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D 현상의 원인 및 실태와 해결방안 - 사라지는 벌들, 그 많던 꿀벌은 어디로 갔을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CD 현상의 원인 및 실태와 해결방안 - 사라지는 벌들, 그 많던 꿀벌은 어디로 갔을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CCD 현상의 정의
2. CCD 현상의 실태
① 미국
② 유럽
③ 아시아
3. CCD 현상이 심각한 문제인 이유
① 꿀벌이 맡고 있는 역할과 중요성
(1) 꿀 생산자로서의 꿀벌
(2) 수분 매개체로서의 꿀벌
② CCD 현상이 야기할 생태계 파괴
4. CCD 현상의 원인
① 휴대전화 전자기파
② 유전자조작 식품
③ 노제마 병원균과 꿀벌응애
5. CCD현상 해결을 위한 현재의 노력
① 꿀벌에게 추가 단백질을 공급
② 생존력이 강한 품종인 러시아 벌 양봉
③ 대중의 참여를 유도하려는 노력
6. CCD 현상을 알리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Ⅲ. 결론

본문내용

상을 줄이기 위해 노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사람들이 꿀벌 농장을 체험함으로써 꿀벌의 소중함을 깨닫고 동시에 자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몸으로 직접 그 소중함을 느꼈기 때문에 CCD현상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법은 무엇보다도 모든 연령층이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들끼리 농장을 체험함으로써 온 가족이 CCD현상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함께 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기회를 늘려 꿀벌 농장 체험을 활발히 한다면 한 사람이 노력이 여러 사람의 노력으로 불어나 CCD현상을 조금씩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다.
⑤ CCD현상에 관한 애니메이션 만들고 방영하기
이 방법의 주요 대상은 어린이가 될 것이다. 어린 아이들에게 꿀벌의 소중함과 CCD현상에 대해서 애니메이션을 통해서 이해하기 쉽도록 알리고 CCD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들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까지 애니메이션에 담아낸다면 아이들이 쉽게 이 문제에 대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어릴 때문에 아이들에게 이러한 문제를 인식시키고, CCD현상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실천하게끔 한다면 세대에 걸쳐서 작은 노력들이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⑥ 지역적인 차원에서 도시 양봉업자 육성하기
도시 양봉업자란 말 그대로 도시에서 양봉을 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어떻게 도시에서 양봉을 할 수 있나?\' 의아해 할 텐데 바로 건물의 옥상을 이용하여 양봉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도시에 있는 공원과 숲의 근처에 있는 건물 옥상에 양봉을 하고, 살충제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정하고 지키면 도시의 환경과 생태계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꿀벌을 위해 옥상에 꽃과 채소를 심는 기업을 늘린다면 꿀벌을 사라짐을 막고 꿀벌을 번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지역적인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도시 양봉업자들이 증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도시 양봉업자를 육성하고, 기업들이 옥상의 자연화를 실천하며, 시민들도 도시의 녹음화를 위해 노력한다면 꿀벌의 사라짐을 막고 꿀벌을 번식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CCD현상의 의미와 심각성에 대해 살펴본 후 이러한 CCD현상이 일어나는 원인과 이에 대한 해결책에 대해 살펴보았다. 보통의 사람들은 꿀벌이 사라지는 현상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여길 것이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일이 지구상에서 벌어진다는 사실조차도 모를 것이다. 그러나 지금도 꿀벌은 사라지고 있다. 꿀벌이 사라지게 되면 연쇄적 반응으로 인해 식물의 번식에 문제가 생기고, 식물을 먹고 살아가는 동물들에게도 결국 생태계 피라미드의 가장위에 있다는 우리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지구의 환경이 변화하고 생태계의 질서가 무너지게 될 것이라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물론, 벌이 사라지는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직접적인 노력을 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CCD현상의 심각성을 절실히 느끼는 것이다. 단순한 환경문제 중 하나로 인식 하는 것 보다 앞서 언급했던 CCD현상문제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고 이에 따른 문제를 일깨우는 것부터가 우리의 실천의 시작이다.
이 문제에 대하여 한 사람이라도 더 인식하고 실천하려고 노력한다면 비단 벌만이 아니라 생태계 전체를 지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나아가 이 연구에서 제시된 해결방법이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벌 멸종의 실태를 알리고 각 개인과 기관의 해결을 촉구하고자 한다. 우리 6조의 보고서가 한명의 사람이라도 CCD현상의 심각성을 일깨우게 했다면 보람된 발표였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Mukerjee, “BEE Blight”, Scientific American Magazine ,New York: Scientific American, June 1997
Jacobsen, Rowan, 노태복, 『꿀벌 없는 세상, 결실 없는 가을』, 에코리브르, 2009
박정임, 꿀벌이지구에서사라진다면,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507030003, 2009.11.3
임준연, 벌들이 사라졌다, 유력한 범인은? <꿀벌 없는 세상, 결실 없는 가을>이 경고하는 현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64026&CMPT_CD=P0001, 2009.11.4.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2.28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1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