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개인력
2.건강력 - 주증상/진단명/전반적인 질병과정/......
3.신체기관별 건강문제를 위한 자료
4.질병기술 - 병태생리/임상소견/치료/간호
5.간호과정 - 초기자료/ 임상결과/ 진단적 검사 결과/ 경구,비경구적 투
약/
6.간호진단
1)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 객관적 자료/주관적 자료/ 평가기준/중재 및 계획/ 이론적 근거/평가
2)건강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 객관적 자료/주관적 자료/ 평가기준/중재 및 계획/ 이론적 근거/평가
3)피부손상, 골수기능 저화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 객관적 자료/주관적 자료/ 평가기준/중재 및 계획/ 이론적 근거/평가
2.건강력 - 주증상/진단명/전반적인 질병과정/......
3.신체기관별 건강문제를 위한 자료
4.질병기술 - 병태생리/임상소견/치료/간호
5.간호과정 - 초기자료/ 임상결과/ 진단적 검사 결과/ 경구,비경구적 투
약/
6.간호진단
1)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 객관적 자료/주관적 자료/ 평가기준/중재 및 계획/ 이론적 근거/평가
2)건강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 객관적 자료/주관적 자료/ 평가기준/중재 및 계획/ 이론적 근거/평가
3)피부손상, 골수기능 저화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 객관적 자료/주관적 자료/ 평가기준/중재 및 계획/ 이론적 근거/평가
본문내용
~ 2분에 걸쳐 천 천히 정맥주사
위염, 기능성 유문협착, 담낭염, 담석증, 담도이상운동증, 마취 및 수술후
약물에 의한 구역, 구토
발열, 발기부전, 근경직, 복통, 설사, 변비, 빈맥, 고혈압, 두통, 불안, 졸음, 경련, 요실금, 호중구 감소증, 백혈구감소증
- 오심, 구토에 효과
- 부작용 없음
검사명
검사목적
사례환자에게 적용한 검사 전후 간호
부작용의 포함한 검사결과
EKG
관상동맥의 폐쇄부전으로 오는 허혈성 심장질환, 심방 및 심실세동등의 부정맥이나 전도장애, 심실비대등을 판단하기 위해
환자에게 절차를 설명한다.
환자의 흉부와 팔을 노출한다. 노출이 불필요한 부분은 덮어준다.
검사시 전극에 젤을 바른다는 것을 설명한다.
검사후 젤을 제거한다.
sinus tachycardia
Chest PA
성인환자 입원시 정규검사. 폐종양,심장종양, 폐렴증,늑막삼출액 출적, 기흉, 횡경막 탈장등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에게 검사과정을 설명한다.
윗옷을 벗어야하고 면가운으로 갈아입는다는 것을 환자에게 말한다.
환자의 금속물질을 제거한다.
no
active lession
duodenoscopy
급성/만성 위장출혈, 식도 손상, 악성빈혈, 연하곤란, 흉골하 통증, 상복부 불편감 등이 있는 대상자들을 검사하기 위해
위내용물이 폐로 흡인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검사하기 전 8~12시간 동안 금식
검사시행 전 구강인두의 분비물을 줄이고 서맥을 예방하기 위해 항콜린성 약물 투여
대상자의 이완을 돕기 위해 diazepam이나 meperidine과 같은 약물 투여
대상자가 심스체위를 취하는 동안 침은 옆으로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곡반을 준비
만약 검사 중 안정제를 사용했다면 검사후 최소한 12시간 동안 운전을 하지말도록 교육한다.
검사후 간호
활력징후 자주 측정
안정제나 국소마취가 풀릴 때까지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옆으로 눕힌다.
구개반사가 돌아올 때까지 금식시킨다.
구개반사가 돌아온 후 목의 자극이나 쉰목소리를 완화시키기 위해 마취성 인후 함당정제나 생리적 식염수로 함수하도록 한다.
