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업 사명론
Ⅱ. 상황분석
1)거시 환경분석
2)거시적 시장분석
3)S.W.O.T. 분석
Ⅲ. 영업분석
1)메뉴 분석
2)매장 분석
3)F.R업계 매출비교
4)경쟁업체 ‘아웃백’ 과 비교Ⅲ. 영업분석
Ⅳ. 소비자 조사
1)조사목적 과 조사설계
2)설문서의 기초적 분석 및 결과
Ⅴ. 시장세분화
1)시장세분화
2)타켓팅
Ⅵ. 포지셔닝
Ⅶ. 결론
<참고자료>
Ⅱ. 상황분석
1)거시 환경분석
2)거시적 시장분석
3)S.W.O.T. 분석
Ⅲ. 영업분석
1)메뉴 분석
2)매장 분석
3)F.R업계 매출비교
4)경쟁업체 ‘아웃백’ 과 비교Ⅲ. 영업분석
Ⅳ. 소비자 조사
1)조사목적 과 조사설계
2)설문서의 기초적 분석 및 결과
Ⅴ. 시장세분화
1)시장세분화
2)타켓팅
Ⅵ. 포지셔닝
Ⅶ.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랑업계의 점포수 변화 추이>
자료제공:월간식당 2008. 3
* 국내 상위 8개 F.R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임.·
위의 도표를 보면 지속적으로 성장해오다가 98년때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이는데 이는 IMF의 영향으로 여겨진다. 이후에 02년도까지 10~15%의 성장을 보이다. 03년도에 18.4%나 떨어지는데 이는 당시 광우병 파문으로서 고객의 소비심리가 많이 위축되었기때문이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04년 이후에는 07년까지 증감율이 20%를 웃도는 높은 성장을 했다. 결론적으로 F.R.업계의 점포수는 사회경제의 동향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이 위의 수치를 보면 알 수 있다.
2-2. 수요분석
가. 수요동향(trend)
(1) 주 1회 이상 외식 횟수
<도표 : 주 1회 이상 외식 횟수>
IMF 전부터 지금까지 사람들은 주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고객 비율을 보면 IMF 이전 29%에서 IMF인 98년에는 12.7%로 불황으로 인한 외식횟수 감소 현상을 볼 수 있다. 이후 99년 35.5%, 2002년 52.2%, 2007년 53.7%, 2008년 67.8%로 주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장기화된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의 사회참여 증가, 싱글족딩크족 등 신 개념의 가족제도 등장, 자동차 이용의 증가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가정에서 만들어 먹는 내식 보다는 외식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향후에도 이런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 국내 F.R.업계의 매출액 현황
<표 :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업계의 매출액 변화 추이>
구 분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매출액
(억원)
1118
1379
1211
1581
2338
3133
4058
3707
4762
6143
7618
7700
-
증감률
-
18.9
▼13.8
23.4
32.3
25.3
22.7
▼9.4
22.1
22.4
19.3
1.0
-
국내 패밀리레스토랑의 도입은 1988년 올림픽을 기점으로 일본의 코코스사와 기술을 제휴한 미도파의 코코스 레스토랑이 개점한 이후 국내 외식시장은 패스트푸드 시장에서 패밀리 레스토랑 시장으로 점차 재편되는 추세에 있다. 위의 도표를 보면 현재 패밀리레스토랑 업계의 총 매출액는 상위 8개 업체(빕스, 아웃백, TGIF, 베니건스, 마르쉐, 씨즐러, 토니로마스, 코코스, 스카이락)의 매출액 기준으로 약 7,700억원으로
\'96년도에 대비 85.4% 증가하였다. 경기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패밀리레스토랑 업계는 \'02년에 전년대비 22.7%의 고성장을 하였다. 이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의 시장이 포화상태에 도달하여 지방 대도시 중심의 사세 확장 전략에 기인한다. \'03년에는 지속적인 경기불황과 연말 조류독감, 광우병 파동으로 주춤하였다가 \'04년에는 업계의 힘든 상황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22.1%의 고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러한 현상은 패밀리레스토랑 업계가 이동통신사, 카드사, 백화점 등과 전략적 제휴와 각종 이벤트 등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고객층을 넓히는데 주력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경기상황에 따른 외식비의 지출에 둔감한 20~30대의 고객을 각종 이벤트 등으로 유인하였기 때문이다.
