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와 아동보호사업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학대와 아동보호사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아동학대의 이해
1) 아동학대의 정의
2) 아동학대의 유형과 후유증
(1) 신체적 학대
(2) 정서적 학대
(3) 성적 학대
(4) 방임

2. 아동학대의 발생에 관한 이론적 관점
1) 정신병리적 관점
2) 발달론적 관점
3) 사회환경적 관점
4) 생태체계적 관점
5) 사회정보처리적 관점

3. 아동학대 현황과 아동 보호 사업
1) 학대 아동과 아동 학대자의 현황
2) 아동학대 보호사업
(1) 아동보호서비스 전달 과정
(2) 아동학대 예방 서비스

4. 아동학대 예방 및 아동보호사업의 과제
1) 아동학대와 방임의 정확한 개념 규정
2) 아동학대 신고 의무자에 관한 규정
3) 국민의 인식 전환을 위한 지역사회 교육과 캠페인의 활성화
4) 아동학대 전문상담원의 전문성 강화
5)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연계성 확충

<참고자료>

본문내용

나 잠재적 상해를 어느 정도로 중요하게 다루느냐에 따라 사회적 개입 여부가 결정됨.
넷째, 지역사회의 문화적 다양성.
아동학대에 대한 문화적으로 적절한 정의를 구성하는 3가지 단계.
아동 양육 행위와 믿음에 대한 문화적 차이. 한 문화권 안에서는 용인되지만 다른 문화권에서는 학대 및 방임으로 여겨 아동학대를 정의하는 갈등의 가능성이 증가.
용인된 행위에 대한 문화적 연속성으로부터 특이한 일탈. 여기서 일탈이란 그 문화에서 용인하는 범주에서 벗어나는 행위를 금지하는 규범을 어길시 아동학대로 여겨짐.
아동에 대한 사회적 해악 즉, 빈곤, 부적절한 주거, 부적당한 건강보호와 영향 부족등은 아동학대로 여겨질 수 있다.
아동학대의 정의에 관한 불일치의 문제
각 주마다 아동학대에 관한 각각의 정의가 강조하는 법과 서비스가 상이한 문제점.
사법계, 교육계, 의료계 등 여러 계열 내에서도 아동학대 정의에 관한 다른 관점.
문화적 다양성을 아동학대의 정의에 있어서 어느 정도까지 인정할 수 있느냐의 문제.
-기타 국가들보다 체벌 용인도가 학교나 가족에서 높은 편이기 때문에 문화적 고유성을 무시한 채 미국의 아동학대에 대한 규정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설정.
법적 정의를 종합한 아동학대의 정의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하여 18세 미만 아동의 건강, 복지를 헤치거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폭력 또는 가혹 행위 및 아동의 보호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와 방임을 말한다(아동복지법 제2조 4항).
위의 법적 정의를 종합하면 아동학대란 가정 내 부모 및 양육자를 일차적으로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가하는 신체적ㆍ성적ㆍ정서적 학대와 더불어 물리적ㆍ교육적ㆍ정서적ㆍ의료적 방이 행위.
출처: 중앙아동전문보호기관 http://www.korea1391.org/
2) 아동학대의 유형과 후유증
(1) 신체적 학대
-아동의 신체에 손상을 주는 학대행위(아동복지법 제 29조 제 1호)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우발적인 사고가 아닌 상황에서 신체적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신체손상을 입도록 허용한 모든 행위이다.
-멍, 화상, 찢김, 골절, 장기파열, 기능 손상의 원인이 되는 행위 : 물건을 던지는 행위,
떠밀고 움켜잡는 행위 , 뺨을 때리는 행위 , 물건을 사용하여 때리는 행위 , 발로 차거나 물어뜯고 주먹으로 치는 행위 , 두들겨 패는 행위 , 총ㆍ칼 등의 흉기, 화학물질 혹은 약물 등을 사용하여 신체에 상해를 입히는 행위 , 반복적으로 꼬집는 행위 , 전기충격 , 물에 빠뜨리는 행위 , 뾰족한 도구(바늘, 포크, 이쑤시개 등)를 이용하여 찌르는 행위 , 할퀴는 행위 , 몸을 거꾸로 매다는 행위
