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나라에 관한 유통연구 사례
본문내용
목 차
■ 기업선정이유
■ 국내유통시장분석
■ 기업 소개와 연혁
■ 삼성테스코의 잘나가는이유(성공요인)
■ 삼성테스코(홈플러스)의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논의
■ 기업 선정이유
삼성테스코는 테스코 태국 현지법인의 시스템인 RAMS 시스템이였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한국의 급격한 매장 증가와 트랜잭션 양을 소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고, 또한 각 테스코 법인마다 각자의 커스터마이징 작업이 이루어져 글로벌 테스코 차원에서 통일된 데이터를 뽑아내기 힘들었다. ‘글로컬’이라는 정책을 펴기로 했다.(글로컬이라는 단어는 삼성테스코 이승한 사장이 도입했다고 한다.) ‘글로컬’이란 백 엔드 시스템은 글로벌 스탠다드로, 프론트 엔드는 로컬시스템으로 가는 것을 의미한다. 삼성테스코의 글로벌 ERP 프로젝트인 PMS 프로젝트는 백엔드 인프라에 해당되는 것이다. 유통시스템은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추면서도, 상품 및 서비스, 대고객 정책 등은 한국 정서에 알맞은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글로벌 스탠다드와 지역정서를 이상적으로 조화시킨 글로컬(Glocal= Global+ Local) 경영을 실현하였으며, 전사적 자원관리인 ERP 시스템의 PMS 프로젝트와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SCM)를 통해 테스코 그룹의 표준화된 유통시스템 구축으로 발주, 입고, 재고, 상품의 공급 등의 효율적 관리로 인한 비용절감 및 매출 증대의 성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 볼 때 생산운영관리측면에 부합된다고 생각하여, ERP 시스템의 PMS 프로젝트와 SCM 측면을 중심으로 삼성테스코 홈플러스를 조사해 보게 되었다.
■ 국내 유통시장 분석
국내 유통시장 현황
국내 유통시장은 약 105조원 규모의 시장으로 IMF이후의 침체에서 벗어나 99년과 2000년에 대폭 성장세로 돌아선 데 이어, 2001년과 2002년에도 성장세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매출성장 지속하였다. 하지만2002년 이후 경기 침체기가 다시 도래하면서 2005년까지 연 5% 미만의 미비한 성장을 하였고, 2002년 이전 전체시장의 70% 가까이를 차지하던 재래시장 비율이 2002년 이후 할인점에 역전된 이후 내리막을 걷고 있으며 유통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선진국 형태로 변하고 있다. 현재는 과거 대형 할인점이 재래시장이나 백화점과 경쟁하던 체제에서 벗어나 서구식 쇼핑문화의 확산과 유통산업내의 경쟁 심화로 인해 기업형 유통이 차지하는 비중이 폭발적으로 증대하여 이제는 할인점이 포화 상태에 이르는 시점으로 국내 업체는 물론 해외 업체들 간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기업형 유통 가운데서도 2002년 이후 할인점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국내시장에서 백화점을 제치고 1위의 소매 업태로 등극하여 2003년 백화점 17.2조원, 대형 할인점 19.5조원으로 할인점이 백화점 매출 규모를 역전하였으며, 2004년도 백화점 16.5조원, 대형 할인점 21.5조원으로 그 격차가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유통시장 개방 이후 진출한 외국 유통업체들이 주로 할인점에 경쟁적으로 진출하였고, 국내 대기업들도 기업형 유통 가운데 할인점을 강화하고 있어 국내 유통시장은 업태별로 과점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 할인점시장 현황
소비자 니즈의 변화와 기업형 유통시장이 확대되면서 할인점시장은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국내 할인점은 93년에 개점한 이마트 창동점이 효시로, 96년 유통시장 개방 이후 외국계 할인점의 진출과 함께 비약적으로 성장하여 점포수 기준으로 99년에 이미 백화점을 추월하였고, 3년 만에 다시 백화점의 2배를 초과하여 시장규모로는 2004년 말에 21.5조원으로 전체 소매시장의 약 20%, 백화점 총매출의 약 1.3배에 이를 정도로 급성장하였다. 아래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점포수와 매출액 규모 면에서 선두인 이마트를 제외하고 홈플러스와 롯데마트간의 2위권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까르푸를 인수한 홈에버가 그 뒤를
■ 기업선정이유
■ 국내유통시장분석
■ 기업 소개와 연혁
■ 삼성테스코의 잘나가는이유(성공요인)
■ 삼성테스코(홈플러스)의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논의
■ 기업 선정이유
삼성테스코는 테스코 태국 현지법인의 시스템인 RAMS 시스템이였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한국의 급격한 매장 증가와 트랜잭션 양을 소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고, 또한 각 테스코 법인마다 각자의 커스터마이징 작업이 이루어져 글로벌 테스코 차원에서 통일된 데이터를 뽑아내기 힘들었다. ‘글로컬’이라는 정책을 펴기로 했다.(글로컬이라는 단어는 삼성테스코 이승한 사장이 도입했다고 한다.) ‘글로컬’이란 백 엔드 시스템은 글로벌 스탠다드로, 프론트 엔드는 로컬시스템으로 가는 것을 의미한다. 삼성테스코의 글로벌 ERP 프로젝트인 PMS 프로젝트는 백엔드 인프라에 해당되는 것이다. 유통시스템은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추면서도, 상품 및 서비스, 대고객 정책 등은 한국 정서에 알맞은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글로벌 스탠다드와 지역정서를 이상적으로 조화시킨 글로컬(Glocal= Global+ Local) 경영을 실현하였으며, 전사적 자원관리인 ERP 시스템의 PMS 프로젝트와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SCM)를 통해 테스코 그룹의 표준화된 유통시스템 구축으로 발주, 입고, 재고, 상품의 공급 등의 효율적 관리로 인한 비용절감 및 매출 증대의 성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 볼 때 생산운영관리측면에 부합된다고 생각하여, ERP 시스템의 PMS 프로젝트와 SCM 측면을 중심으로 삼성테스코 홈플러스를 조사해 보게 되었다.
