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사회학]문화와 교육적 기능과 관계, 문화과정으로서의 교육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문화의 본질

Ⅱ. 문화의 교육적 기능

Ⅲ. 문화와 교육과의 관계(12세의 야생소년을 통해서)

Ⅳ. 문화과정으로서의 교육
1. 문화전승과정
2. 문화화와 문화전수과정

Ⅴ. 나오면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화전수 담당자로서 가족, 친지 등을 통해서 언어와 그 밖의 다른 문화를 습득하게 하고 가정환경을 통하여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교육과 문화와의 관계는 이렇게 가정에서부터 출발하게 되므로 가정은 가장 중요한 집단이다. 다음으로는 학교에서의 교육자도 문화전수에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때 교육자는 지식을 전수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문화를 전수하는 역할까지도 담당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원들은 교육적 문화와 비교육적 문화를 선별하여 전수하여야 하겠다. 끝으로 사회 역시 사회구성원의 문화 전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왜냐하면 교육을 통한 문화전수란 앞으로 우리가 계속 현재의 조건에서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아니면 보다 나은 삶의 조건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이대로 폭삭 주저앉고 말 것인가 하는 기로에서 가장 중요한 분수령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는 대중전달시대에 살고 있다. 이제 매스미디어는 중요한 교육수단이 되고 있다. 과외도 위성방송을 통해 이루어지는 이 시대에 매스컴의 교육수단적 활용은 극대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정보통신혁명이 가져온 정보화시대에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따라서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매스컴은 가장 중요한 문화전수의 기능을 도맡을 것이다. 한마디로 매스컴의 영향은 사회적 차원에서 문화전수 즉 교육의 기능에서 가장 핵심적인 영역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권이종, 최운실, 권두승, 이상오(1998). 『신교육사회학탐구-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새로운이해- 』. 교육과학사
최정숙, 박용헌(2004). 『교육사회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2.15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