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부동단백질
2. 부동단백질을 이용한 다양한 분야
3. 그 밖의 부동단백질의 이점
4. 부동단백질 작용의 증명
고찰
참고문헌
1. 부동단백질
2. 부동단백질을 이용한 다양한 분야
3. 그 밖의 부동단백질의 이점
4. 부동단백질 작용의 증명
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동단백질 처리하여 도살 후 진공포장하고 2~6주간 실험한 결과 고기의 drip이 감소하였고 얼음 결정 크기가 줄었다.
(Payne, S.R, and Young, O.A, Effect of pre-slaughter ad-ministraion of antifreeze proteins on frozen meat quality. Meat SCI. 41:147-155(1995))
고찰
부동 단백질은 완전히 연구결과가 밝혀진 것이 아니며, 실제 농도에 따라 오히려 막에 냉동과 해동시 상해를 증가시켰다는 보고와 독성을 보였다는 연구결과가 보도되었다. 완전히 파악되지 않은 부동 단백질을 무조건 우호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적절한 조건과 좀 더 많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부동 단백질에 대한 조건을 잡아야 한다.
또한 유전자 변형(GM)원료에 대한 많은 견해도 신경을 써야 할것이다. 실제 유전자변형원료를 식품에 쓰이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대중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미국 일반인들은 지난 10년간 GM식품에 대해서 비교적 우호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유렵을 비롯한 다른나라는 여전히 경계심이 많으며 이 때문에 유럽 시장을 GM식품으로
(Payne, S.R, and Young, O.A, Effect of pre-slaughter ad-ministraion of antifreeze proteins on frozen meat quality. Meat SCI. 41:147-155(1995))
고찰
부동 단백질은 완전히 연구결과가 밝혀진 것이 아니며, 실제 농도에 따라 오히려 막에 냉동과 해동시 상해를 증가시켰다는 보고와 독성을 보였다는 연구결과가 보도되었다. 완전히 파악되지 않은 부동 단백질을 무조건 우호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적절한 조건과 좀 더 많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부동 단백질에 대한 조건을 잡아야 한다.
또한 유전자 변형(GM)원료에 대한 많은 견해도 신경을 써야 할것이다. 실제 유전자변형원료를 식품에 쓰이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대중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미국 일반인들은 지난 10년간 GM식품에 대해서 비교적 우호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유렵을 비롯한 다른나라는 여전히 경계심이 많으며 이 때문에 유럽 시장을 GM식품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