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상용망 현재와 미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의 상용망 현재와 미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과제의 주제에 대한 이해한다.

>2. 본론
국내의 상용망에 대해 개념정리와 그 역사에 대해 정리를 하고 상용망의 현재의 모습과 또 미래의 모습에 대해 알아본다.

>3. 결론
과제를 마치고 나서 느낀 느낌점과 참고문헌 그리고 참고싸이트에 대해 정리한다.

본문내용

지 전환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망 고도화를 근간으로 SIP 기반 음성/영상 전화를 상용화하여 영상 전화 서비스 중이며, 하나 TV를 2006년 7월부터 상용화하여 SD/HD급 고품질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하나 TV는 시작한지 6개월 만에 가입자가 10만을 돌파하면서 향후 프리미엄 서비스 및 IPTV 서비스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⑤파워콤
파워콤의 BcN 추진목표는 네트워크 사업자로서 서비스 사업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융복합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심레스하고 품질과 보안이 보장되는 BcN을 구축하는 것이다. 추진 계획으로는 전달망 부문에서 서비스 사업자의 요구수준에 따라 QoS의 차별화가 가능한 개방형 전달망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테라급 대역폭 전송이 가능한 DWDM/OXC기반 광 전송망, 트래픽을 차별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GMPLS 기반 차세대 교환망, 다양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개방형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가입자망에서는 통신, 방송, 통합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광대역화 하는데, FTTx에서는 광케이블 인입개소의 확대와 다양한 서비스 수용이 가능한 복합형 전송장비를 도입하고, HFC에서는 셀 분할을 통한 광케이블 구간의 확대로 FTTH로 점진적 진화하며, Metro IP에서는 품질이 보장되며 기가급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2005년 9월 초고속인터넷 사업을 시작한 LG파워콤은 1년여 만에 가입자가 100만 명을 돌파하였고, 2007년 14분기 중 누적가입자가 150만 명, 2007년 말 200만 가입자를 목표로 하고 있다.
HFC망은 현존하는 가입자망 중 단독주택에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망으로서, 앞으로 농어촌 지역 BcN 보급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kt, 데이콤, sk 텔레콤, 하나로 텔레콤, 파워콤 등의 관련 회사의 현재 서비스 제공방식에 대해 알아 볼 수 있는 시간이였으며 또 한 향후 어떻게 상용망이 변화해 나갈지 조금이나마 파악 할 수 있는 시간이였다. 특히 나의 전공과 땔래야 땔 수 없는 분야에 대한 조사였으므로 나의 진로와 또한 나의 학업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개인적인 학문적 호기심 또한 이 과제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과제를 내주신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드린다.
참고 자료
<문헌>
BcN 동향, 2006 / 정보통신부 ;한국전산원
한국인터넷백서, 2003 / 한국전산원
광가입자망(FTTH) 서비스개발 실험사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고속국제협력사업 결과보고서, 2003 / 서보현 [외저]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인터넷>
네이버 백과사전 :
광대역 통합망 http://100.naver.com/100.nhn?docid=784148
WiBro http://100.naver.com/100.nhn?docid=793010
FTTH http://100.naver.com/100.nhn?docid=854925
위키백과사전 :
Qos http://ko.wikipedia.org/wiki/QoS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12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