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구의 구조
2. 판구조론의 발달
1) 지판경계선의 형태
2) 암석집합체와 판구조
3. 지판의 운동
1) 지판의 구조
2) 지판의 운동률
3) 지판운동의 형태
4. 조산운동과 판구조론
1) 판의 경계와 형태
5. 판구조 운동의 증거
1) 지형의 변화
2) 지진활동
3) 화산활동
4) 지진과 화산의 분포관계
6. 판구조운동의 메카니즘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지구의 구조
2. 판구조론의 발달
1) 지판경계선의 형태
2) 암석집합체와 판구조
3. 지판의 운동
1) 지판의 구조
2) 지판의 운동률
3) 지판운동의 형태
4. 조산운동과 판구조론
1) 판의 경계와 형태
5. 판구조 운동의 증거
1) 지형의 변화
2) 지진활동
3) 화산활동
4) 지진과 화산의 분포관계
6. 판구조운동의 메카니즘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 길게 발달한 산안드레아스 단층은 대표적인 변환 단층으로 지금도 단층을 경계로 해안 쪽과 내륙 쪽이 서로 엇갈리게 움직이고 있으며, 그 결과 격렬한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2) 지진 활동
판의 경계부에서 판들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가장 직접적인 현상이 지진이다. 따라서 판의 경계부와 지진의 발생 지역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대륙판과 충돌하여 해양판이 침강해 들어가는 수렴경계의 경우, 해양판이 침강해 들어가면서 일으키는 마찰은 지속적이며, 다양한 강도의 지진을 발생시킨다. 지진은 발생 깊이에 따라 천발 지진, 중발 지진 및 심발 지진으로 나뉘는데, 주로 침강 경계의 대륙 쪽으로 점점 멀어질수록 지진의 심도는 깊어진다. 이들 지진을 처음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 베니오프 지진이라 하며, 환태평양 조산대를 따라 띠 모양으로 분포하고 있는 이것을 베니오프대라고도 한다. 확장 경계에서는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분출할 때, 충격으로 지진이 발생하는 데 이들 지진은 중앙 해령을 따라 발생하는 해저 지진이다.
3) 화산 활동
확장 경계에서의 화산 활동은 해저에서와 육상에서가 다소 다르다. 중앙해령에서는 현무암질 베개 용암(pillow lava)의 분출이 대표적이나 대륙판내의 열곡대에서는 현무암질과 유문암질 양쪽의 용암 분출이 특징적이다. 수렴 경계 중 해양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는 해구에서는 침강해 들어가는 해양판이 지구 내부 깊이 들어감에 따라 온도와 압력이 증가하여 부분 용융이 일어나 마그마가 생성되며, 다시 지각의 얇은 틈을 따라 분 (열곡)
출하게 되는데 안산암질 화산 활동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확장 경계 및 수렴 경계의 화산 활동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그 두 경계가 놓인 지체 구조의 차이로 말미암아 마그마를 생성하는 기구가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판 내부에 위치하는 열점(hot spot)은 지구 내부 에너지를 분출하는 또 다른 통로이다. 하와이의 킬라우에아 화산은 열점 위에 놓여 끊임없이 마그마를 분출하고 있으며, 화산 분출의 장관을 구경하기 위해 일년 내내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다. 이 열점에서 분출하는 마그마는 판경계에서 분출되는 마그마와 성분상 전혀 달라, 열점 기원과 관련한 새로운 이론이 플룸(plume) 구조론의 원인이 되고 있다.
4) 지진과 화산의 분포관계
전 세계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점을 표시하면, 주로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태평양 주변의 대륙의 연안이나 섬들에 걸쳐 집중 분포하고 있으며 히말라야 산맥을 따라서도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바다에서는 태평양의 동쪽 해저와 중앙 대서양 해저의 남북 방향을 따라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화산의 분포 지역도 지진의 분포대와 거의 겹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진이나 화산은 특정 지역에 집중하여 발생하거나 동일 지역에 반복해서 일어나고 있다. 이들 지진은 지각을 구성하는 판들이 각기 움직일 때 판 경계부에서의 상호 작용에 의한 충격이며 화산도 그 부산물인 것이다. 판구조론의 핵심은 판과 판들이 상호 작용하는 무대인 판 경계부의 종류를 구분하고 판구조 운동의 산물인 화산이나 지진 같은 지질 현상을 통하여 다양한 판 경계부의 모습을 이해하는 것이다.
(화산과 지진대의 분포)
6. 판구조 운동의 추진 메카니즘
앞에서 우리는 판구조론의 원리와 지판운동의 형태와 비율, 지판의 분리작용과 충돌의 결과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러면 무슨 힘이 이 지판을 움직였을까?
