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이론적 배경
1. 실험내용
2. 실험이론
가. 총인이란?
나. 인 측정이 중요시 되는 이유는?
3. 시료 및 실험기기
4. 시료의 전처리
5. 실험 방법
2장. 실험 결과
3장. 고찰
4장. 결론
5장. 참고문헌
1. 실험내용
2. 실험이론
가. 총인이란?
나. 인 측정이 중요시 되는 이유는?
3. 시료 및 실험기기
4. 시료의 전처리
5. 실험 방법
2장. 실험 결과
3장. 고찰
4장. 결론
5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의 관계선을 작성한다.
2장. 실험 결과
<사진 설명 : 좌측부터 ((표준용액 0, 5, 10, 15, 20㎖, 미지시료+증류수 → 100㎖ ) → 25㎖) + (2㎖ 몰리브덴산암묘늄·아스코르빈산 혼액)이 담긴 플라스크 >
각각의 표준용액 양에 따른 인의 양을 구하여, 인의 양에 따른 흡광도 그래프를 그린다.
인산염 인 표준 용액()을 각각 5, 10, 15, 20㎖ 만큼 단계적으로 취하여 증류수로 100㎖로 채우고, 그 용액을 다시 25㎖ 취한다. 그러므로,
가. ( (표준용액 5㎖ + 증류수 → 100ml ) → 25ml) 일 때 인의 양
나. ( (표준용액 10㎖ + 증류수 → 100ml ) → 25ml) 일 때 인의 양
다. ( (표준용액 15㎖ + 증류수 → 100ml ) → 25ml) 일 때 인의 양
라. ( (표준용액 20㎖ + 증류수 → 100ml ) → 25ml) 일 때 인의 양
각각 인의 양에 따른 흡광도를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면,
인의 양(mg)
0.00
0.00625
0.0125
0.01875
0.025
흡광도
0
0.093
0.192
0.278
0.577
3장. 고찰
이번 실험은 시료중의 유기물을 산화 분해하여 모든 인 화합물을 인산염()의 형태로 변화시킨 후 인산염을 아스코르빈산 환원 흡광도법으로 정량하여 총인의 농도를 구하는 실험이다.
실험에서 황산(2+1)을 제조할 때 주의 해야 할 점이 있는데, 시료에서 황산을 제조할 때, 꼭 증류수를 먼저 넣고 황산을 넣어줘야 한다. 이것은 두 용액이 반응 할 때의 반응열 때문이다. 증류수에 산을 넣으면 산의 농도는 0%에서 조금씩 올라가 목표값이 되지만, 산에 증류수를 넣을 경우에는 100%에서 목표값으로 조금씩 내려가기 때문에 반응열이 커서, 심할 경우 용기가 깨지는 경우도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번 실험에서 황산(2+1)은 내가 제조했는데, 실제로도 반응열 때문에 플라스크가 뜨거워지고 김이 많이 올라와서 많이 무서웠다.
그리고 우리가 흡광광도법으로 총인 분석 시 아스코르빈산을 가해서 생성되는 최종물질인 몰리브덴 블루의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 아스코르빈산 환원법을 사용하는데 이 것은 시료중의유기물을 산화 분해하여 생긴 인산이온을 몰리브덴산암모늄과 산성조건에서 반응시켜 생성된 몰리브덴산인암모늄을 아스코르빈산(C6H8O6)으로 환원시켜 생성된 몰리브덴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PO43- + 12(NH4)2MOO4 + 24H+ → (NH4)3PO4. 12MOO3 + 21NH4+ + 12H2O
(NH4)3PO4. 12MOO3 + C6H8O6 → [몰리브덴 블루(청색 발색)]
여기서, 아스코르빈산 환원법의 정량범위는 0.001∼0.025mgP이므로 시료를 넣을때 정량범위에 알맞게 넣어주어야 한다. 만약 정량 범위를 벗어났다면, 희석을 해주어야한다.
