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와 복지서비스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학대와 복지서비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서론

Ⅱ.본론
1. 아동학대의 이해
2) 학대 피해아동 문제와 유형
3) 아동학대의 원인과 후유증
4)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정책
2. 아동학대 현황
1) 아동학대 신고 현황
2) 아동학대 유형별 현황
3) 피해아동의 성별 및 연령 현황
4) 학대행위자의 특성과 서비스
3. 아동학대 예방체계
1) 아동학대 예방체계의 발달배경
2) 아동학대 예방센터의 설치 현황
3) 아동학대 예방센터의 역할과 기능
4) 아동학대서비스 관련기관의 역할과 기능
5) 상담원이 갖추어야 할 적성 및 능력
6) 아동학대의 예방과 치료
4. 아동학대 개입 원리 및 실제
1) 아동학대 개입 원리
5. 아동학대 사례
<참고자료 : 서울시 아동복지센터 아동학대 사례 자료집(2008)>
1) 사례개요
2) 사정
3) 개입

Ⅲ.결론
1. 아동학대예방 및 사후관리에 대한 의견
2. 느낀점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 안정됨으로 상담원의 질문에 잘 응하였다. 아동의 몸에 학대로 의심되는 멍과 상처들은 지속적 학대임을 알 수 있게 해주었다.
학대상황
친모의 학대는 효자손으로 아동을 때리는 것과 장시간 벌을 주는것이라고 하였으며, 벌은 무릎을 꿇고 밤새 잠을 못자게 하거나 자신의 목을 졸라 목에 상처를 내는것이라 하였다. 아동은 학대상황이 언제부터 이루어진지는 모르나 강아지가 집에 온 이후부터 친모에게 맞은 것이라 기억하고 있었다. 강아지는 현재 2살이며 새끼였을 때 아동의 집에 왔다고 하였기에 학대시기는 1~2년전으로 추정된다. 아동에게 실시한 HTP에서 나무의 나이를 보아 아동의 학대상황은 6세부터라고 추정되어진다.
아동의 호소문제
아동은 엄마가 없는 곳에서 할머니와 단둘이 살기를 원했으며 본 기관이 가정방문을 하겠다는 말에 “집에 오면 안돼요, 엄마 화내요, 엄마 없을 때 오세요.”라는 말로 집에 오는 것에 대한 두려운 모습을 보였다.
(3) 상담
① 1차 상담
친모는 아동이 언니와 자주 심하게 싸워 그로인해 상처들이 났고, 집에 키우는 강아지가 아동을 자꾸 물어서 손에 상처들이 있다고 하였다. 상담원이 아동의 허벅지에서 멍을 발견하였다고 하자, 얼마전 친모가 잠시 집을 비운사이 아동이 친모의 집감에서 돈을 훔치고 거짓말을 하여 허벅지를 때린적이 있다고 하였다. 친모의 말에 의하면 아동은 거짓말을 자주 하는데 할머니 손에 자라서인지 거짓말을 잘하고 학습능력도 떨어진다고 하였다. 본 기관에서 외조모에 대해 조사해보자, 외조모 또한 친모에게 학대를 받은 경험이 있고 학대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사실이 있다고 한다. 아동의 가정은 내년쯤 분가를 할 예정이며 이사를 가게되면 아동을 조모의 집에 둘지, 데리고 갈지에 대해 고민이라고 하였다.
② 2차상담
아동이 동네 주변을 돌아다니며 이웃으로부터 끼니를 얻어먹는다는 신고로 아동을 찾으러 주변조사를 하였으나, 상황이 긴급해져 아동의집으로 찾아갔다. 아동은 부엌 구석에 앉아있었고, 친모는 자신의 집안일에 대해 신경을 쓰지 말라며 화를 내었다. 아동은 입학을 미룬 상태로 친모의 말에 의하면 언니와 자주 싸울것이 염려되어 학교를 유예시켰다고 한다.