맨틀의 대부분은 고온의 고체이며, 1년에 약 1㎝의 속도로 액체처럼 유동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암권은 깨져서 굳은 지판으로 되며, 암권 아래에 있는 맨틀내에서 유동하면서 맨틀의 운동에 대해 반응한다. 규명하고자 하는 원리에 관한 자료들이 많으면, 그 만큼 많은 학설이 대두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확장대에서 고체 해령의 무게에 의하여 밀리는 지판도 있고 섭입대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무거운 판에 의하여 끌려가는 지판도 있다. 또 다른 경우는 지판들이 밑에 있는 암류권 내의 대류에 의해서 드래그되는 것도 있다. 판구조운동은 각 과정이 단편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용융된 물질은 상승하고 냉각되어 굳어진 물질은 밑으로 내려가는 매우 복잡한 대류운동에 의한다는 것을 알았다.
또 다른 이론은 뜨겁게 분사하는 것과 같은 열적 플룸은 맨틀의 바닥에서부터 상승하며, 지판이 성장할 수 있도록 물질을 공급하며, 플룸이 거의 나타나는 확장대 중심에서 측면으로 운동한다고 하는 내용이다. 이들 동일한 플룸들은 열점에 의하여 표면에서 입증되었다.
Ⅲ. 결론
이제까지 지구의 구조와 판구조론의 발달, 지판의 운동, 그리고 조산운동과 판구조론의 관계, 판구조운동의 증거와 판구조 운동의 추진 메카니즘에 대해 살펴보았다. 판구조론은 대륙이동설과 해양저 확장설의 발전된 이론으로 우리에게 과거, 현재의 지구모습과 함께 미래의 지구의 모습도 추측 가능하게 한다. 이 시각에도 판들은 서로 서로 서서히 움직이고 있으며, 지구의 표면을 가로질러 거대한 대륙을 끌거나 밀어 주면서 끊임없이 지구의 모습을 변화시켜 오고 있다. 항상 지각운동이나 다른 메카니즘으로 우리에게 신호를 보내는 지구를 좀 더 과학적으로 접근, 이해하고 또 지구를 진정으로 아끼는 마음을 가져야할 것이다.
♠참고문헌
지질학원론 1992. 신성문화사. 원종관 외 5명
이우평의 지리세상 http://ssrr.new21.net/frame.htm
미국 지질탐사국 http://pubs.usgs.gov/publications/text/dynamic.html
대륙이동설 http://nongae.gsnu.ac.kr/~jbchoi/index/earth/2-4.htm
김채원의 과학교실 http://user.chollian.net/~xcv/
판구조론 http://www.muohio.edu/tectonics/Active%20tectonics.html
http://my.dreamwiz.com/nyoungs/
http://geology.kangwon.ac.kr/menu/frame2.htm
http://stratigraphy.cheju.ac.kr/
2) 지진 활동
판의 경계부에서 판들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가장 직접적인 현상이 지진이다. 따라서 판의 경계부와 지진의 발생 지역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대륙판과 충돌하여 해양판이 침강해 들어가는 수렴경계의 경우, 해양판이 침강해 들어가면서 일으키는 마찰은 지속적이며, 다양한 강도의 지진을 발생시킨다. 지진은 발생 깊이에 따라 천발 지진, 중발 지진 및 심발 지진으로 나뉘는데, 주로 침강 경계의 대륙 쪽으로 점점 멀어질수록 지진의 심도는 깊어진다. 이들 지진을 처음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 베니오프 지진이라 하며, 환태평양 조산대를 따라 띠 모양으로 분포하고 있는 이것을 베니오프대라고도 한다. 확장 경계에서는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분출할 때, 충격으로 지진이 발생하는 데 이들 지진은 중앙 해령을 따라 발생하는 해저 지진이다.
3) 화산 활동
확장 경계에서의 화산 활동은 해저에서와 육상에서가 다소 다르다. 중앙해령에서는 현무암질 베개 용암(pillow lava)의 분출이 대표적이나 대륙판내의 열곡대에서는 현무암질과 유문암질 양쪽의 용암 분출이 특징적이다. 수렴 경계 중 해양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는 해구에서는 침강해 들어가는 해양판이 지구 내부 깊이 들어감에 따라 온도와 압력이 증가하여 부분 용융이 일어나 마그마가 생성되며, 다시 지각의 얇은 틈을 따라 분 (열곡)
출하게 되는데 안산암질 화산 활동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확장 경계 및 수렴 경계의 화산 활동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그 두 경계가 놓인 지체 구조의 차이로 말미암아 마그마를 생성하는 기구가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판 내부에 위치하는 열점(hot spot)은 지구 내부 에너지를 분출하는 또 다른 통로이다. 하와이의 킬라우에아 화산은 열점 위에 놓여 끊임없이 마그마를 분출하고 있으며, 화산 분출의 장관을 구경하기 위해 일년 내내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다. 이 열점에서 분출하는 마그마는 판경계에서 분출되는 마그마와 성분상 전혀 달라, 열점 기원과 관련한 새로운 이론이 플룸(plume) 구조론의 원인이 되고 있다.
