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호미 바바의 「문화의 위치」
1) 바바 이론의 정체성
2) 국민의 산포 - 제3의 공간에 대하여
3) 탈식민적 글쓰기
3.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
1) 소개
2) 줄거리
3) 국민의 산포 - 이민자인 헨리와 존 강을 중심으로
4) 문화와 언어
4. 결론
2. 호미 바바의 「문화의 위치」
1) 바바 이론의 정체성
2) 국민의 산포 - 제3의 공간에 대하여
3) 탈식민적 글쓰기
3.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
1) 소개
2) 줄거리
3) 국민의 산포 - 이민자인 헨리와 존 강을 중심으로
4) 문화와 언어
4. 결론
본문내용
<최종 발표 보고서>
『영원한 이방인』분석
- 호미 바바의 이론을 중심으로 -
↑(사진) 호미 바바(Bhabha, Homi Jehangir)
목차
1. 서론
2. 호미 바바의 「문화의 위치」
1) 바바 이론의 정체성
2) 국민의 산포 - 제3의 공간에 대하여
3) 탈식민적 글쓰기
3.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
1) 소개
2) 줄거리
3) 국민의 산포 - 이민자인 헨리와 존 강을 중심으로
가. 헨리
나. 존 강
4) 문화와 언어
4. 결론
5. 참고문헌
1. 서론
탈식민주의를 이해함에 있어서 이론의 적용을 단순히 1차적인 식민지 상황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충분하지 못하다. 탈식민주의는 과거의 식민 상황이 아닌 현재의 (신)식민주의에 대한 탈 식민운동으로 파악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을 통해 탈식민주의를 서양의 세계정복의 후속물이라고 할 수 있는 경제적·문화적 식민 상태에 까지 적용할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식민상태의 전지구화 릴리 간디, 이영욱,「포스트 식민주의란 무엇인가?」, 현실문화연구, 2000, p.153
현상은 ‘본질적인 민족주의’를 통해 탈식민주의 이론을 기대기에는 인종적으로 혼성화 되어있는 상태이며 동서양의 가치를 식민자와 피식민자라는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으로 이해하기에는 문제가 뒤따른다.
식민주의가 종식된 오늘날, 탈식민주의시대는 문화적, 인종적, 언어적, 정치적, 사회적 그 어떤 면에서도 혼종성을 띠게 된다. 기존의 것과 다른 새로운 것이 유입될 때, 그것이 수평적인 관계로 수용된다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것이 지배적이거나 피지배적인 위치를 지니는 수직적인 관계를 가진다면 이것은 새로운 형태의 식민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
식민지를 경험한 국가나 민족은 자의든 타의든 반드시 민족의 흩어짐과 분열, 이국(異國)으로의 도피나 이주를 경험한다. 이는 보통 식민지 시대 아래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식민지를 벗어난 시대에서도 제국주의적 자본에 의한 근대화가 진행이 되면서, 빈곤의 한 해결책으로서 해외입양을 선택하기도 한다. 그리고 근대화가 이루어지면서 선진 문물에 대한 동경과 서구 선진국과는 다른 형태의 발전과 교육을 받은 것과의 차이로 인한 갈등으로 이민을 가거나 이민을 계획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1차적인 식민상황에서 벗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자의와 타의를 모두 포함하는 이유로 조국이라고 일컬어지는 공간을 떠나서 국민은 산포(散布) 산포(Dissmenation)의 어원상의 종자는 원래 태어난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곳으로 흩뿌려진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런 뜻에서 산포는 현존의 동일성으로 환원
『영원한 이방인』분석
- 호미 바바의 이론을 중심으로 -
↑(사진) 호미 바바(Bhabha, Homi Jehangir)
목차
1. 서론
2. 호미 바바의 「문화의 위치」
1) 바바 이론의 정체성
2) 국민의 산포 - 제3의 공간에 대하여
3) 탈식민적 글쓰기
3.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
1) 소개
2) 줄거리
3) 국민의 산포 - 이민자인 헨리와 존 강을 중심으로
가. 헨리
나. 존 강
4) 문화와 언어
4. 결론
5. 참고문헌
1. 서론
탈식민주의를 이해함에 있어서 이론의 적용을 단순히 1차적인 식민지 상황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충분하지 못하다. 탈식민주의는 과거의 식민 상황이 아닌 현재의 (신)식민주의에 대한 탈 식민운동으로 파악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을 통해 탈식민주의를 서양의 세계정복의 후속물이라고 할 수 있는 경제적·문화적 식민 상태에 까지 적용할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식민상태의 전지구화 릴리 간디, 이영욱,「포스트 식민주의란 무엇인가?」, 현실문화연구, 2000, p.153
현상은 ‘본질적인 민족주의’를 통해 탈식민주의 이론을 기대기에는 인종적으로 혼성화 되어있는 상태이며 동서양의 가치를 식민자와 피식민자라는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으로 이해하기에는 문제가 뒤따른다.
식민주의가 종식된 오늘날, 탈식민주의시대는 문화적, 인종적, 언어적, 정치적, 사회적 그 어떤 면에서도 혼종성을 띠게 된다. 기존의 것과 다른 새로운 것이 유입될 때, 그것이 수평적인 관계로 수용된다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것이 지배적이거나 피지배적인 위치를 지니는 수직적인 관계를 가진다면 이것은 새로운 형태의 식민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
식민지를 경험한 국가나 민족은 자의든 타의든 반드시 민족의 흩어짐과 분열, 이국(異國)으로의 도피나 이주를 경험한다. 이는 보통 식민지 시대 아래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식민지를 벗어난 시대에서도 제국주의적 자본에 의한 근대화가 진행이 되면서, 빈곤의 한 해결책으로서 해외입양을 선택하기도 한다. 그리고 근대화가 이루어지면서 선진 문물에 대한 동경과 서구 선진국과는 다른 형태의 발전과 교육을 받은 것과의 차이로 인한 갈등으로 이민을 가거나 이민을 계획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1차적인 식민상황에서 벗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자의와 타의를 모두 포함하는 이유로 조국이라고 일컬어지는 공간을 떠나서 국민은 산포(散布) 산포(Dissmenation)의 어원상의 종자는 원래 태어난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곳으로 흩뿌려진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런 뜻에서 산포는 현존의 동일성으로 환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