 간세포의 분비액 → 담세관 → 총담관 → Oddi괄약근 → 십이지장
-Billirubin은 간에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고 간을 통해 배설됨
-Billirubin → Urobilinogen(장내 세균에 의해)되어 대변으로 배설됨
-담즙이 어떤 원인에 의해 장으로 배설되지 못하고 혈관 속으로 흡수되면 피부, 공막에 황달이 생기고 담즙산염이 피부에 축척되어 소양증이 나타남
*빌리루빈 : 적혈구 파괴산물로 혈색소가 분해되어 만들어짐, 대변색을 색소화 함
●순환기능 : 심박출량의 1/4가량이 간으로 유입
●탄수화물 대사 : 당원 형성(Glycogen형성), 당원 분해(포도당 분해), 당질 신생(단백질과 지방으로부터 합성), 탄수화물 대사를 통해 혈당치를 일정하게 지속함
●지방 대사 : 지방산의 산화기능, Lipoprotein형성, 콜레스테롤 합성
●단백질 대사 -albumin 합성(혈장의 교질 삼투압 조절)
-혈장 단백질 형성(알부민, 프로트롬빈, 파이브로노젠과 같은 혈장 단백질과 혈액응고인자 합성함)
-여러 약물, 호르몬들 전환하는 기능
-암모니아를 무독성의 요소로 전환함
2. 담낭(Gallbladder)
<담낭의 구조>
(1) 구조
●위치 : 간의 오른쪽 바로 아래 위치
-길이는 7~10cm, 너비 3.8cm, 부피 70cm3, 50cc보유, 남성의 엄지손가락 만한 크기
-가지 모양을 하고 간 아랫면의 담낭와에 끼여 있다.
-담낭의 넓은 밑부분은 전하방을 향하고, 제9~10늑연골 아래쪽에서 간 앞 가장자리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담낭 밑의 뒤쪽은 담낭체에서 담낭경으로 이행하고,
-거기서부터 생기는 담관은 문맥(門脈)에서 꼬부라져 간으로부터 나온 총간관이 되고, -간십이지장 간막을 지나 십이지장 하행부의 뒤 내측벽에서 췌장관과 합쳐져서 십이지장 유두로 열려 있다.
-담낭의 윗면과 아랫면
:윗면은 간 아랫면과 결합조직에 의해 붙어 있지만, 아랫면은 복막으로 감싸여 있다.
(2) 기능
●담즙의 저장(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저장), 농축
-담즙은 하루에 1,000cc 이상 분비되지만 담낭 속에서 50∼60cc로 농축된다.
-담낭 내면의 점막은 가느다란 주름이 井자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점액도 분비된다.
3. 췌장(Pancreas)
<췌장(이자)의 구조>
(1) 구조
●위치 : 후복막에 위치한 약 15cm의 가늘고 긴 회백색의 기관
●십이지장과 비장(지라) 사이에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선
●중앙에 췌관이 통하고 있으며, 십이지장의 유두부에 개구
●이자액을 분비하는 선조직 사이에는 섬 모양의 특수한 조직-랑게르한스섬이 존재
●췌도의 총 용적은 이자 전체의 1∼2%
●외분비선 : 소화효소 분비(Amylase, Trypsin, Lipase)
●내분비선 : α세포와 β세포 2종류의 세포가 있다.
-α세포는 아닐린에 의해 붉게 염색되는 과립이 있어서 글루카곤을 분비
-β세포는 아닐린에 의해 청자색으로 염색되는 과립을 함유, 인슐린을 분비
*인슐린은 랑게르한스섬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포도당에서 글리코겐을 생성하고 포도당의 산화 및 지방에의 전화(轉化)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cf)
◎ 랑게르한스섬 [Langerhans islets]
이자 내에서 섬(島) 모양으로 위치해 있어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내분비선 조직.
췌도(膵島)라고도 한다. 섬 모양으로 보이는 세포의 집단으로 1869년 독일의 병리학자 P.랑게르한스가 발견하여 랑케르한스섬이라 이름을 붙였다. 섬의 수는 약 200만이며, 그 지름은 약 0.2 mm이다.
그 속에 4종류의 세포가 있는데, 과립을 가 진 분비세포는 2종류로, 크고 수가 적은 것을 α세포, 수가 많은 다른 것을 β세포라고 한다. α세포에서는 혈당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glucagon)이, β세포에서는 인슐린(insulin)이 분비되어 혈당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 호르몬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섬(라틴어로 insula)에서 분비된다는 의미로 인슐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β세포의 분비가 장애를 받으면 당뇨병이 생긴다. 실험적으로도 동물에 알록산(alloxan)을 주사하여 이자의 β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면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다.
◎ 인슐린 [insulin]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섬이란 뜻의 라틴어인 insula에서 유래되었다. 단백질 중에서는 최초로 구조식이 밝혀진 것으로, 두 개의 아미노산사슬이 S-S결합(이황화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1921년 캐나다의 의사 F.G.밴팅과 C.H.베스트에 의하여 처음으로 이자에서 채취되었고, 그 후 인슐린의 결정을 얻게 되었다. F.생거에 의해서 소의 인슐린의 구조가 밝혀졌다(1955).
인슐린은 이자(췌장)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혈액 속의 포도당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혈당량이 높아지면 분비되며, 혈액 내의 포도당을 세포로 유입시킨다. 또한 지방조직에서 포도당의 산화
추천자료
한국 벤처캐피탈의 중국 벤처산업 진출전략 보고서(여신전문금융업)
은행의 고객만족경영에 대한 연구 - K은행을 중심으로
독도문제와일본의우익성경향
(성매매 방지법) 성매매 방지 특별법에 대한 이해와 평가 및 문제점 해결방안 (성매매방지특...
성매매 방지법의 필요성과 문제점 및 대안책
지방자치행정에 있어 주민참여와 행정정보공개 그리고 지역이기주의
장애인 시설 운영 계획서
고용보험제도의 정의,의의, 고용보험제도의 도입과정,유형, 고용보험제도의 기능, 고용보험제...
금융정책분석
소통의리더십
[사업자 선정기준][사업자][지상파방송]지상파방송사업자 선정기준, DMB사업자(디지털멀티미...
참여정부(노무현정부) 노동정책의 국제기준, 예산편성지침, 참여정부(노무현정부) 노동정책의...
[사회과학] 자원봉사 프로그램 평가
[법학 방법론] 사법개혁 - 대법관 증원관련 토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