4) 지진과 화산의 분포관계
전 세계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점을 표시하면, 주로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태평양 주변의 대륙의 연안이나 섬들에 걸쳐 집중 분포하고 있으며 히말라야 산맥을 따라서도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바다에서는 태평양의 동쪽 해저와 중앙 대서양 해저의 남북 방향을 따라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화산의 분포 지역도 지진의 분포대와 거의 겹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진이나 화산은 특정 지역에 집중하여 발생하거나 동일 지역에 반복해서 일어나고 있다. 이들 지진은 지각을 구성하는 판들이 각기 움직일 때 판 경계부에서의 상호 작용에 의한 충격이며 화산도 그 부산물인 것이다. 판구조론의 핵심은 판과 판들이 상호 작용하는 무대인 판 경계부의 종류를 구분하고 판구조 운동의 산물인 화산이나 지진 같은 지질 현상을 통하여 다양한 판 경계부의 모습을 이해하는 것이다.
(화산과 지진대의 분포)
6. 판구조 운동의 추진 메카니즘
앞에서 우리는 판구조론의 원리와 지판운동의 형태와 비율, 지판의 분리작용과 충돌의 결과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러면 무슨 힘이 이 지판을 움직였을까?
맨틀의 대부분은 고온의 고체이며, 1년에 약 1㎝의 속도로 액체처럼 유동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암권은 깨져서 굳은 지판으로 되며, 암권 아래에 있는 맨틀내에서 유동하면서 맨틀의 운동에 대해 반응한다. 규명하고자 하는 원리에 관한 자료들이 많으면, 그 만큼 많은 학설이 대두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확장대에서 고체 해령의 무게에 의하여 밀리는 지판도 있고 섭입대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무거운 판에 의하여 끌려가는 지판도 있다. 또 다른 경우는 지판들이 밑에 있는 암류권 내의 대류에 의해서 드래그되는 것도 있다. 판구조운동은 각 과정이 단편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용융된 물질은 상승하고 냉각되어 굳어진 물질은 밑으로 내려가는 매우 복잡한 대류운동에 의한다는 것을 알았다.
또 다른 이론은 뜨겁게 분사하는 것과 같은 열적 플룸은 맨틀의 바닥에서부터 상승하며, 지판이 성장할 수 있도록 물질을 공급하며, 플룸이 거의 나타나는 확장대 중심에서 측면으로 운동한다고 하는 내용이다. 이들 동일한 플룸들은 열점에 의하여 표면에서 입증되었다.
Ⅲ. 결론
이제까지 지구의 구조와 판구조론의 발달, 지판의 운동, 그리고 조산운동과 판구조론의 관계, 판구조운동의 증거와 판구조 운동의 추진 메카니즘에 대해 살펴보았다. 판구조론은 대륙이동설과 해양저 확장설의 발전된 이론으로 우리에게 과거, 현재의 지구모습과 함께 미래의 지구의 모습도 추측 가능하게 한다. 이 시각에도 판들은 서로 서로 서서히 움직이고 있으며, 지구의 표면을 가로질러 거대한 대륙을 끌거나 밀어 주면서 끊임없이 지구의 모습을 변화시켜 오고 있다. 항상 지각운동이나 다른 메카니즘으로 우리에게 신호를 보내는 지구를 좀 더 과학적으로 접근, 이해하고 또 지구를 진정으로 아끼는 마음을 가져야할 것이다.
♠참고문헌
지질학원론 1992. 신성문화사. 원종관 외 5명
이우평의 지리세상 http://ssrr.new21.net/frame.htm
미국 지질탐사국 http://pubs.usgs.gov/publications/text/dynamic.html
대륙이동설 http://nongae.gsnu.ac.kr/~jbchoi/index/earth/2-4.htm
김채원의 과학교실 http://user.chollian.net/~xcv/
판구조론 http://www.muohio.edu/tectonics/Active%20tectonics.html
http://my.dreamwiz.com/nyoungs/
http://geology.kangwon.ac.kr/menu/frame2.htm
http://stratigraphy.cheju.ac.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