■ 국내 유통시장 분석
국내 유통시장 현황
국내 유통시장은 약 105조원 규모의 시장으로 IMF이후의 침체에서 벗어나 99년과 2000년에 대폭 성장세로 돌아선 데 이어, 2001년과 2002년에도 성장세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매출성장 지속하였다. 하지만2002년 이후 경기 침체기가 다시 도래하면서 2005년까지 연 5% 미만의 미비한 성장을 하였고, 2002년 이전 전체시장의 70% 가까이를 차지하던 재래시장 비율이 2002년 이후 할인점에 역전된 이후 내리막을 걷고 있으며 유통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선진국 형태로 변하고 있다. 현재는 과거 대형 할인점이 재래시장이나 백화점과 경쟁하던 체제에서 벗어나 서구식 쇼핑문화의 확산과 유통산업내의 경쟁 심화로 인해 기업형 유통이 차지하는 비중이 폭발적으로 증대하여 이제는 할인점이 포화 상태에 이르는 시점으로 국내 업체는 물론 해외 업체들 간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기업형 유통 가운데서도 2002년 이후 할인점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국내시장에서 백화점을 제치고 1위의 소매 업태로 등극하여 2003년 백화점 17.2조원, 대형 할인점 19.5조원으로 할인점이 백화점 매출 규모를 역전하였으며, 2004년도 백화점 16.5조원, 대형 할인점 21.5조원으로 그 격차가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유통시장 개방 이후 진출한 외국 유통업체들이 주로 할인점에 경쟁적으로 진출하였고, 국내 대기업들도 기업형 유통 가운데 할인점을 강화하고 있어 국내 유통시장은 업태별로 과점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 할인점시장 현황
소비자 니즈의 변화와 기업형 유통시장이 확대되면서 할인점시장은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국내 할인점은 93년에 개점한 이마트 창동점이 효시로, 96년 유통시장 개방 이후 외국계 할인점의 진출과 함께 비약적으로 성장하여 점포수 기준으로 99년에 이미 백화점을 추월하였고, 3년 만에 다시 백화점의 2배를 초과하여 시장규모로는 2004년 말에 21.5조원으로 전체 소매시장의 약 20%, 백화점 총매출의 약 1.3배에 이를 정도로 급성장하였다. 아래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점포수와 매출액 규모 면에서 선두인 이마트를 제외하고 홈플러스와 롯데마트간의 2위권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까르푸를 인수한 홈에버가 그 뒤를
추천자료
할인점 시장분석 (유통 유통관리 유통산업 대형할인점)
[사회과학] 유통의 의의와 유통산업의 역할
[유통, 유통관리] 유통관리 시험대비 완벽정리 노트
유통실습-드럭스토어-신유통업태
유통 경로 구조 사례, 유통 갈등 해결 방안 (제조업체, 대리점)
프랜차이즈 개념, 특징, 유통경로 및 유통 갈등 사례 해소 방안 (프랜차이즈, 시스템, 프랜차...
커피의 유통구조(커피의 특징, 시장현황, 유통과정)
국내 자동차 산업의 유통 구조 체계 및 유통 경로, 유통망
[유통관리론] 신의 물방울, 커피의 유통경로분석
[국제화][국제화 의미][국제화 필요성][국제화 유통][국제화 금융]국제화의 의미, 국제화의 ...
사이버폭력 및 유해정보 유통 방지를 위한 방안 (사이버 폭력 및 유해정보 실태 파악, 유통 ...
유통관리론 - ZARA와 크리스피도넛의 유통경로 ( SPA, ZARA, 크리스핏도넛, SWOT, SCM, 크리...
소개글