Esophagus
normotonics
no esophagitis
Stomach
free
atrophic change
Duodenum
free
impression CAG
특수 검사
3) 간호문제 및 간호중재
▶우선순위
①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② 건강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③ 피부손상, 골수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④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⑤ 투약중인 약물과 관련된 설사
⑥ 항암치료와 관련된 불안
⑦ 투약중인 약물과 관련된 변비
⑧ 화학요법 부작용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간호진단
진단명:
자료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관련자료
평가기준
(outcome
criteria)
간호중재 계획
이론적 근거
평가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S:
\"입맛이 없어요.\"
\"밥을 잘 못먹고 있어요.\"
\"속이 미식거리고 울렁거려요. 토할거 같은 느낌인데 원래 이런거에요?\"
O:
-Cervix ca 치료를 위해 방사선치료와 항암요법을 병행하고 있는 상태
-오심을 호소하심.
-환자식이 1/2 섭취
-total protein, albumin,
Total Cholesterol 의 수치가 낮음
▶ 환자는 3월 13일까지 오심과 구토의 증상이 사라질 것이고, protein, albumin, cholesterol의 수치가 올라갈 것이고 음식섭취량이 증가할 것이다.
① 환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② 섭취량과 배설량을 확인한다.
③ 만약 구토를 한다면 양을 측정한다.
④ 진토제를 투여한다.
⑤ 정맥으로 수분및 영양제를 투여한다.
⑥ 오심과 구토를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을 제거한다.
①환자의 전반적인 상황을 알 수 있다.
②섭취량과 배설량의 차이를 통해 영양의 과다와 부족을 알 수 있다.
④ 진토제 투여는 식욕부진과 구토를 예방한다.
⑤ 정맥으로 수분과 영양제를 투여하여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 줄 수 있다.
⑥심한 냄새와 불결한 환경은 오심과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 환자의 음식섭취량이 3/4 정도로 증가하였다.
간호진단
진단명:
자료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관련자료
평가기준
(outcome
criteria)
간호중재 계획
이론적 근거
평가
건강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S: \"미안한데 별로 얘기하고 싶지 않아요.\"
\"이 세상에서 제일 불쌍한 사람은 바로 저에요.\"
\"전 동화작가였어요. 정말 좋아했던 직업인데 이제는 아무일도 할 수 없어요.\"
\"전 어떻게 되는거죠?\"
O:
-얘기할
위염, 기능성 유문협착, 담낭염, 담석증, 담도이상운동증, 마취 및 수술후
약물에 의한 구역, 구토
발열, 발기부전, 근경직, 복통, 설사, 변비, 빈맥, 고혈압, 두통, 불안, 졸음, 경련, 요실금, 호중구 감소증, 백혈구감소증
- 오심, 구토에 효과
- 부작용 없음
검사명
검사목적
사례환자에게 적용한 검사 전후 간호
부작용의 포함한 검사결과
EKG
관상동맥의 폐쇄부전으로 오는 허혈성 심장질환, 심방 및 심실세동등의 부정맥이나 전도장애, 심실비대등을 판단하기 위해
환자에게 절차를 설명한다.
환자의 흉부와 팔을 노출한다. 노출이 불필요한 부분은 덮어준다.
검사시 전극에 젤을 바른다는 것을 설명한다.
검사후 젤을 제거한다.
sinus tachycardia
Chest PA
성인환자 입원시 정규검사. 폐종양,심장종양, 폐렴증,늑막삼출액 출적, 기흉, 횡경막 탈장등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에게 검사과정을 설명한다.
윗옷을 벗어야하고 면가운으로 갈아입는다는 것을 환자에게 말한다.
환자의 금속물질을 제거한다.
no
active lession
duodenoscopy
급성/만성 위장출혈, 식도 손상, 악성빈혈, 연하곤란, 흉골하 통증, 상복부 불편감 등이 있는 대상자들을 검사하기 위해
위내용물이 폐로 흡인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검사하기 전 8~12시간 동안 금식
검사시행 전 구강인두의 분비물을 줄이고 서맥을 예방하기 위해 항콜린성 약물 투여
대상자의 이완을 돕기 위해 diazepam이나 meperidine과 같은 약물 투여
대상자가 심스체위를 취하는 동안 침은 옆으로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곡반을 준비
만약 검사 중 안정제를 사용했다면 검사후 최소한 12시간 동안 운전을 하지말도록 교육한다.