어머니와의 긴 상담을 통해 서울시 아동복지센터로 일시보호를 요청하였으며 아동은 상담원의 말에 따라 짐을 챙겨 바로 따라나왔다. 아동은 집 안에서는 어머니의 눈치를 보며 학교는 안가도 된다고 하였으나 상담원에게는 학교를 다니고 싶다고 하였다.
③ 3차 상담
아동의 친모의 2차 상담 후 아동을 본 기관으로 데려와 시설 입소에 대한 아동의 의견에 대해 다시 상담을 진행하였고, 아동의 의견을 반영하여 서울시 아동복지센터에 입소하였다. 입소 후에도 아동은 친모가 자신을 데리러 오지 않을까 하며 걱정하였다.
④ 4,5차 상담
4차 상담에서는 장기보호시설에 입소하였으며 5차 상담에서는 장기보호시설 입소 후 아동의 외조모, 양부와 함께 아동을 만났다. 외조모와 양부는 가정으로 돌아가자고 설득하였으나 아동은 거부하였다.
(4) 조치결과 및 사후계획
아동은 가정으로부터 분리되어 서울시 아동복지 센터에 일시보호 되었으며 아동의 몸과 마음을 안정적으로 다스릴 수 있도록 장기시설로 입소하였다. 앞으로 양부와의 지속적 상담을 통해 가정 내 아동과 친모의 중재자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며 아동이 원가정으로 복귀하도록 할 것이다. 장기보호시설에서는 아동이 받았던 심리, 정서적 상처들을 치료할 것이다.
Ⅲ.결론
1. 아동학대예방 및 사후관리에 대한 의견
첫째, 재 학대 방지를 위하여 피해아동과 가족 내 학대행위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및 치료, 모니터링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서비스의 다양화 및 전문화, 개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아동학대예방센터의 주된 서비스는 개별상담 및 집단상담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으므로 아동학대 사례유형별 개입매뉴얼 개발 등 전문프로그램 연구 및 개발을 통해 아동학대 사례유형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전문상담원의 인력확충과 함께 미술치료나 운동치료와 같은 전문적 치료능력을 가진 개별영역 전문가의 배치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2. 느낀점
외국의 경우 지나다가 어느 집의 아이가 맞고 있거나 심하게 혼나는 것을 볼 경우, “무슨 일이냐” 고 물어본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는 아이들의 일기장에 부모에게 맞았다는 내용이 쓰여져 있을 경우 교사가 신고를 하도록 되어있다. 흔히 외국은 개인주의 사회라 남의 일에 관심이 없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어린이에 관한 일만큼은 주위의 성인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며 혹시나 발생할 사고에 대해 경계한다.
또한 우리나라도 우리의 어린이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주위의 아동이 학대나 방임과 같은 상황에 처한 것을 볼 때 적극적으로 신고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신고제도가 보편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동학대 예방의 시작은 ‘관심’과 ‘신고’에서 온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상 가정 일은 전적으로 그 가정 내에서 쉬쉬하며 해결하는 경향이 있는데, 아동의 권리와 건강한 성장을 위해 이제는 우리도 바뀌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언제까지 가정사라는 명분하에 학대를 받고 있는 아이들을 방치해둘 수는 없다. 무엇보다도 아동학대의 심각성과 예방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일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것처럼 다방면으로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하여야 한다. 또한 가족, 아동관련종사자, 아동 스스로에게 아동학대의 개념과 대처방법에 대하여 교육하는 일도 필수적일 것이다.
참고자료
보건복지부. 아동학대 예방대책 및 영유아 보육사업의 활성화 방안. 1995년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09), 2008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위기청소년 지원시설과 지원정책 현황 및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최영희 .2005
아동복지법
아동학대예방업무매뉴얼,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아동학대예방센터,2002
신고의무자가 알아야할 아동학대 예방사업, 김성호,이호균.2002
아동보호전문기관 평가 결과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2009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9.12.16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