(3) 외식산업과 F.R.업계의 연도별 매출액 현황 비교
<도표 : 국내 외식산업 연간 매출 vs 국내 패밀리레스토랑 매출 비교>
자료제공:통계청 / 월간식당 2008. 3
위의 도표를 보면 외식산업 전체의 매출액 곡선보다도 패밀리레스토랑의 매출액 곡선이 더 가파른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로서 패밀리 레스토랑이라는 형태가 외식업에서 90년대 말에 들어서 급성장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국민들의 외식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일반음식점보다도 패밀리레스토랑과 같이 해외에서 도입된 레스토랑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03년도에 성장이 마이너스 성장을 하다가 최근에 와서는 매출성장률이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가 점점 성장기에서 쇠퇴기로 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2-3. 경쟁분석
가. 가 격
<표 : 외식산업 주요업태 특성 비교>
구 분
패밀리레스토랑
패스트 푸드
에스프레소커피
고급레스토랑
일반전문식당
서비스 방식
테이블 서비스
풀코스
셀프서비스
셀프서비스,
테이블서비스
테이블서비스
테이블서비스
가 격
비싼편(고가)
보통(저렴)
보통(저렴)
매우 고가
보통(저렴)
객단가
₩8,000~30,000
₩2,000~4,500
₩3,500~8,000
₩3 0,000 이상
₩4000~15,000
주메뉴
스테이크, 특정메뉴
햄버거, 치킨,
도우넛
기호식, 간식
고급전문음식
업종에 따라
위의 표를 보면 고급레스토랑이 가격이 가장 비싸며 그 다음으로 패밀리레스토랑, 일반전문식당, 에스프레소커피, 패스트 푸드 순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1990년 이후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었고 세계화, 국제화 추세에 편승해 국민들의 식생활 패턴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 외식 빈도가 높아짐으로서 다양한 국제경험을 가진 소비자들과 일부 젊은 세대들을 중심으로 한 입맛의 변화와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 증가했다. 공급분석에서 표(국내 외식업계의 신규등록 및 폐업업소 현황)를 보더라도 많은 일반식당들은 폐점을 하는 현황이지만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는 소비자 경향에 따른 메뉴개발과 밝고 가족적인 분위기, 그리고 적절한 가격을 제시함으로서 외식업계에서 성장을 할 수 있었다.
나. 시장점유율
<표 / 도표 : 패밀리레스토랑업계 시장점유율(상위 8개사를 중심으로)>
구 분
빕스
아웃백
T.G.I.F
베니건스
마르쉐
씨즐러
카후나빌
썬앳푸드
시장점유율
(전체)
28%
22%
16%
9%
약 2%
약 2%
약 2%
1.9%
시장점유율
(상위 8개사)
33%
28%
20%
11%
3%
2.5%
0.7%
1.8%
위의 시장점유율을 보면 빕스가 부동의 1위였던 아웃백을 제치고 ’07년 기준인 33%로 업계 1위를 차지하였고 그 뒤를 이어 아웃백(28%), T.GIF(20%), 베니건스(11%), 마르쉐(3%), 씨즐러(2.5%),
자료제공:월간식당 2008. 3
* 국내 상위 8개 F.R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임.·
위의 도표를 보면 지속적으로 성장해오다가 98년때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이는데 이는 IMF의 영향으로 여겨진다. 이후에 02년도까지 10~15%의 성장을 보이다. 03년도에 18.4%나 떨어지는데 이는 당시 광우병 파문으로서 고객의 소비심리가 많이 위축되었기때문이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04년 이후에는 07년까지 증감율이 20%를 웃도는 높은 성장을 했다. 결론적으로 F.R.업계의 점포수는 사회경제의 동향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이 위의 수치를 보면 알 수 있다.
2-2. 수요분석
가. 수요동향(trend)
(1) 주 1회 이상 외식 횟수
<도표 : 주 1회 이상 외식 횟수>
IMF 전부터 지금까지 사람들은 주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고객 비율을 보면 IMF 이전 29%에서 IMF인 98년에는 12.7%로 불황으로 인한 외식횟수 감소 현상을 볼 수 있다. 이후 99년 35.5%, 2002년 52.2%, 2007년 53.7%, 2008년 67.8%로 주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장기화된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의 사회참여 증가, 싱글족딩크족 등 신 개념의 가족제도 등장, 자동차 이용의 증가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가정에서 만들어 먹는 내식 보다는 외식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향후에도 이런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 국내 F.R.업계의 매출액 현황
<표 :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업계의 매출액 변화 추이>
구 분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매출액
(억원)
1118
1379
1211
1581
2338
3133
4058
3707
4762
6143
7618
7700
-
증감률
-
18.9
▼13.8
23.4
32.3
25.3
22.7
▼9.4
22.1
22.4
19.3
1.0
-
국내 패밀리레스토랑의 도입은 1988년 올림픽을 기점으로 일본의 코코스사와 기술을 제휴한 미도파의 코코스 레스토랑이 개점한 이후 국내 외식시장은 패스트푸드 시장에서 패밀리 레스토랑 시장으로 점차 재편되는 추세에 있다. 위의 도표를 보면 현재 패밀리레스토랑 업계의 총 매출액는 상위 8개 업체(빕스, 아웃백, TGIF, 베니건스, 마르쉐, 씨즐러, 토니로마스, 코코스, 스카이락)의 매출액 기준으로 약 7,700억원으로
\'96년도에 대비 85.4% 증가하였다. 경기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패밀리레스토랑 업계는 \'02년에 전년대비 22.7%의 고성장을 하였다. 이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의 시장이 포화상태에 도달하여 지방 대도시 중심의 사세 확장 전략에 기인한다. \'03년에는 지속적인 경기불황과 연말 조류독감, 광우병 파동으로 주춤하였다가 \'04년에는 업계의 힘든 상황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22.1%의 고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러한 현상은 패밀리레스토랑 업계가 이동통신사, 카드사, 백화점 등과 전략적 제휴와 각종 이벤트 등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고객층을 넓히는데 주력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경기상황에 따른 외식비의 지출에 둔감한 20~30대의 고객을 각종 이벤트 등으로 유인하였기 때문이다.