검사후 간호
활력징후 자주 측정
안정제나 국소마취가 풀릴 때까지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옆으로 눕힌다.
구개반사가 돌아올 때까지 금식시킨다.
구개반사가 돌아온 후 목의 자극이나 쉰목소리를 완화시키기 위해 마취성 인후 함당정제나 생리적 식염수로 함수하도록 한다.
Esophagus
normotonics
no esophagitis
Stomach
free
atrophic change
Duodenum
free
impression CAG
특수 검사
3) 간호문제 및 간호중재
▶우선순위
①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② 건강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③ 피부손상, 골수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④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⑤ 투약중인 약물과 관련된 설사
⑥ 항암치료와 관련된 불안
⑦ 투약중인 약물과 관련된 변비
⑧ 화학요법 부작용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간호진단
진단명:
자료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관련자료
평가기준
(outcome
criteria)
간호중재 계획
이론적 근거
평가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S:
\"입맛이 없어요.\"
\"밥을 잘 못먹고 있어요.\"
\"속이 미식거리고 울렁거려요. 토할거 같은 느낌인데 원래 이런거에요?\"
O:
-Cervix ca 치료를 위해 방사선치료와 항암요법을 병행하고 있는 상태
-오심을 호소하심.
-환자식이 1/2 섭취
-total protein, albumin,
Total Cholesterol 의 수치가 낮음
▶ 환자는 3월 13일까지 오심과 구토의 증상이 사라질 것이고, protein, albumin, cholesterol의 수치가 올라갈 것이고 음식섭취량이 증가할 것이다.
① 환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② 섭취량과 배설량을 확인한다.
③ 만약 구토를 한다면 양을 측정한다.
④ 진토제를 투여한다.
⑤ 정맥으로 수분및 영양제를 투여한다.
⑥ 오심과 구토를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을 제거한다.
①환자의 전반적인 상황을 알 수 있다.
②섭취량과 배설량의 차이를 통해 영양의 과다와 부족을 알 수 있다.
④ 진토제 투여는 식욕부진과 구토를 예방한다.
⑤ 정맥으로 수분과 영양제를 투여하여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 줄 수 있다.
⑥심한 냄새와 불결한 환경은 오심과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 환자의 음식섭취량이 3/4 정도로 증가하였다.
간호진단
진단명:
자료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관련자료
평가기준
(outcome
criteria)
간호중재 계획
이론적 근거
평가
건강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
S: \"미안한데 별로 얘기하고 싶지 않아요.\"
\"이 세상에서 제일 불쌍한 사람은 바로 저에요.\"
\"전 동화작가였어요. 정말 좋아했던 직업인데 이제는 아무일도 할 수 없어요.\"
\"전 어떻게 되는거죠?\"
O:
-얘기할
키워드
추천자료
모성간호학중에서 자궁수축검사(OCT)에 대한 조사
모성간호]GY 자궁근종의 원인과 증상 및 제거술 과정(사진파일 포함)
[여성건강간호학] 여성관련질병(골반내감염, 자궁근종, 자궁외임신, 자궁탈출증, 자궁내막증,...
모성간호학 / 골반장기탈출(자궁탈수)
[간호]자궁근종(myoma uteri)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leiomyoma of uterus] 간호과정, Case Study입니다.
myoma case, 자궁근종케이스, 자궁근종case, myoma, 자궁근종간호과정, myomacase,
[간호학]모성간호-자궁근종
[성인간호학][TAH][복식완전자궁절제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Total Abdominal Hyster...
여성간호학)) 생식기종양과 자궁내막 질환
[진단세포학] 자궁경부 내 염증성변화 (염증성 반응, 자궁 내 염증성 변화를 일으키는 질병(...
TAH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복식 전 자궁 절제술 (간호과정 포함)
[여성간호] 자궁근종_병태생리 및 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