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오디오,돌비디지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지털오디오,돌비디지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돌비 디지털 (Dolby Digital, AC-3)

2. DTS (Digital Theater System)

3. SDDS (Sony Dynamic Digital Sound)

4. SACD

5.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6. THX (Tomlinson Holman\'s eXperience)

본문내용

것으로 생각되며, 인터넷 방송 시장의 선점을 노리는 마이크로소프트, 선, AT&T, 모토롤러, TI 등 미국업체, 마쓰시타, 도시바, 샤프, NTT, 소니 등 일본업체, 프랑스텔레콤, 톰슨, 필립스, 프라운 호퍼 연구소, HHI연구소 등 유럽업체들은 MPEG 관련 기술과 개발과 표준 선점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ETRI와 대우, 삼성, 현대, LG 등이 MPEG-1과 MPEG-2의 표준화에는 신경쓰지 못하다가 MPEG-4 표준화부터 참여하기 시작했다. 또한 MPEG-4가 MPEG-1/2와 차이점이라면 MPEG-4는 객체 지능 대화형 구조를 채택해 각 객체를 분할해 압축한다는 것이다. MPEG-1/2가 고화질의 결과물을 얻는 데 치중했다면 MPEG-4는 영상과 오디오를 각각 하나의 객체로 분할해 압축하므로 영상에 최적화된 압축 방법과 오디오에 최적화된 압축 방법은 각각 다를 수밖에 없다. 즉 MPEG-4를 이용하면 각 데이터에 적합한 압축 방식을 이용해 압축 효율을 높이면서도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특정 데이터만 선택하는 것도 가능한데, 동영상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오디오 레이어를 한 단계 낮추는 작업은 이런 원리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 볼 수 있다.
6. THX (Tomlinson Holman's eXperience)
-THX Sound System이란 1982년 조지 루카스 감독이 "Return of the Jedi"를 제작하던중 보다 사실적인 사운드를 관객들에게 들려주고자 루카스필름의 기술 감독인 Tomlinson Holman을 통해 당시의 사운드 문제점을 찾기 시작한데서 비롯된다. 이때 Holman은 극장의 관객들은 영화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음향을 그대로 들을 수 없으며, 이는 많은 부분의 음향이 빠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의 이러한 혁신적인 접근은 사운드 장비만큼 극장의 음향 상태 역시 중요하다는데서 기인하고 있으며, 이는 곧 기존의 표준과 함께 통합되기에 이르렀다. THX란 이름은 루카스가 이를 도입한 첫 번째 영화인 THX 1138에서 유래되고 있으며, 결국 영화 제작사에 의해 녹음된 사운드와 똑같이 영화 사운드를 재현하기 위해 디자인된 것이다. 위의 그림은 조지루카스필름사가 내세운 음향 교과서 THX의 로고이다.
1) THX
-THX는 루카스 필름에 의해 개발된 표준으로 영화팬들이 영화를 감독이 의도하고 있는 최적의 레벨로 보고,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THX 표준은 장비에 최적화하기 위한 엄격한 스펙 디자인과 음향 공간, 배경 소음 정도 및 영상과 이를 보는 방향 등을 모두 포함하는 매우 포괄적인 명세를 가지고 있다. 즉, THX는 극장에서의 관람석 그 자체를 대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THX 시스템의 발전은 그간 40여년 동안의 실내음향학 및 돌비 서라운드 스테레오의 출현 및 그 발전에 크게 힘입고 있다. 그러므로 THX는 돌비 서라운드 스테레오가 영화관의 입체음향 창조에 의한 하드웨어적 음향 개선이라고 한다면, THX시스템은 음실 개선을 위한 총체적인 소프트웨어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THX 시스템은 돌비 디지털, DTS 등등의 하드웨어적 접근과는 충돌하지 않고, 오히려 상호 보완적인 음향개선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루카스 필름사에서 만든 기술 규약으로서 하나의 사운드 포맷이 아닌 재생기기, 재생공간의 음향학적 특성, 배경에 남아있는 잡음, 영화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영화재생에 관련된 환경을 감독이 원래 의도한 그대로에 따라 재생하도록 해주는 재생 환경 관련 기술 표준이다. 이렇듯, THX는 각 관객석과 스크린 스피커의 설치 방법, 음향의 교차망, 엄격한 오디오 장비 규격 등을 위해서 주문형으로 제작된 음향 공간 디자인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극장에서는 THX 사운드 시스템이 설치되기까지 엔지니어들이 THX 환경 기술 표준과 양질의 비주얼, 사운드 표현에 대한 업계 표준을 만족하기 위해 테스트를 하게된다. 결국 극장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적의 상영 환경을 재점검하게되는 것이다.
2) Home THX
-홈 THX란 극장의 필름 사운드를 가정에 도입하여 극장에서와 유사한 감동을 느껴보자는 새로운 음향적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영화들은 극장에서 상영될 때 더빙 스태이지(dubbing stage) 라는 장치를 통해서 재생된다. 이로써 사운드 트랙은 극장에 맞게끔 최적화된 음향을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 Home THX는 극장에 최적화된 사운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인데, 첫째로, 극장의 음향을 가정 환경에 맞게끔 변형시키는 전자 회로를 살펴볼 수 있다. 흔히들 이것을 Cinema Re-EQ회로라 부르는데, 이것은 음색을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무상관화(de-correlate)는 모노인 서라운드 채널을 서로 상관없는 신호로 만드는 역할을 하여 서라운드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모노 음향의 정위감을 없애게 된다. 즉, 서라운드가 모노 음향이란 것은 청취자를 둘러싸는 듯한 느낌을 주어야 하는 서라운드의 역할에도 불구하고 음향이 센터에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허상적인 센터 정위감을 없애고 단지 음장감만을 존재하게 만드는 것이 THX의 무상관화이다. 둘째로, 5개 이상의 채널을 재생하는데 적합한 스피커를 설계 디자인한다. 프론트 스피커는 스피커의 음이 수직으로 분산되어야하고, 서라운드 스피커- 쌍극스피커를 사용하며, 서브우퍼 스피커는 재생 주파수영역이 최저 20Hz까지 지원된다. 최종적으로 정리하자면 결국 THX의 6채널이란 LD, 비디오 테잎등의 돌비 서라운드가 인코딩된 2채널 스테레오 신호를 프로로직 디코더를 거쳐 4채널 신호로 변환하고 이 중 서라운드 채널을 무상관화시켜 2채널로 나누고, 서브우퍼 출력 채널을 포함해서 6채널이란 의미이다. 홈 THX는 팀버 회로 덕분에 과도한 처리가 없다. 센터에서 리어까지 힘있게 튀어나오는 소리는 마치 관제탑에서 비행기의 이륙을 지켜보듯 안정된 장면을 느끼게 하고, 더욱 깊어진 저역의 깊이, 차분하게 퍼지는 잔향처리, 또렷한 대사의 전달 등은 사람을 놀라게만 하는 서라운드 음향과는 차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매스컴론,   돌비디지털,   dts,   sdds,   sacd,   mpeg,   thx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2.24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