-생후12개월 이하의 영아에게 가해진 체벌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심각한 신체학대이다.
의심 신체적 상해의 특성
-1차 신체적 학대: 골절, 두개골 훼손, 심한 화상 등 포함
-2차 신체적 학대: 작은 멍, 약한 화상 등 포함
신체적 학대를 의심할 수 있는 상해의 특성
아동 발달의 수준을 고려한 아동 상해의 특성(예, 유아가 대퇴부나 허벅지 상단 부분의 골절을 혼자 일으킨다는 것은 거의 불가든하기 때문에 이러한 외상적 상해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는 것).
상해의 모양으로서 신체적 학대를 확인할 수 있는 벨트 모양의 자국이나 사람의 이, 손, 옷걸이, 다리미 자국등을 의미한다.
상해 자국의 위치. 아동이 어딘가에서 떨어지거나 무언가와 부딪히면 턱, 이마, 손, 팔꿈치, 무릎, 정강이 등을 주로 다치게 된다. 허벅지, 팔뚝 부분, 생식기 및 직장 극처, 엉덩이나 다리 뒷부분, 몸통에 난 상해 자국은 떨어지거나 부딪힌 자국으로 볼 수는 없다.
아동 상해의 유형이다. (예, 골단이 형이상학적이거나 나성형인 골절은 아동을 폭력적으로 흔들거나 폭력적으로 밀거나, 집어던지거나, 팔다리 등의 간 뼈를 비틀어서 생긴 자국으로 볼 수 있다, 아동의 목에 있는 질식 자국 역시 의도적인 신체적 학대로 의심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난 상해 자국과 새로운 상해 자국의 수와 형태이다. 신체적 학대의 경우, 아동에 대한 신체적 공격 행위가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신간의 차이를 두고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계속해서 나타나는 상해 자국들은 우발적 부상으로 간주하기 어려우며, 보호자가 상해가 발생할 때마다 치료기관을 바꾸는 경우 사고일 가능성을 희박해진다.
출처: 중앙아동전문보호기관 http://www.korea1391.org/
신체적학대의 후유증
-신체적 학대로 인해 아동은 정신 지체와 언어 장애를 경험하기도 한다.
-발달지연과 중추신경계 장애, 정신지체, 과잉 운동성, 충동성, 언어 발댈 장애 등 자아 기능의 손상, 신체적심리적 충격으로 소멸, 유기당할 위협을 느낀다.
-심한 공황 상태에 빠지는 급성 불안 반응, 근본적 신뢰를 이루지 못하는 병적 대인관계, 부모의 잘못을 인정하지 못하고 억압하는 강한 부정과 투사 등 원시적 방어기제의 사용, 가정이나 학교에서 공격적파괴적 행동.
-청소년의 경우는 반사회적 행동 및 비행 등 충동 조절이 손상된 면모를 보이며, 슬픔, 낙심, 모욕감 등을 느끼는 자아 개념의 손상을 보인다.
-극단적으로는 자살 기도나 위협 등 자학적파괴적 행동, 집중력장애, 과잉운동, 인지 손상 등에 의한 학교부적응 등 심리적정서적 후유증을 보인다.
-부모에 대한 애착, 아동 자신 및 주변세계에 대한 내적 신념이 손상되기도 하며, 아동은 자신을 무능하다고 인식하며, 자신에 대해 나쁜 감정을 느끼게 되고, 자신은 타인으로부터 사랑받을 가치가 없는 사람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2) 정서적 학대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학대 행위(아동복지법, 29조 제1호)
-정서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행하는 언어적 모욕, 정서적 위협, 감금이나 억제, 기타 가학적인 행위를 말하며 언어적, 정신적, 심리적 학대라고도 한다. 정서학대는 눈에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도 아니고 당장 그 결과가 심각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그냥 지나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더욱 유의하여야 한다.
-원망적·거부적·적대적 또는 경멸적인 언어폭력 등, 잠을 재우지 않는 것, 벌거벗겨 내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12.16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7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