(3) 외식산업과 F.R.업계의 연도별 매출액 현황 비교
<도표 : 국내 외식산업 연간 매출 vs 국내 패밀리레스토랑 매출 비교>
자료제공:통계청 / 월간식당 2008. 3
위의 도표를 보면 외식산업 전체의 매출액 곡선보다도 패밀리레스토랑의 매출액 곡선이 더 가파른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로서 패밀리 레스토랑이라는 형태가 외식업에서 90년대 말에 들어서 급성장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국민들의 외식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일반음식점보다도 패밀리레스토랑과 같이 해외에서 도입된 레스토랑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03년도에 성장이 마이너스 성장을 하다가 최근에 와서는 매출성장률이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가 점점 성장기에서 쇠퇴기로 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2-3. 경쟁분석
가. 가 격
<표 : 외식산업 주요업태 특성 비교>
구 분
패밀리레스토랑
패스트 푸드
에스프레소커피
고급레스토랑
일반전문식당
서비스 방식
테이블 서비스
풀코스
셀프서비스
셀프서비스,
테이블서비스
테이블서비스
테이블서비스
가 격
비싼편(고가)
보통(저렴)
보통(저렴)
매우 고가
보통(저렴)
객단가
₩8,000~30,000
₩2,000~4,500
₩3,500~8,000
₩3 0,000 이상
₩4000~15,000
주메뉴
스테이크, 특정메뉴
햄버거, 치킨,
도우넛
기호식, 간식
고급전문음식
업종에 따라
위의 표를 보면 고급레스토랑이 가격이 가장 비싸며 그 다음으로 패밀리레스토랑, 일반전문식당, 에스프레소커피, 패스트 푸드 순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1990년 이후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었고 세계화, 국제화 추세에 편승해 국민들의 식생활 패턴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 외식 빈도가 높아짐으로서 다양한 국제경험을 가진 소비자들과 일부 젊은 세대들을 중심으로 한 입맛의 변화와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 증가했다. 공급분석에서 표(국내 외식업계의 신규등록 및 폐업업소 현황)를 보더라도 많은 일반식당들은 폐점을 하는 현황이지만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는 소비자 경향에 따른 메뉴개발과 밝고 가족적인 분위기, 그리고 적절한 가격을 제시함으로서 외식업계에서 성장을 할 수 있었다.
나. 시장점유율
<표 / 도표 : 패밀리레스토랑업계 시장점유율(상위 8개사를 중심으로)>
구 분
빕스
아웃백
T.G.I.F
베니건스
마르쉐
씨즐러
카후나빌
썬앳푸드
시장점유율
(전체)
28%
22%
16%
9%
약 2%
약 2%
약 2%
1.9%
시장점유율
(상위 8개사)
33%
28%
20%
11%
3%
2.5%
0.7%
1.8%
위의 시장점유율을 보면 빕스가 부동의 1위였던 아웃백을 제치고 ’07년 기준인 33%로 업계 1위를 차지하였고 그 뒤를 이어 아웃백(28%), T.GIF(20%), 베니건스(11%), 마르쉐(3%), 씨즐러(2.5%),
키워드
추천자료
TGI마케팅분석
회귀분석- 핸드폰의 판매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기업분석 보고서 - 매리어트 호텔
기업분석 보고서 - 두산인프라코어
<재무제표분석>삼성전자와 삼성증권
경영분석과제물(제출용)
기업분석 사례 보고서_풍산
재무분석
레버리지분석
SM기업분석,한류,SM엔터테이먼트,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코스트코 vs 이마트 (COSTCO vs E-MART) 코스트코마케팅전략,코스트코분석,이마트마케팅전략,...
주요항공사(케세이퍼시픽,대한항공,중국남방항공,에미레이트,루프트한자) 경영전략과 글로벌 ...
은행 대형화(메가뱅크)의 장점과 문제점, 국내외 은행의 대형화 현황 분석, 은행 대형화(메가...
경영분석 현대건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