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광광도법 (인도페놀법) 예비 결과 실험 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흡광광도법 (인도페놀법) 예비 결과 실험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장. 이론적 배경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실험이론
4. 실험시료
5. 실험기기
6. 시료의 전처리 방법
6. 실험 방법
가. 검량선 작성
나. 미지의 시료

2장. 실험결과

3. 오차율

3장 고찰

4장 결론

5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준용액의 단위가 ml로 되어있는 것을 ppm으로 바꾸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준다.
암모니아성 질소 표준원액을 25ml를 취해서 500ml로 맞춰주었기 때문에 20배로 희석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희석된 농도를 구하면
이다.
먼저 미지시료 2ml를 ppm으로 바꾸면
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표준용액에서도 농도를 구해보면,
각각의 용액들의 농도는 0, 0.2, 0.5, 0.8, 1.0 mg/L(=ppm)가 된다.
2. 흡광도 측정 결과
표준용액

미지시료
0 ml
2 ml
5 ml
8 ml
10 ml
1조
0.331
0.014
0.084
0.339
0.503
0.730
2조
0.236
0.048
0.093
0.221
0.359
0.496
3조
0.553
0.068
0.043
0.114
0.276
0.319
4조
0.426
0.027
0.093
0.268
0.365
0.496
5조
0.347
0.018
0.178
0.411
0.628
0.940
6조
0.513
0.016
0.095
0.186
0.345
0.604
이때의 검량선에서 직선으로 작성한 우리 조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우리조의 결과와 비교를 위하여 다른 조의 그래프도 나타내어 보았다.
미지시료의 농도를 알아내기 위하여 흡광도 추세선을 사용하였다.
y = 미지시료(ABS) (ml)
x = 미지시료의 농도 (mg/L)
그 결과를 표로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미지시료(ABS) (ml)
0.331
0.236
0.553
0.426
0.347
0.513
미지시료 농도 (mg/L)
0.4959
0.4834
1.8535
0.8789
0.3999
0.9862
3. 오차율
실험 결과 우리 조의 미지시료 농도는 0.8789mg/L이다. 이론적으로 나와야하는 값은 0.65mg/L이므로 상대오차를 계산해보았다.
이므로 오차율을 구해보면
이다.
3장 고찰
이번 실험은 생물의 사체나 축산 폐기물 등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페놀과 반응시켜 인도페놀로 변화 시키고 인도페놀의 농도를 통해 용액 속에 포함되어있는 질소의 농도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사실 나는 이번 실험에 예기치 못한 사정으로 참석하지 못한 바람에 오로지 조원들의 실험과정을 귀로 듣는 것과 실험원리와 내용을 찾아 계속 읽어 보는 것만으로 실험을 이해하고 보고서를 작성한다고 큰 애를 먹었다. 조원들의 말에 의하면 실험기구를 비교적 많이 다뤄야 하고 여러 용액을 제조한다고 손이 많이 모자랐다고 한다. 내가 옆에서 거들었다면 아무래도 덜 조급하게 실험하여 조금 더 좋은 실험을 할 수 있었을 텐데 아쉽다.
보고서를 마무리 할 즘에 오차율을 구해보니 무려 35.22%였다. 이 오차들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내가 직접 실험에 임하지 못하였지만 실험 내용과 원리 등 을 읽어보며 내가 실험에 임했을 경우 오차의 원인이 될 만한 부분들을 생각해 보고 인터넷도 참고하여 보았다. 그리하여 낸 오차의 원인은, 먼저 용액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눈금을 맞추지 못했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했다. 두 번째는 피펫 사용법을 정확하게 숙지하지 못하여 미지시료를 제조할 때에 있어서 플라스크의 표면에 남아있는 증류수와 용액을 섞는데 필요한 정확한 양을 넣지 못한 것이다. 세 번째로는 흡광도는 보통 20~25℃에서 약 30분간에 발색은 최고에 달하고,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한다. 저온에서는 장시간이 필요하고, 고온에서는 퇴색하여 불안정하게 된다. 실험실에서는 이 반응 온도를 제대로 유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오차가 났다.
이번 실험에서는 조장인 내가 빠져서 3명밖에 되지 않는 적은 수로 우리조가 실험에 임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좋은 결과가 나왔다. 각자가 자기 할 일을 맡아 책임감을 가지고 진지하게 실험에 임해준 우리 조원들이 자랑스럽다. 다음 실험에서도 우리 조원들이 서로 역할을 잘 분담하면서도 서로 단결하고 협력하여 더욱 열심히 실험에 임하여 좋은 결과를 내도록 하겠다.
4장 결론
실험을 마친 후 찍은 각 표준용액이 들어있는 삼각플라스크이다. 좌측부터 1.0ppm, 0.8ppm, 0.5ppm, 0.2ppm, 0ppm의 표준용액 들었고, 가장 오른쪽 삼각플라스크 안에는 미지시료가 들어있다. 사진으로 분석한 결과는 좌측으로 갈수록 삼각플라스크 안이 청색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농도가 진한 표준용액(암모늄)을 넣을수록 페놀과의 반응이 크게 일어나 인도페놀이 쉽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청색에 가까운 색을 나타내게 된다. 그렇기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1.08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2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