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년, 청년기 공교육기관 경제교육과 이를 통한 고객 유치 및 잠재적인 고객 유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년, 청년기 공교육기관 경제교육과 이를 통한 고객 유치 및 잠재적인 고객 유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초등학교 경제교육의 오늘
1) 청소년 금융이해력 및 생활 실태
2) 청소년 금융이해력에 영향을 미친 요소
3) 청소년 금융교육의 발전과제
(1) 학교 금융교육 확충
(2)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연계
(3) 매스컴 및 정보화 환경의 활용
(4) 소외계층 청소년 대상 금융교육

2. 선진국 실례를 통한 현 경제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및 개선되어야 할 방향과
기업의 역할
1) 미국 경제 교육 내용 체계로서의 ‘자발적 내용 표준(Voluntary National Content Standards in
Economics)’
2) 활동 중심 경제 교육으로서의 '체험 경제학(Economics in Action)'
3) Understanding Economic Education Programs in US Elementary Schools
(미국 초등 경제교육 프로그램들의 이해)
(1) 미니 경제 프로그램
(2) 미니 경제의 유형

3. 미니 경제 프로그램에 따른 기업의 역할
1) 기존 실시되었던 초등학교 저축, 절약 중심의 경제 교육
2) 금융 저축 교육의 긍정적 효과의 실질적 예시
3) 저축 중심의 교육으로 금융지식 부족으로 인한 기회의 상실과 문제점

4. 기업경영과 동시에 교육을 병행하는 기업의 실례

5. 구체적인 교육방향의 제시와 여론조사

6. 교육용상품의 제안

7. 실질적 미니경제 프로그램운용의 제안

8. 미니경제 프로그램 도입의 부정적 시각 및 문제점

9. 맺는 말

본문내용

육을 시도하고 강화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지만 교과서를 이용하는 경제교육은 몇 가지 한계를 갖고 있다. 첫째, 현재의 교과서는 이전에 비해 많이 개선되기는 했지만, 경제 관련 내용이 여전히 단편적인 지식 전달과 개념 정의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물론 경제교육에서 경제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 그렇지만 경제학이 존재하는 이유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원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학생들에게 단순히 경제 개념의 정의를 정리하고 전달하는 것은 진정한 의미의 경제교육이 아니다. 경제교육의 목표는 선택하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그에 따른 결과를 이해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를 받아들일 줄 아는 책임감을 심어주고, 기본 경제 개념을 이용해서 개인적 · 사회적 문제를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데 있다. 그렇지만 불행하게도, 현재의 교과서를 가지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아니면 그만큼 교사들이 교과서를 재구성하고 자료를 준비하고 이를 소화한 후 학생들에게 전달해야 하지만, 이 역시 현실적으로 무리한 요구이다. 둘째, 학교에서의 경제교육은 실질적인 내용 위주로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들이 졸업한 후 사회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만 현재의 교과서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에 부족하다.기업의 종류나 하는 일을 아는 것도 필요하지만, 실제로 기업을 시작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Kourilsky, 1995). 시장에서 가격이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자신이 만든 물건이 수요자에 의해 수요되고, 자신이 직접 다른 기업가가 만든 물건을 수요함으로써, 가격이 결정되는 과정을 직접 체험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정부의 정책에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있으며, 불경기에 이자율을 내리는 정책을 사용한다는 것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부가 이자율을 내릴 때 나의 소비에, 우리 가계에, 우리 기업에, 우리 국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이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이처럼 실제 생활에서 반드시 필요한 내용과 지식을 현재의 교과서만을 가지고 습득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3) Understanding Economic Education Programs in US Elementary Schools
(미국 초등 경제교육 프로그램들의 이해)
(1) 미니 경제 프로그램
학생들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것과 실제로 사회에서 경험하는 것 사이에 발생하는 불일치는 John Dewey의 관심사항 가운데 하나였다. 이러한 불일치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듀이는 학교가 축소(miniature) 사회나 태아 같은(embryonic)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그리고 듀이와 그의 추종자들이 설립한 학교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 관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였다.이후 진보적인 교육 흐름에 발맞추어, 이러한 축소 사회 개념은 전반적으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70년대에 들어와 학교에 축소 사회들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부활하기 시작했으며, 그러한 노력 가운데 하나가 바로 미니 경제 프로그램들이다(Bennett, 1976).
미니 경제는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능력 안에서 운영되는 축소 모형의 경제시스템을 의미한다. 활동에 필요한 의사결정이나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벌이는 토론을 통해, 학생들은 문제해결 능력을 습득하게 된다.미니 경제 프로그램은 하루에 한 시간 정도, 일주일에 2∼3일 정도, 그리고 보통 한 학기 동안 진행된다. 주로 초등학생들을 위주로 개발되었지만, 중학생들도 프로그램의 적용 대상이 되고 있으며, 고등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확대도 가능하다. 심지어 유치원생을 위한 미니 경제 프로그램도 있다.
미니 경제 프로그램에는 일반적으로 경제학 강의, 학급 경영, 기본 기능의 적용, 돈 관리의 4가지 기본 요소가 포함된다. Day and Ballard(1996)는 미니 경제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효과와 장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미국 내에서는미니 경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교사는 각 주에 있는 대학교나
경제교육센터에서 제공하는 워크샵을 이수해야 한다.
미니 경제 프로그램에는 일반적으로 경제학 강의, 학급 경영, 기본 기능의 적용, 돈 관리의 4가지 기본 요소가 포함된다. Day and Ballard는 미니 경제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효과와 장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자료: Day and Ballard미니 경제의 4가지 기본 요소
첫째, 미니 경제는 경제 개념을 가르치는 데 도움을 준다. 교사는 미니 경제를 통해 희소성, 기회비용, 화폐, 생산성, 수요와 공급, 거래, 이윤, 인플레이션과 같은 중요한 경제 개념을 가르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더욱이 미니 경제에서는 이들 경제 개념들이 분리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처럼 사실적이며 통합적으로 나타난다.둘째, 미니 경제는 다른 교과와 쉽게 통합될 수 있다. 현장에서 직면하는 어려움 가운데 하나는 가르칠 내용에 비해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미니 경제를 통해 학생들은 경제와 관련된 기본 개념과 원리를 배우고 자연스럽게 익히게 될 뿐 아니라, 토론 및 투표활동을 통해 사회과 교육의 근본 목표인 민주시민 교육까지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진행하다 보면 학생들이 보고서도 작성하게 되고, 이력서도 써야 되고, 어떤 경우에는 사업계획서나 취업지원서도 작성해야 한다. 이런 활동은 국어교육과도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다. 이 외에도 미니 경제는 미술, 도덕, 수학과도 깊은 관련을 갖고 있다.셋째, 미니 경제는 학생들의 학습을 향상시킨다. 미니 경제를 통해 학생들은 대리 경험이 아니라 실질적인 경험을 하게 되며, 학습에 있어서 수동적이 아니라 능동적인 역할을 하게 되고, 실제적인 의사결정을 하며 그 결과를 경험하게 된다.니 경제를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경제 시스템에서의 의사결정자가 되며, 전통 교육에서 종종 소홀해지기 쉬운 적용, 분석, 종합, 평가와 같은 제를단계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9.12.17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8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