그리고 우리가 농도를 계산할 때 과황산칼륨으로 전처리 한 경우에
(a: 검량선으로 구한 인의 양(mg), V: 전처리에 사용한 시료양(㎖) = 50㎖)
이러한 식을 사용해 주는데, 식에서 60은 실질적으로 실험을 할
2장. 실험 결과
<사진 설명 : 좌측부터 ((표준용액 0, 5, 10, 15, 20㎖, 미지시료+증류수 → 100㎖ ) → 25㎖) + (2㎖ 몰리브덴산암묘늄·아스코르빈산 혼액)이 담긴 플라스크 >
각각의 표준용액 양에 따른 인의 양을 구하여, 인의 양에 따른 흡광도 그래프를 그린다.
인산염 인 표준 용액()을 각각 5, 10, 15, 20㎖ 만큼 단계적으로 취하여 증류수로 100㎖로 채우고, 그 용액을 다시 25㎖ 취한다. 그러므로,
가. ( (표준용액 5㎖ + 증류수 → 100ml ) → 25ml) 일 때 인의 양
나. ( (표준용액 10㎖ + 증류수 → 100ml ) → 25ml) 일 때 인의 양
다. ( (표준용액 15㎖ + 증류수 → 100ml ) → 25ml) 일 때 인의 양
라. ( (표준용액 20㎖ + 증류수 → 100ml ) → 25ml) 일 때 인의 양
각각 인의 양에 따른 흡광도를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면,
인의 양(mg)
0.00
0.00625
0.0125
0.01875
0.025
흡광도
0
0.093
0.192
0.278
0.577
3장. 고찰
이번 실험은 시료중의 유기물을 산화 분해하여 모든 인 화합물을 인산염()의 형태로 변화시킨 후 인산염을 아스코르빈산 환원 흡광도법으로 정량하여 총인의 농도를 구하는 실험이다.
실험에서 황산(2+1)을 제조할 때 주의 해야 할 점이 있는데, 시료에서 황산을 제조할 때, 꼭 증류수를 먼저 넣고 황산을 넣어줘야 한다. 이것은 두 용액이 반응 할 때의 반응열 때문이다. 증류수에 산을 넣으면 산의 농도는 0%에서 조금씩 올라가 목표값이 되지만, 산에 증류수를 넣을 경우에는 100%에서 목표값으로 조금씩 내려가기 때문에 반응열이 커서, 심할 경우 용기가 깨지는 경우도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번 실험에서 황산(2+1)은 내가 제조했는데, 실제로도 반응열 때문에 플라스크가 뜨거워지고 김이 많이 올라와서 많이 무서웠다.
그리고 우리가 흡광광도법으로 총인 분석 시 아스코르빈산을 가해서 생성되는 최종물질인 몰리브덴 블루의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 아스코르빈산 환원법을 사용하는데 이 것은 시료중의유기물을 산화 분해하여 생긴 인산이온을 몰리브덴산암모늄과 산성조건에서 반응시켜 생성된 몰리브덴산인암모늄을 아스코르빈산(C6H8O6)으로 환원시켜 생성된 몰리브덴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PO43- + 12(NH4)2MOO4 + 24H+ → (NH4)3PO4. 12MOO3 + 21NH4+ + 12H2O
(NH4)3PO4. 12MOO3 + C6H8O6 → [몰리브덴 블루(청색 발색)]
여기서, 아스코르빈산 환원법의 정량범위는 0.001∼0.025mgP이므로 시료를 넣을때 정량범위에 알맞게 넣어주어야 한다. 만약 정량 범위를 벗어났다면, 희석을 해주어야한다.
그리고 우리가 농도를 계산할 때 과황산칼륨으로 전처리 한 경우에
(a: 검량선으로 구한 인의 양(mg), V: 전처리에 사용한 시료양(㎖) = 50㎖)
이러한 식을 사용해 주는데, 식에서 60은 실질적으로 실험을 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