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게임과 오프라인 상의 수산업체와의 연계에 의한 비즈니스 모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온라인 게임과 오프라인 상의 수산업체와의 연계에 의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모델명
2. 모델의 개요/필요성
3. 국내외 시장 분석
3.1 온라인 시장 분석
3.2 수산업계 분석
4. 모델 세부 설명
4.1 시스템 운영 방법
4.2 배송 방법
4.3 서비스(게임) 세부 설명
4.4 수익성 측면

본문내용

것이고, 게임 유저들에게 부담 없이 다가가기 위함이다. 낚시 게임 내에서 낚시대과 떡밥이 상당히 중요한데 이런 중요한 아이템은 캐쉬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게하므로써,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며 게임 상에서 낚시터의 배경을 넣게 되는데 이 배경이 되는 곳에 포털 싸이트나 베너광고를 넣을 수 있게 제작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광고비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제휴하는 수산업체의 물고기의 크기, 무게를 직접 측정하여 게임 상에 띄우고 그 물고기를 직접 배송하는 것이기 때문에 양어장과의 제휴를 통해 싼 값으로 생선을 거래하는데 이에 따른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하지만 게임 상에서 낚시대, 장소 홍보로써 광고비 효과가 크기 때문에 이는 수익성 측면에서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임은 지속적인 유저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임을 하는데 지루함이 이어지면 유저의 관리가 힘들기 때문에 서비스와 각종 이벤트(월별 낚시왕, 연별 낚시왕등) 를 통하여 게임 유저를 관리하는 방식을 취한다. 또한 게임 안에 물류시장을 형성하여서 그 안에서 직접 낚지 않은 물고기도 사고 팔 수 있는 유통망도 형성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수산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시장이 형성되면 여기서 고기를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제휴 시 수익과 거래 시 수수료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5. 기대효과
이 비즈니스 사업은 참신한 소재로써 대중에게 어필할 확실한 서비스가 있기 때문에 시장에서 점유율 확보하는데 강점을 띄고 있다. 게임 사용자들이 게임을 통해 직접 상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온라인 게임 사용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면이 크다. 또한 시간적, 공간적인 한계를 넘어서 낚시를 하고 싶으나 못하는 사람들에게 만족감을 충족시켜 줄 수 있고, 잠재적인 낚시인들을 흡수할 수 있다. 게임 상에서 처음에 작은 물고기를 쉽게 낚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게도 접근성이 쉽고, 흥미를 끄는데 좋은 비즈니스 사업이다. 최근 온라인 유통시장이 커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본 비즈니스 내의 시장형성으로 고기가 유통되는데 있어서 비용이 절감되며 게임내의 수산업거래를 원하는 유저들에게 강하게 어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장 중요한 기존의 리얼리티가 없었던 게임방식과는 완전히 차별된 낚시를 해서 고기를 낚으면 집에 고기가 배송되어 온다는 신선한 주제를 가지고 다가가기 때문에 시장 확보가 계획되로 진행된다면 큰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17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81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